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후 말더듬회복 예측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이용수 1171

영문명
A Longitudinal Study of Utterance Length in Morphemes as a Predictor of Treatment Outcome in Early Childhood Stuttering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이수복(Soo Bok Lee) 심현섭(Hyun Sub Sim)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0. no.2, 189~201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기 말더듬아동의 말더듬 발생 및 지속에 대한 언어요인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말더듬 발생 1년 이내의 2-5세 말더듬아동을 대상으로 치료시 발화길이 변화와 발화길이가 말더듬 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후향적(retrospective) 연구로서 18명의 말더듬아동을 연구대상으로 18개월 동안의 말더듬 치료종료시점에서 비유창성 빈도를 기준으로 회복집단아동(12명)과 지속집단아동(6명)으로 구분하였다. 부모와 상호작용놀이 상황에서 발화를 5차례 수집하여 3종류(전체, 유창한, 비유창한)의 발화길이(평균형태소길이, MLU-m)를 분석하였다. 결과: 집단 및 시점에 따른 발화길이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모든 발화종류에서 집단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3개월과 18개월시점에서는 집단 간에 비유창한 발화길이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회복집단은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비정상적 비유창성(abnormal disfluency, AD)의 빈도가 감소하였으며 비유창한 발화길이와 유창한 발화길이의 차이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지속집단은 AD빈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유창한-비유창한 발화길이의 차이가 커지는 양상을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유창한-비유창한 발화길이의 차이비교를 통해 지속집단 및 회복집단의 발화길이가 치료 후 시점에 따라 변화하는 중요한 언어학적 요인이며, 치료시점에 따른 집단간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임상측면에서는 치료과정에서 발화길이의 종단적 변화를 추적함으로서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예후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언어치료사는 말더듬치료 시작 후 12-18개월시점의 언어 및 비유창성 변화에 주의를 기울여야 함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revious studies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ttering and lan-guage ability have been inconsistent,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atment outcome of utterance length in children (age 2 to 5) within one year of the onset of stuttering. Fur-thermore, the study longitudinally examined utterance length's influence on recovery from early childhood stuttering. Methods: For 18 months direct therapy was given to eighteen children with indirect therapy for their parents to change their attitudes.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ive times (assessment at 3, 6, 12, and 18 months) and were analyzed to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of persistence and recovery in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stuttering.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3 types of utterance length (total, fluent, and stuttered utterance length). Second, when fluent utterance length was compared to nonstuttering children (Kim, 2002), both groups displayed similar patterns of normal language development. Third, a relationship between frequency of abnormal disfluency and stuttered utterance length was observed, that is, higher frequency of abnormal disfluency influenced stuttered utterance length in both group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length of fluent and stuttered utter-ance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the initial treatment of stuttering and identifying longitudinal changes in utterance length, being essential for improved treatment of early childhood stuttering. We also suggest that clinicians be aware of lan-guage and disfluency changes at 12 and 18 months after treatment in order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stuttering.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복(Soo Bok Lee),심현섭(Hyun Sub Sim). (2015).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후 말더듬회복 예측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 (2), 189-201

MLA

이수복(Soo Bok Lee),심현섭(Hyun Sub Sim). "초기 말더듬아동의 치료후 말더듬회복 예측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0.2(2015): 189-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