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同一 典據에 대한 退溪ㆍ高峯 解釋의 差異 硏究

이용수 176

영문명
A Research on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the same references between Toegye and Gobong -Centering on the book of Four-Seven Debate-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김의성(Kim Eui seong)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2輯, 265~299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시대 성리학의 論辯들은 자신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문헌적 근거를 제시한다. 그러나 동일한 典據를 제시한다고 해도 해석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인다. 退溪와 高峯의 四端七情論辯에서도 典據의 제시와 해석의 차이는 중요하게 나타난다. 논문에서는 四端七情論辯의 주장을 통한 典據의 해석상 차이와 그에 따라 파생되는 문제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四書의 주석들을 중심으로 성리학적 논의들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四端七情論辯을 조망해 봄으로써 논쟁의 중요한 맥락을 살펴보고자 한다. 退溪와 高峯이 동일한 典據를 사용하면서 주장하려고 하는 부분은 四端과 七情의 관계, 氣質之性과 本然之性의 관계에 대한 것이며 더 나아가 性과 情과의 관계, 情과 心과의 관계까지를 포함한다. 情에 대한 해석 차이로 『中庸』의 "喜ㆍ怒ㆍ哀ㆍ樂"과 『孟子』의 "惻隱ㆍ羞惡ㆍ辭讓ㆍ是非"는 四端ㆍ七情에 대한 직접적인 인용으로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典據에서 해석의 차이가 생기고 있는 부분은 "喜ㆍ怒ㆍ哀ㆍ樂"이 中ㆍ和로 연결되는 것이다. 退溪는 "喜ㆍ怒ㆍ哀ㆍ樂"이 中節해야만 中ㆍ和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四端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것이라고 보는 반면, 高峯은 中節이라는 방법으로 같아질 수 있다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곧 四端과 七情의 渾淪에 대한 해석의 차이로 나타나며 여기서 理ㆍ氣 互發의 문제와 四端의 不中節과 七情의 中節에 대한 문제가 파생된다. 性에 대한 이해의 차이는 『中庸』 "天命之謂性"ㆍ『孟子』 "性善"ㆍ『論語』 "性相近 習相遠"에 보인다. "天命之謂性"과 "性善"은 本然之性으로 "性相近 習相遠"은 氣質之性으로 이해하며 둘의 관계 속에서 해석의 차이가 생긴다. 退溪는 本然之性을 理와 연결하며 純善性을 확보하려 하고 理ㆍ氣의 不離ㆍ不雜 구조 속에서 氣質之性과의 관계를 본다. 高峯은 本然之性에 氣質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氣質之性을 해석한다. 이러한 性의 구조는 情의 구조와 직접 연결되고 있어 四端ㆍ七情의 주장을 성리학적 틀로 정당화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大學』의 "忿懥ㆍ恐懼ㆍ好樂ㆍ憂患"에 대한 해석의 차이는 情으로 볼 것인가 心으로 볼 것인가로 나타난다. 이것은 "忿懥ㆍ恐懼ㆍ好樂ㆍ憂患"이 부정적인 제거의 대상인가 아니면 적절히 변화시켜 드러내야하는 것인가의 이해로 나뉘게 된다. 四端七情論辯에서 退溪와 高峯은 四書를 성리학적 心性論의 틀로 이해하고자 하지만 이미 둘은 성리학을 이해하는 관점에서부터 차이를 갖고 있다. 이는 典據 해석의 차이를 통해 나타나며 기존의 주석에도 그와 같은 내용들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는 존재론적인 해석의 상충이 중요한 쟁점의 요소가 아니라 성리학의 틀 속에서 이해되는 자신의 시각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art of which Toegye and Gobong claim each other while using same references is concerned about the relation of psychophysical nature(氣質之性) and original nature(本然之性), the Four beginnings(四端) and Seven Feelings(七情), by extension, nay even nature(性) and feelings(情) and feelings(情) and mind(心). We can find out a direct quote such as; "Joy(喜), anger(怒), Sorrow(哀) and Pleasure(樂)" in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commiseration(惻隱), shame and dislike(羞惡), reverence and respect(辭讓), and approval and disapproval(是非)" in 『Mencius』 for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Specifically, part of the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of references is joy(喜), anger(怒), Sorrow(哀) and Pleasure(樂) of which connected to the Centrality and Harmony(中ㆍ和). Toegye pointed out that "joy(喜), anger(怒), Sorrow(哀) and Pleasure(樂)" and the Four beginnings are essentially different because those four feelings should unskewed without bias(equilibrium) then available to connect to the Centrality and Harmony(中ㆍ和). On the other hand, Gobong looks differently because he focuses on how it can be the same by the method of equilibrium. It appears to say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pretation on the primordial nebulous state of the universe(渾淪) of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nd the problems, hobal (互發, the mutual issuance of ri and gi), nonequilibrium(不中節) of the Four beginnings and equilibrium(中節) of the Seven Feelings derived from it. We can find difference of understanding out for original nature(性) through "what haven has conferred is called the nature(天命之謂性)" in 『the doctrine of the mean』, "originally good Human Nature(性善) in 『Mencius』, and "by nature, men are nearly alike; by practice, they get to be wide apart(性相近 習相遠)" in 『Confucian analects』. These concerning brings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in relation between Original nature and Psychophysical nature. Toegye tries to connect Original nature with ri(理) and to retain pure original nature. And he looks at the relation with Psychophysical nature in the inseparableㆍseparable structure of ri(理) and gi(氣). Gobong interprets the relation that Psychophysical nature comes under the tendency of Original nature. The structure of original nature like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justifying the claims on the Four beginnings and Seven Feelings as the Neo-Confucian framework because it is directly connected with Psychophysical nature. The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 of passion(忿懥), terror(恐懼), fond regard(好樂), sorrow and distress(憂患) in 『The great learning』 brings what appears to see whether viewed as feeling or mind. And also it is divided into understanding what to see whether negative object to be removed or to be properly changed and revealed. In the Four-Seven Debate, Toegye and Gobong try to understand the Four Chinese Classic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心性論) but they already had differences from the point of view to understand Neo-Confucianism. It is clearly evident from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of the references. And, as a matter of fact,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already has hidden a possibility for this differences. The Four-Seven Debate will be able to be overlooked within the framework of Neo-Confucianism is simply beyond the nature of debate for the feelings.

목차

논문요약
1. 들어가는 말
2. 『中庸』 "喜ㆍ怒ㆍ哀ㆍ樂"과 『孟子』 "惻隱ㆍ羞惡ㆍ辭讓ㆍ是非"에 대한 解釋의 차이
3. 『中庸』 "天命之謂性"ㆍ『孟子』 "性善"ㆍ『論語』 "性相近習相遠"에 대한 解釋의 差異
4. 『大學』 "忿懥ㆍ恐懼ㆍ好樂ㆍ憂患"에 대한 解釋의 差異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의성(Kim Eui seong). (2014).同一 典據에 대한 退溪ㆍ高峯 解釋의 差異 硏究. 동양철학, 42 , 265-299

MLA

김의성(Kim Eui seong). "同一 典據에 대한 退溪ㆍ高峯 解釋의 差異 硏究." 동양철학, 42.(2014): 265-2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