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高麗 對蒙抗爭期 險山大城의 入保用山城 出現

이용수 175

영문명
Advent of Protective Fortress on the Rugged Mountains during the Goryeo Dynasty's War Period against Mongolian Invasion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호준(Kim Ho Jun)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0輯, 189~224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3세기의 몽골제국은 동아시아를 넘어 유럽까지 그들의 영토를 넓혀 나갔다. 고려도 몽골제국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없었다. 몽골제국의 고려 침공은 고려의 무인정권에의해 항전이 결정되었고, 1231년부터 1273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친 항쟁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몽골은 서하(西夏), 금(金), 송(宋)의 도시성곽을 공격하는 과정에서 성곽을 공격하는 전술과 무기를 체득(體得)해 있었고, 세계 최강의 군사조직을 갖춰 있었다.고려는 전쟁 초기부터 삼국시대부터 이어온 전통적인 청야입보(淸野入保)에 입각한 수성전술(守城戰術)로 몽골과의 전쟁을 준비했으나, 당시 세계 최강의 몽골군의 계속되는 공격을 방어하기가 어려웠다. 이에 고려는 몽골이 수전(水戰)에 약하다는 점을 파악하여 강도(江都)로 천도하고, 해도(海島)로 백성들을 입보하였다. 대몽전쟁 초기인 1~3차 전쟁까지는 기존의 양계(兩界, 北界 東界) 진성(鎭城) 및 각 도의 주현성(州縣城)을 통한 수성전을 진행하였고, 3차 전쟁시에 산성방호별감(山城防護別監)을 파견하여 몽골군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 3차 전쟁 이후 1243년에는 각 도에 산성권농별감 37인을 보내 군사적인 목적으로 성곽을 수축하여 5차 전쟁을 준비하였다. 그러나 5차 전쟁부터 몽골군은 부몽(附蒙)세력과 함께 침략시기를 앞당겨 추수 이전에 침공 하였다. 그리고 6차전쟁에서는 침략시기를 파종시기와 추수 이전 등 다양하게하였고, 체류기간을 이전 전쟁과 달리 1년을 넘게 지속하여 고려의 전국토를 유린하였다. 이러한 전쟁의 변화는 주현성(州縣城)에서 험산대성(險山大城)의 입보용산성을 축성하는 배경이라 할 수 있다. 내륙의 입보용성곽은 주현성에서 5차 침입 이후 6차 침입과정 속에서 험산대성(險山大城)의 입보용산성이 전국으로 확대 축조되었다. 그리고 고대(古代) 산성에 비해 훨씬 대형화 되고있으며, 교통로에서 멀리 떨어진 산세가 험한 지형으로 옮겨가고 있었다. 그리고 입보산성의 축조 및 변화는 여러 군현을 통합하여 입보하는 정책의 변화와 직접 관련이 있으며, 몽골과의 공성전을 겪으면서 그에 대응책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특히 암석이 많은 산악지대를 선택한 것도 화살과 투석에 필요한 석재 이용이 용이한 점과 몽골 기마병들의 진입이 어렵고, 투석기등의 공성용무기를 운반하기 어려운 자연적 이점을 선택했을 것이다. 이점은 이전의 북방 유목민족과 겪어왔던 우리의 대응책이었다. 고려 대몽항쟁기에 사용된 입보용산성은 대부분 고로봉형의 입지조건을, 일부에서는 고로 봉형(외성)+사모봉형(내성)의 입지조건을 보이고 있었다. 이들 산성은 괴산 미륵산성, 제천 월악산성, 춘천의 삼악산성, 속초 권금성, 인제 한계산성, 상주 금돌성, 담양 금성산성, 장흥 수인산성 등이있다. 이러한 입보용산성들은 험산대성(險山大城)으로 정리할 수 있듯이, 해발고가 600m 이상 높은 곳에 축조되었고, 둘레가 대체로 5~7km 정도이다. 이후 험산대성의 입보용산성은 합단적과 홍건적(紅巾賊)의 1 2차 침입과 왜구(倭寇)의 약탈시기에도 사용되었다. 고려 말 왜구가 점차 극복되면서, 연해지역 평지에 읍성을 수축하여 주민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 초기에는 왜구 방비를 위해 수군의 증강과 병선의 배치, 진수(鎭戍)의 증설 등의 조치와 함께 연해 읍성 및 산성의 정비를 병행하였다. 산성 입보처에 대해서는 조선 태종 10년에도 계속적인 국가차원의 관리가 이어지고 있었다. 대몽항쟁기 입보용산성은 장기간의 농성을 할 수 있는 수원 및 입보민의 수용공간 확보 등을 고려한 점에서 조선시대 후기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뒤 관방론에 입각하여 재사용되었다.

영문 초록

The Mongol Empire in the 13th century expanded their territory to Europe beyond the East Asia. Goryeo Dynasty also could not escape from the influence of the Mongol Empire. Goryeo Dynasty's military regime decided to fight back against the invasion of Mongol Empire and their struggles against the Mongolian invasion had been sustained for a long time from 1231 to 1273. However, Mongol Empire already learned the tactics and how to use arms to attack fortresses from their attacks to the urban castles in the Western Xia Dynasty, Chin Dynasty and Sung Dynasty. They were equipped with the strongest military organization in the world. Goryeo Dynasty had prepared the wars against Mongol Empire with the tactics to depend fortress based on traditional tactic of fighting inside the fortress which had been used since the Three Kingdom Era, but they had difficulties in defending the attack by the world-strongest Mongolian military forces. During the process, Goryeo Dynastynoticed the fact that Mongolian military forces were weak in water warfare. So they moved the capital city to Ganghwa Island and protected people using the sea island. Goryeo Dynastyperformed the water wars to protect fortresses through the two regions (Bukgye and Donggye), camp fortress, and the representative fortress in each province to the 1st-3rd wars, which was the early period of the wartime against Mongol. At the time of the 3rd war, Goryeo Dynasty dispatched mountain fortress guard officers and protected the fortress from the attack of Mongolian troops effectively. After the 3rd war, Goryeo Dynasty dispatched37 mountain-fortress farming-encouraging officers to each province in 1243 and built a fortressfor military purpose to prepare against the 5th war. After the 5th war, Mongolian troops advanced the attacking time and attacked before the harvest season with the Korean power class that cooperated with Mongol. In the 6th war, the attacking time varied from seeding time to pre-harvest time and the Mongolian troops stayed over one year, which was different from previous wars. By doing so, they couldinfiltrate the whole land of Goryeo Dynasty. Such changes in the wars were the background to make Goryeo Dynasty build a protective fortress in the rugged mountain in a representative fortress. As for the inland protective fortresses, protective fortresses were built on the rugged mountain expanding nationwide during the 6th invasion. They were far bigger in size than the fortresses in ancient times and the location was moved to the rugged mountains, which were far apart from the transportation roads. The construction and changes in protective fortresses were directly related to the changes in policies that integrated many districts for protection. They also were related to the changes in counter actions that were made through the wars attacking fortresses by Mongolian troops. Goryeo forces selected rugged mountain areas for battlefield for easy use of stones that were needed in making arrows and throwing stones. Also, rugged mountain areas were hard to climb for Mongolian cavalry soldiers and hard to move the arms such as stone-throwing deviceto attack the fortress. Such natural geographical advantages had been used as a counter-action against the attacks by Northern nomads.

목차

Ⅰ. 머리말
Ⅱ. 對蒙抗爭期 戰爭의 樣相
Ⅲ. 險山大城의 入保用山城 出現 背景
Ⅳ. 險山大城의 入保用山城 變遷
Ⅴ. 맺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호준(Kim Ho Jun). (2014).高麗 對蒙抗爭期 險山大城의 入保用山城 出現. 선사와 고대, 40 , 189-224

MLA

김호준(Kim Ho Jun). "高麗 對蒙抗爭期 險山大城의 入保用山城 出現." 선사와 고대, 40.(2014): 189-2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