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금강유역의 인구산출에 대한 연구

이용수 132

영문명
A Study on the Population of Kum River Basin in the Bronze Age of Kore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이강승(Lee Kang seu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0輯, 43~6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금강유역에서 조사된 집자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청동기시대 인구를 산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청동기시대의 절대적인 인구수를 산출하는 것보다는 전기, 후기 두 단계에 살았던사람수를계산하여시기가지나면서인구수가변화하는추이를살펴보아, 문화의변화 양상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청동기시대에는 조기와 전기에 방형계 집자리가, 중기에 원형 집자리가 나타난다. 편년의 세부에서는 지역차이나 문화적인 지체현상이 보이지만, 집자리 형태로 보면 조기와 전기에 평면방형계집자리, 중기에평면원형이나타나므로집자리형태가문화의변화를반영해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청동기시대를 두 단계로 나누어 문화의 변화를 나타내는 집자리 형태를 기준으로 하여 인구를 산정하였다. 자료를통계처리한결과방형집자리 단계에는미호천유역과세종·대전시지역에집중적으로사람이 살았고, 금강하류지역에는 매우분포가희박하였다. 원형 집자리는 세종시지역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고, 금강 하류에 해당하는 공주·대전·부여·논산·서천 지역에 밀집 분포하면서, 상류지역인 진안지방까지 진출하였다. 인구산정결과 방형계 총 인구가 4,969명, 원형계 총인구는 2,316명이며, 집자리 평균면적은 각각 41.1 , 17.7 인데, 충적대지유적인 세종시 대평리 유적을 제외한 구릉성 산지의 방형계 집자리 평균면적은 34.4 로, 원형계 집자리 평균 면적의 2배가 된다(대평리 유적의 평균면적은 66.7 ). 인구 추이를살펴본 결과단순히 발굴조사된자료의수치만 계산하면약 1/2정도로 감소하였지만, 전면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유적(세종시, 대전시의 테크노배리 개발지구와 서남부권택지개발지역)을 제외하면 방형계 단계에서 2,058명이 살다가 원형계 단계에서는 2,136명이 되어 인구가 크게 늘어나지 않은 현상을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estimate the population of Kum River, not real number of residents but the transition of population. The author divided the Bronze Age of Korea into two phases:rectangular shape and round shape in plan. Each shape represented the early phase, and the late phase of the Bronze Age of Korea respectively. The standard of 5 floor size per a person has been applied to this paper upon population estimation. This paper has analyzed 1,282 dwelling pits from 183 sites. As a result of estimation, it turns out that the whole population of Bronze Age is estimated to7,285. The early phase witnessed 4,969, and late phase, 2,316. And the mean floor size of the dwelling pits is calculated to 41.1 for the early phase, and 17.7 for the late phase respectively. But the population size is different from the above result if the archaeological sites such as Sejong City, and the Technovalley Area of the Daejeon City and so on, which are completely excavated in a large scal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analysis:then the early phase witnessed 2,058 and the late phase, 2,136. It is very small increase and the average floor size also is calculated to 34.4 for the early phase, and 17.7 for the late phase respectively. Generally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population size had increased over time, but in case of Kum River basin, the population pattern is quite different from other region such as Nakdong River basin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east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목차

Ⅰ. 머리말
Ⅱ. 연구사
Ⅲ. 자료의 분석과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승(Lee Kang seung). (2014).청동기시대 금강유역의 인구산출에 대한 연구. 선사와 고대, 40 , 43-68

MLA

이강승(Lee Kang seung). "청동기시대 금강유역의 인구산출에 대한 연구." 선사와 고대, 40.(2014): 43-6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