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지역 고인돌유적의 특징과 성격

이용수 238

영문명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Dolmen Relics in North Korea Regions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오대양(Oh Day Ya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0輯, 69~10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최근의 연구성과에 근거하여 북한지역 고인돌의 구조적 특징과 형식별 분포관계를 살펴보고 나름의 편년과 획기를 마련하여 이지역 고인돌의 단계별 특징 및 성격을 고찰하고자 작성되었다. 북한지역고인돌의출현과확산과정은中國遼東지역과연계하여 살펴보아야한다. 대동강 하구의 서해안지역에서는 기원전 13~12세기를 전후한 시점부터 탁자형고인돌이 축조되는데, 고인돌의 구조는 물론 출토유물상에 있어 동시기 遼東半島의 것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양자는동일한계통의사람들이축조한것으로볼수있다. 개석형고인돌은太子河流域의馬城子文化가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는 과정 중 요동반도의 고인돌문화와 접촉하여 출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가장빠른연대를보이는것이鳳城東山유적에서확인되며커다란덮개돌밑으로 토광형의묘실을두었고, 그내부에서는 마성자문화후기단계의전형적인토기가 출토되었다. 따라서 동산유적의 개석 식(토광형)은기원전 12~11세기전후로 편년할 수있다. 또한동산유적의 개석 식(괴석형)에서는 고식의 미송리형토기 출토되었다. 本溪 大片地유적에서는 개석 식과 개석 식(혼축형)에서미송리형토기가출토되었고, 개석 식이 발굴된開源 建材 村에서는 후기형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수습되었다. 북한의 대동강유역에서는 기원전 7세기 전후부터 개석Ⅰ·Ⅱ 식이 축조되기 시작하며, 묘실에서 묵방리형토기가 출토된다. 한편 마성자문화 후기단계인 기원전 12세기 전후, 동굴무덤의 전통을 고수하던 사람들이 점차동굴에서벗어나는현상이벌어진다. 이와동시에태자하유역을중심으로한요동북부지역에서는 새로운 무덤양식인 석관묘전통이 시작되는데 원시형태의 석관묘들이 동굴무덤내부에서도 확인되며 양자의 출토유물이 동일함을 통해볼 때 초기의 석관묘유적은 마성자문화에 속할수있다. 이처럼태자하유역의마성자문화가점차동굴바깥으로벗어나는과정중인접한 大洋河流域에서 雙砣子3期의 고인돌문화와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봉성 동산유적에서는 고인돌의 주요특징인 덮개돌을가지면서, 묘실 구조와출토유물은동굴무덤의전통을 유지하는 개석형고인돌이 축조된다. 이후 개석형고인돌이 本溪 大片地유적과 開源 建材村유적을 걸쳐 점차주변지역으로확산되는과정중기원전7세기를전후한시점대동강유역으로까지전파된것으로 볼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e advent and expansion of dolmens in North Korea regions should be reviewed in relation to Liadong area in China. Table-type dolmens were built around the 13th-12th century B.C., in the western coastal area around the estuary of Daedong River. The structure of the dolmens was very similar to the relics of the Liadong Peninsular excavated in the same era. Therefore, two types of dolmens were suspected to have been built by people of the same line. No-leg type dolmens appeared by contacting dolmen culture of Liadong Peninsular in the process that Machengzi Culture in the basin of Taizi River was expanding to neighboring regions. The oldest one was found in the Tungshan relics in Fengcheng City. They had a pit-type tomb chamber under a giant lid stone. Typical earthenware of the latter period of Machengzi Culture were discovered inside the tombs. The No-leg type I (pit-type) dolmens of Tungshan relics were recorded as the relics of the 12th~11th century B.C. In the No-leg type II (block stone-type) dolmens, old-style Misongritype earthenware were excavated. In the 大片地 relics of Benxi City, Misongri-type earthenware were excavated from the No-leg type II and No-leg type III (combination type) dolmens. In 建材村, 開源 where No-leg type III dolmens were excavated, Misongritype earthenware of the latter part of the era were found. No-leg type II and III dolmens began to be built in around the 7th century B.C. in the Daedong River in the North Korea. Mukbangri-type earthenware were found in the tomb chambers of the dolmens in the region. In the meantime around the 12th century B.C, which is the latter part of the Machengzi Culture Period, the tradition that stack to cave tomb gradually changed. At the same tim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Liadong Peninsular centering on the Taizi River, stone-lined tomb which was a new tomb type, began to be built. Primitive stone-lined tombs were found even inside of the caves. Considering the identical patterns of the relics found in the two tombs, the relics in the stone-lined tombs of early period may be belonged to Machengzi Culture. As such, in the process that Machengzi Culture in the basin of the Taizi River gradually escaped from the tradition of the cave tombs, people contacted to the 3rd Shuangtuozi dolmen culture in the basin of Dayang River. As a result, dolmens found in the Tungshan relics in Fengcheng City had lid stone, which is main characteristics of the dolmens at that time while the structure of tomb chambers and relics maintained the tradition of cave tombs. That is, the no-leg type dolmens were built there. After then, no-leg type dolmens expanded to the basin of Daedong River around the 7th century B.C., while they were gradually expanding to neighboring regions passing through 大片地 relics in 本溪 and 建材村 relics in 開源.

목차

Ⅰ. 머리말
Ⅱ. 형식분류의 기준 검토
Ⅲ. 형식별 분포양상
Ⅳ. 편년 및 단계별 특징
Ⅴ. 요동지역과의 비교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대양(Oh Day Yang). (2014).북한지역 고인돌유적의 특징과 성격. 선사와 고대, 40 , 69-106

MLA

오대양(Oh Day Yang). "북한지역 고인돌유적의 특징과 성격." 선사와 고대, 40.(2014): 69-1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