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中國 遼北지역 고인돌의 성격

이용수 297

영문명
A Reconsideration of Dolmens around Liabei, in Chin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하문식(Ha Moon Si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40輯, 5~41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6.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요북지역의 고인돌에 대하여 분석한 것으로 그 대상이 된 유적은 통화 만발발자, 신빈 용두산과 동구, 무순 하협심과 산용 그리고 조가분, 환인 풍가보자와 광복촌, 본계 대편지, 동풍 조추구와 보산촌 고인돌 등이다. 요북지역의 고인돌에 대한 관심은동북지역의 조사와 그궤를 같이 한다. 三國志 魏書에 언급된 양평 연리사 큰 돌이 바로 요양지역이므로 그 역사적 의미가 있다. 고인돌의 입지 조건은 요남지역과 비교하면 절대적인 높이에 있고 주변은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고인돌의 분포에서 관심을끄는 것은주변의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있다는 것이다. 대부분 유적 옆에 흐르는 강물과 연관이 있지만 대편지 유적은 무덤방이 옆에 있는 물 흐름과 나란하지 않다. 요북지역 고인돌의 덮개돌 가운데거북의모습과비슷한것이 조사되었다. 그예는 광복촌 고인돌이며, 거북의상징성인장수나영원성과연관이있는것으로해석된다. 북한지역에서는 은천우녕동, 성천군자구, 맹산기양등여러고인돌에서확인되었다. 광복촌고인돌의덮개돌 가장자리에서 작은홈이 찾아졌는데 이것은 고인돌의 축조 과정에서 덮개돌을 옮길 때 끈묶기와 연관이 있다. 덮개돌과 굄돌 등을 손질하지 않고 채석한 그 상태로 축조한 것이 있는데 관련 유적으로는 동구, 조가분고인돌이있다. 이것은당시사회의노동력을 해하는데참고가된다. 무덤방이나 덮개돌 옆에서 돌무지 시설이 발굴되었다. 이것은 근래에 남해안 지역에서 조사되고 있는 묘역식 고인돌과 비교되는데 그것은 시기에 따른 변화도 있지만 기능과 더 밀접한 것으로 여겨진다. 관련 유적은 만발발자, 풍가보자, 용두산, 하협심고인돌 등이다. 한편 대편지유적의무덤방은하나의묘역안에만들어졌는데 김해 진영, 여수 상촌, 산청 매촌리, 진주 가호동 고인돌과 비교되며 당시 사회의 발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묻기는 거의가 고조선 시기의 대표적인 주검 처리 방법인 화장을 하였고 특히 용두산 2호 고인돌에서 조사된 다인장은 그 예가 많지 않아 의미의 파악이 어렵지만 혈연과 관련이 있을것으로 해석된다. 껴묻거리는 대편지 고인돌의 미송리형 토기를 비롯하여 용두산 고인돌의 명기로 보이는 토기와겹입술의항아리그리고손잡이가4개인단지, 하협심과광복촌에서발굴된청동방울, 청동꾸미개, 철기인검, 괭이, 창등이있다. 철검은안테나식청동손잡이가있어주목되는데 서차구 유적의 철검과 비교되며 시기는 조금 늦은 것 같다. 이러한 자료를 가지고 고인돌 축조연대를 추론하면, 용두산, 광복촌, 하협심고인돌은기원전 3세기 안팎일 가능성이 많고 나머지 산용, 동구, 조가분 고인돌은 기원전 10세기 이후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dolmens around Liabei, in China. The analyzed dolmens are Tonghua Wanfabozi, Xinbin Longtoushan, Xinbin Donggou, Fushun Hejiaxin, Fushun Shanlong, Fushun Zhaojiafen, Huanren Fengjiabaozi, Tonghua Guangfucun, Benxi Dapiande, Dongfeng Zhaoqiugou and Baoshancun. These dolmens are surrounded by the mountain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olmens is that they are closely related with natural surroundings. While most dolmens are connected with the flowing rivers, the grave pit of Benxi Dapiande is not aligned with the river next to it. One of the cap stones of dolmens around Liabei is similar to the figure of a turtle. This shape is conspicuous at Tonghua Guangfucun and can be interpreted as the wishes for the longevity and eternity of those people. The small grooves of the edge of the cap stone at Tonghua Guangfucun show that they are related with binding strings. The strings are used in moving cap stones while the dolmens are constructed. The cap stones and stone props of Xinbin Donggou and Fushun Zhaojiafen are constructed without dressing stones for building. Stone mounds are excavated next to grave pits and cap stones in the dolmens around Liabei - Tonghua Wanfabozi, Huanren Fengjiabaozi, Xinbin Longtoushan, Fushun Hejiaxin, etc. The grave pit of Benxi Dapiande is made in a grave yard, which is similar to the dolmens of Gimhae Jinyeong, Yeosu Sangchon, Sancheong Mechonri and Jinju Gahodong. The result of excavation shows that the burial method is cremation, which is the typical burial method of Gojoseon. Especially, in Xinbin Longtoushan No.2, the fact that many people buried in a grave pit is identified. A pottery, a pot with the double mouth rim and a small pot with four handle shaped considered as funerary objects are excavated in Xinbin Longtoushan. The excavation shows that Misongri-type pottery in Benxi Dapiande, a bell with clapper, bronze personal ornaments, an iron sword, an iron hoe and an iron spear in Fushun Hejiaxin and Tonghua Guangfucun are funerary objects. The iron sword similar to that of Xichagou is an antenna-type sword. From this investiga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constructed period of the dolmens such as Xinbin Longtoushan, Tonghua Guangfucun and Fushun Hejiaxin is about 3 B.C. The date of dolmens of Fushun Shanlong, Xinbin Donggou and Fushun Zhaojiafen seem to be back to before 10 B.C.

목차

Ⅰ. 머리말
Ⅱ. 지금까지의 요북지역 고인돌 조사
Ⅲ. 조사된 고인돌 유적의 대개
Ⅳ. 유적의 자리
Ⅴ. 덮개돌과 고인돌 형식
Ⅵ. 특이한 무덤방과 묻기
Ⅷ.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문식(Ha Moon Sik). (2014).中國 遼北지역 고인돌의 성격. 선사와 고대, 40 , 5-41

MLA

하문식(Ha Moon Sik). "中國 遼北지역 고인돌의 성격." 선사와 고대, 40.(2014): 5-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