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이용수 507

영문명
A Study on Health Status by Social Class and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among Korean Elderly
발행기관
한국노년학회
저자명
이승미(Seung Mi Lee)
간행물 정보
『한국노년학』제22권 3호, 135~15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12.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의 사회계층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밝힌 연구이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문제제기는 노인의 사회계층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었다. 두 번째 문제제기는 노인의 사회계층에 따라 사회적 지원이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인가 하는 점이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사회계층, 사회적 지원 그리고 건강상태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툴을 분석한 결과, 사회계층이 사회단체 참여와 인지된 도구적 지원과 같은 사회적 지원을 매개로 하여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 사회계층과 사회적 지원을 매개로 한 건강상태간의 인과관계가 입증되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노인의 사회계층에 따라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원의 유행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검증한 결과, 사회계층적 지위가 높은 노인들의 경우 어떠한 사회적 지원도 기능적 건강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한 반면, 자녀와의 상화작용과 인지된 정서적 지원이 주관적 건강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계층적 지위가 낮은 노인들의 경우 자녀와의 상호작용 및 사회단체 참여가 기능적 건강상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반면, 인지된 도구적ㆍ정서적 지원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건강평가와 관련해서는 사회단체 참여와 인지된 도구적 지원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분석결과들이 갖는 의의와 노인의 계층별 건강상태 향상을 위한 정책적 합의가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e study tried a comprehensive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 existing between social class health considering psycho-social factors, such as social support, as a prime candidate for a central role in explaining disparities of social class in health among Korean elderly. The major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path analysis : In relation to the functional health, education, wealth and sex affected functional health through only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the four of social supports. In relation to the self-rated health, variables of social class affected self-rated health through the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erceived instrumental support. 2. Path analysis through cluster analysis : In relation to functional health, the result showed that any variables that consist of social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unctional health in . In contrast, interactions with adult-children and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unctional health in . In elation to the self-rated health, the result showed that interactions with adult-children and perceived emotional support affected positively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n . In contrast, except for the perceived emotional social support, all types of social supports-interactions with adult-children,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and perceived instrumental support-wer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positively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in .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승미(Seung Mi Lee). (2002).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 (3), 135-157

MLA

이승미(Seung Mi Lee). "한국 노인의 사회계층별 건강상태와 사회적 지원의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3(2002): 135-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