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古小說애 나타난 母性像

이용수 153

영문명
The Image of a Mother Revealed in Classical Novels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정하영(Jeong, Ha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권, 221~24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어머니는 문학, 음악, 미술 등 여러 예술 양식의 중요한 제재가 되어 왔으며, 고소설에서도 중요한 작중인불 가운데 하나로 등장한다. 고소설의 주변인물로 등장하는 어머니像은 신화, 설화로 이어지는 서사운학의 맥락을 계승하고 있다. 여성은 딸, 아내, 며느리의 역할을 거쳐서 어머니가 되며, 작품 속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역할은 '낳는 일'과 '기르고 돌보는 일'로 요약된다. 신화에서는 '낳는 일'에 중점을 둔 '어머니 되기'를 중시하고, 설화는 '기르고 돌보는 일'에 중점을 둔 '어머니노릇 하기'에 중점을 둔다. 고소설에서 어머니는 이 두 가지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고소설은 '逸脫的 사건'과 '문제적 인물'을 다루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고소설에선느 어머니를 '성스럽고 고귀한 존재'로 보면서도 부정적이거나 문제적 인물을 등장시켜 바람직한 어머니상을 제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영문 초록

'Mother' is a special being connected with the whole life journey of a person and her . image has been substantial material for various art foam of literature, music, painting, etc. In relation with all sorts of things ranging from one's birth and growth to one's marriage, a mother directly and indirectly exerts her influence upon her child. Naturally, the presence and role of a mother are seriously taken in classical novels which contain the narrative cf a character's lifetime. As a character, a mother records the most frequent appearance in classical novels, but the weight of her role in the work does not match the frequency of her appearance. It is hard to find any work in which a mother is entitled to the role of a main character. In most works she is one of the marginal characters with insignificant roles. Based on the typical image of a mother in the Choseon Dynasty, the mother's image depicted in classical novels embraces and cherishes the traditional image of a mother in myths and fables. In the male-oriented Choseon society a woman became a mother through the cycle of daughter, wife, and daughter-in-law. Although she had various roles as mother, her roles could be conclusively divided into two important things; child-bearing and child-rearing. In myths che narrative illuminates the child-bearing and in fables the child-rearing is emphasized. Upholding and embracing the tradition of myths and fables, classical novels develop the image of a mother. The narrative of a main character's birth unfolds the image of 'becoming a mother', and the process of one's growth, marriage, and social success highlights 'playing the role of a mother'. Classical novels depict the image of a mother as 'a sacred and precious being,' while the delineated role of a mother is 'negative and passive'. If the patriarch of a family is absent or cannot do his job properly, the role of a mother is represented as aggressive and active. Since classical novels deal with 'deviated events' and 'problematic characters', the image of a mother cannot often escape from being negative or problematic instead of being common, ordinary, or modest. The reason of frequent negative image of a mother can be seen as a stratagem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ader's interest in and curiosity for classical novels. Simultaneously, the stratagem reflects the male-oriented way of thinking by which the patriarchical society tried to moralize about the behaviour of women through literature.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母性像 이해를 위한 전제적 검토
3. 說話 傳統 속의 어머니
4. 고소설 作中人物로서의 어머니像
5. 古小說에 나타난 母性像과 그 意味
6. 結論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하영(Jeong, Ha young). (2002).古小說애 나타난 母性像.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 , 221-249

MLA

정하영(Jeong, Ha young). "古小說애 나타난 母性像."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2002): 221-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