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송강가사에 나타난 여성화자와 송강의 세계관

이용수 817

영문명
A Female Speaker in Songgang(송강) Gasa(가사) and Songgang's View of the World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조세형(Cho Se h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4권, 157~18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2.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송강이 그의 가사 작품에 여성 화자를 선택한 이유와 그 의미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고의 논의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후미인곡>의 여성화자가 나타날 수 있는 근거를 송강가사의 전반작인 표현 특성 및 송강의 세계관을 통하여 알아 보았다. <관동별곡>과 <성산별곡>은 세계를 둘이 아니라 하나로 파악하려는 송강의 세계관을 그 바탕에 깔고 있다. 송강의 문학 세계는 선험적인 것과 경험적인 것 모두를 아우르려는 그의 세계관을 반영한다. 둘째, <전후미인곡>의 여성화자는 송강가사 전반에서 드러나는 일상성과 더불어 여성성의 원리를 구현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사미인곡>에서 보이는 화자의 이중적인 태도는 한편으로 관념적이면서 한편으로 현실적인 지향을 보인 송강의 의식 세계를 드러내며, 현실지향과 초월지향이 동시에 구현되는 '몸'과 관련된다. <속미인곡>에서는 별도의 인물이 등상하여 동일한 인물의 내면에서 있을 법한 모순된 심리를 나누어 맡고 있는 점이 다르다. 육체 페미니즘의 기준으로 보자면, 결국 송강의 현실 지향성과 초윌 지향성이라는 양가적인 성향을 가장 잘 드러내 줄 수 있는 것은 여성화자였다. 셋째 송강가사에서 드러나는 일상성과 여성성의 문제가 결국은 근대적 정후와도 연결될 수 있음을 조선후기의 문학사적인 사실과 관련하여 검토하였다. 일상성 내지 육체성의 주제는 일관된 세계관의 소산으로, 현실과 초월이라는 송강의 사유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송강가사의 '님'은 문화적 전통과 공통된 가치체계 위에 송강 개인이 변용한 결과이다. 이것은 당시로서는 당위의 체계이던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한 셈이다. <전후미인곡>은현실의 몸을 통하여 초월이 발현되는 새로운 시ㆍ공간을 이미 구유하고 있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ason why Songgang choose a female speaker in his Gasa works and its mean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inquire the basis that a female speaker can appear in two Miingok(미인곡) with general expression characteristic of Songgang Gasa and Songgang's view of the world. Gwandongbyeolgok(관동별곡) and Sungsanbyeolgok(성산별곡) are based on Songgang's view that he understands the world as one. His works reflect his own view of the world that put both the experiential thing and the transcendental thing together. Second, I prove that the female speaker of two miingok embody principles of a feminineness in addition to a ordinariness found in overall Songgang Gasa. The duplicate attitude of Samiingok(사미인곡)'s speaker reveals Songgang's consciousness system which shows on the one hand ideality orientation and on the other hand reality orientation, and is connected with the 'Body' which embodies the transcendence orientation and the reality orientation simultaneously. In Sokmiingok(속미인곡), another speaker appears and the two share one person's inconsistent inner mind. So this work is different to Samiingok. It is a female speaker that can show Songgang's duplicate orientation best, in the respect of Corporeal Feminism. Third, I determine that the matter of ordinariness and feminineness in Songgang Gasa is finally linked to a modern indication, connecting with the literary-historical facts of Late Chosun(조선) Age. The ordinary or bodily theme of Songgang Gasa is a output of Songgang's coherent world-view, the transcendence and reality. 'Nim(님, the lover)' of Songgang Gasa is a result that Songgang deforms the cultural tradition and common value system. This is to raise a doubt about a system of what should be. Two Miingok has already a new time and space where a transcendence is revealed through a body of reality.

목차

<국문초록>
1. 문제 제기
2. 송강가사의 표현 특성과 송강의 세계관
3. <전후미인곡>의 여성화자와 '여성의 몸'
4. 일상성과 여성생의 문학사적 의의 : 결론을 대신하여
참고 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세형(Cho Se hyoung). (2002).송강가사에 나타난 여성화자와 송강의 세계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 , 157-187

MLA

조세형(Cho Se hyoung). "송강가사에 나타난 여성화자와 송강의 세계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2002): 157-1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