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규방가사ㆍ민요ㆍ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이용수 203
- 영문명
- Motherhood Depicted in Gyubang-gasa (women's poetic prose), Folk Songs, and Enlightenment Poetic Prose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저자명
- 이형대(Lee Hyung dae)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4권, 153~184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규방가사와 민요, 계몽가사의 모성 표상을 대비적으로 분석하여 각각의 장르 및 시대, 계층에 따라 작품에 형상화된 모성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거시적으로 조망하고자 작성되었다. 본고에서는 모성이 생득적이거나, 또는 항구적이고 보편적인 어머니의 역할을 의미한다기보다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고 학습된 것이라는 입장을 취한다.
조선후기에 생성된 규방가사의 경우, 유교적 모성이데올로기를 내면화 한 전형계녀가가 주종을 이룬다. 하지만, 가부장제의 규율 권력 아래 상처 받은 딸아이와의 체험적 연대의식에 기반한 공감적 모성과 하층의 신산한 인생체험을 공유했던 남편과의 애정적 결실이기에 장애인 아들에게 대가없이 베푸는 헌신적 모성 등 신변탄식류 규방가사에서는 儒家의 가부장적 모성이데올로기로 환원할 수 없는 능동적이고 생성적인 모성역할도 나타난다.
하층의 생활체험을 분방한 상상력으로 형상화한 민요에서는 가족적 경계에서 강요되는 어머니의 역할에 정주하지 않는 모성이 보인다. 戀母謠나 자장노래 등에서는 생명적 원천으로서의 자애로운 모성형상이 그려지기도 하지만 노동요나 유희요 등에서는 모성 자체를 포기하고 본능적 욕망을 추구하는 자기애적 어머니의 형상이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민요는 여성의 체험적 자기진술이라기 보다는 허구적 화자를 통한 욕망의 대리실현적 언술이라고 할 수 있다.
제국주의의 침탈에 의한 국가존망의 위기적 상황에서 창작된 근대 계몽기의 계몽가사에서는 국가주의적 모성 역할이 크게 요구되었다. 어머니는 국권회복과 동시에 근대 민족국가의 수립에 필요한 국민을 생산하고 양육해야 하는 존재였기 때문에 구국적이고 애국적인 모성역할이 부여되었던 것이다. 이는 대체로 남성 계몽지식인들에 의해 주창되었던 바, 여성지식인들도 별다른 비판없이 동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모성은 역사적 상황이나 사회적 조건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던 바, 그 장르내적 유형과 담화방식에 따른 차이 등의 미시적 분석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과제로 남겨두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pres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therhood expressed in Gyubang-gasa (women's poetic prose), folk songs, and enlightenment poetic prose, and to shed light on them from a macro point of view to see how the motherhood depicted in these works is different according to genres, times, and classes of the authors. This paper views motherhood not as the innate, permanent, or universal role of a mother, but as something acquired and learned socio-culturally.
As for women's poetic proses written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mainstream is Jeonhyeong-gyenyeoga (precept-themed poetic proses for daughters before marriage) based on Confucian motherhood ideologue. However, appearing in women's poetic proses on lamenting their lives are several roles of motherhood that are active and inborn and that cannot revert to the Confucian patriarchical mother ideologue: the motherhood of a mother that was based on a shared, experiential sense of unity with her daughter who was hurt by the regulation and authority of the patriarchical system; and the dedicated motherhood of a woman who shared a low-class people's painful life experience with her husband suffering from four disabled limbs but who fulfilled fruitful love with him by taking care of him.
Appearing in folk songs written about low-class people's life experience using free imagination is the motherhood that does not succumb to the forced role of a mother within the boundary of a family. In love songs for mothers and lullabies, the benevolent mother image as the source of life is described, while in Nodongyo (labor songs) or Yuhiyo (game songs) the image of a self-love mother who gives up on motherhood but seeks instinct desires appears. These folk songs are deemed not as the women's experiential self statement, but as an indirect realization of their desires through fictional speakers.
Enlightenment poetic proses were written during the early modern enlightenment period when imperialists invaded the nation endangering its existence, because the role of patriotic motherhood was keenly required. Since mothers were responsible for giving birth to and raising nationals who were needed to recover national sovereignty and to establish an early modern people nation, they were required to play the nation-saving, patriotic role. This move was spearheaded mainly by male intellectuals who sought enlightenment, and thus female intellectuals seem to have followed them passively.
As such, motherhood was formed in diverse different ways according to historical situations and social conditions. Thus, micro-analysis of motherhood sh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to define the difference arising from various types within the genre and from ways of discourse.
목차
국문초록
1. 문제의 소재
2. 고전시가와 모성의 형상화 양상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창 김소희의 소리 미학과 판소리사적 의의
- 『삼국유사』에 나타난 모성의 형상화
- 19세기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의 여성재현
- 1920~30년대 동요에 나타난 '누나'의 이미지
- 모성(母性)의 문화에 대한 신화적 담론
-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에 대한 질의문
- <문전본풀이> 연구에 대한 질의문
- 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 규방가사ㆍ민요ㆍ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 장편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존재방식과 모성
- <정읍사>의 여성 화자 태도와 그 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소현성록>에서 드러나는 남편들의 폭력성과 서술 시각
-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 조선시대 여성묘지명에 나타난 서술 원리와 그 양상
- 朝鮮時代 後宮傳記文 硏究
-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수용 양상
- 신변탄식류 규방가사 <쳥ᄉᆞᆼ가>를 통해본 자전적 글쓰기의 의미
- "신변탄식류 규방가사 <쳥ᄉᆞᆼ가>를 통해서 본 자전적 글쓰기의 의미"(김수경)에 대한 질의문
- <삼강명행록>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 <문전본풀이> 연구
- <18세기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성>에 대한 질의문
- 18세기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