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삼국유사』에 나타난 모성의 형상화
이용수 156
- 영문명
- The Formation of Motherhood in Samguk yusa
- 발행기관
- 한국고전여성문학회
- 저자명
- 이대형(Lee Dae h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4권, 81~111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삼국시대의 문화를 담고 있는 『삼국유사』에는 세 가지 유형의 모성이 등장한다. 먼저, 신화적 흔적을 보이는 모성 형상이 있다. 아도화상의 모친 고도령이 해당한다. 고도령은 자식에게 한 나라의 세계관을 변화시켜 새로운 인식지평을 확립시키는 역할을 부여한다는 점에서 母性神의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이는 조선시대 모성과 비교할 때 아들을 품에서 떼어 엄하게 훈육했던 모습은 유사하지만 이미 규범화 된 가치관을 따랐던 모습이 아니라는 점에서 차원이 다르다.
일상세계에서 보이는 모성의 모습은 자신보다 자식을 걱정하는 마음이다. 이러한 면모는 <貧女養母>와 <盲兒得眼>ㆍ<敏藏寺> 등에서 볼 수 있다. 자기보다 자식을 더 걱정하기 때문에 자식에게 어려움이 닥쳤을 때 말하지 않더라도 그것을 알 수 있고, 자식이 곤란에 처했을 때는 안타까운 마음을 기도에 담아 정성을 다하는 전통적인 어머니상이다. 그리고 진정법사의 모친은 자신을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손순의 아내는 불교적 해석으로 아이를 구해내는 모습을 보여준다.
삼국시대에 중요한 흐름을 형성했던 관세음신앙에서도 모성을 발견할 수 있다. <백월산양성성도기>의 여자에 대해 일연은 모성으로 해석하는 관점을 보여주었다. <백월산양성성도기>는 『法華靈驗傳』의 <羽族慣聞, 而便脫業軀>와 대비된다.
영문 초록
Samguk yusa holds three types of motherhood. The first type shows vestiges of maternal myths. Go Do-neong(高道寧) who is mother of Ado(阿道) bonze comes under the type. Go Do-neong endowed his son the role of differentiating a view of the world nationally. It is different from mothers who followed traditional values in Joseon.
The second type is traditional, showed in everyday life. The type's mother concerns her son than herself. This figure is showed in ㆍㆍ etc. is recorded even in Beophwa youngheom jeon
The third type is found in the stories about Bodhisattva Avalokitesvara. The faith of Bodhisattva Avalokitesvara is important in Samguk(三國) period. Bodhisattva Avalokitesvara takes care of living things by various characters corresponding to living things, make an appearance of motherhood occasionally.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기존 연구 검토
3. 『삼국유사』의 모성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명창 김소희의 소리 미학과 판소리사적 의의
- 『삼국유사』에 나타난 모성의 형상화
- 19세기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의 여성재현
- 1920~30년대 동요에 나타난 '누나'의 이미지
- 모성(母性)의 문화에 대한 신화적 담론
-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에 대한 질의문
- <문전본풀이> 연구에 대한 질의문
- 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 규방가사ㆍ민요ㆍ계몽가사의 모성 표상
-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 장편고전소설에 나타나는 어머니의 존재방식과 모성
- <정읍사>의 여성 화자 태도와 그 의미에 대한 시론적 고찰
- <소현성록>에서 드러나는 남편들의 폭력성과 서술 시각
- <윤하정삼문취록>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 조선시대 여성묘지명에 나타난 서술 원리와 그 양상
- 朝鮮時代 後宮傳記文 硏究
- 판소리 문학에서 삼강행실도의 수용 양상
- 신변탄식류 규방가사 <쳥ᄉᆞᆼ가>를 통해본 자전적 글쓰기의 의미
- "신변탄식류 규방가사 <쳥ᄉᆞᆼ가>를 통해서 본 자전적 글쓰기의 의미"(김수경)에 대한 질의문
- <삼강명행록>을 통해 본 여성의 성장
-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 <문전본풀이> 연구
- <18세기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성>에 대한 질의문
- 18세기 연행록 속에 나타난 중국의 여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