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이용수 556

영문명
On the Formation of Discourses on Motherhood and Engendering Strategy in the Early Modern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김복순(Kim Bok soon)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4권, 5~51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무엇이 사실이고 올바른 것인가 하는 것은 일종의 정치적인 싸움이다. 모든 담론적 주체는 각각의 성별, 계층별, 국가별, 민족별로 시선의 '차이'를 가지고 담론기제를 작동시킨다. 근대초기의 각종 저작물을 검토한 결과 남성젠더의 글과 여성젠더의 글은 극명하게 시선의 차이를 드러내고 있었다. 여성젠더의 여성담론은 모성담론 및 가족담론 결여형태였으며, 여성 개인의 권리ㆍ자유에 우선성을 두는 체제변혁적 담론이었다. 근대 초기 여성젠더의 여성담론에서 핵심적 개조대상은 '가족'이나 '모성'이 아니라 '여성'이었고, 가족과 여성은 분리되어 있었다. 또한 차별에 항거하는 차이 인정론이었으며, 국가담론과의 관계에 있어서도 일방적으로 국가담론에 종속되지 않았다. 여성젠더의 여성담론은 여성 보편에 대한 합리적 인간 범주에의 편입 요구, 이성적 여성의 인정, 인식론적 불평등에 대한 수정 요구 등을 통해 여성의 사회적 욕망을 드러내는 여성의 자발적 실천 작업의 일환이었다. 이것이 여성젠더의 여성담론이 근대성과 결합하는 방식이었다. 반면 남성젠더의 여성담론은 어린이교양을 발명하고 제도로서의 주부를 요구함으로써 여성의 모성 환원을 꾀하고, 국가담론 및 가족담론에 여성을 종속시키는 논리를 전개하였다. 남성젠더의 여성담론은 여성 개인의 권리ㆍ자유보다 국가 발전 및 남성의 여성지배가 우선성이었으며, '현모' '현모양처' '제도로서의 주부'가 그 논거로 활용되었다. 남성젠더에게 가족과 모성은 '근대'라는 포괄적 틀의 어젠다였고, 한국적 근대 모형의 기본 요소였다. 하지만 여기서 여성은 가정의 관리자 및 1차 통제자의 역할을 부여받음으로써 사적 주체 및 공적 주체로 위치지어졌다. 여기서는 체제변혁적인 측면과 체제유지적인 양 측면이 모두 드러났다. 1905년 전의 모성형식은 '현모론'으로 양처 개념이 현저히 드러나지 않았고, 양처 개념이 추가된 것은 1905년 이후의 제3유형에서부터이다. 현모론에 비해 현모양처론은 여성을 더욱 종속시키는 방향이었다. 남성젠더의 담론에서, 근대초기의 모성형식은 '양처'보다 '현모'에 비중을 두고 있었는데, 이는 '양처'에 중심을 두는 일본의 양처현모와는 다르다. 제2유형인 현모론과 제3유형인 현모양처론에서의 현모 개념의 내포의 차이는 거의 드러나지 않았다. 한편 어른으로부터의 어린이의 분리는 학교와 가정이라는 새로운 규율사회의 탄생을 형성하였다. 사랑과 믿음에 기초하는 색다른 훈육방식이 적용되는 가정에서, 제도로서 요구된 주부는 새로운 입법자로서의 권리와 의무를 부여받았는데, 권리는 '합리적 폭력으로서의 모성'을 사회적으로 공인받는 것이었으며, 의무는 '죄' 개념의 적용으로 이어졌다. 새로운 입법자로서의 주부-여성은 '약자의 약자 억압성'을 갖게 된다.

영문 초록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essays on motherhood of masculine and feminin gender show enormous difference of viewing. Discourses of feminin gender were not on that of motherhood and family, which were rule-breaking discourses giving priority on liberty and right of every woman. Their main reconstructing target was 'woman', not 'family' or 'motherhood'. It demanded that universality on women be under the category of rational human beings and epistemological discrimination be revised. However, discourses on women of masculine gender argued not only child for culture but also homemaker as a system. They traped women under the name of motherhood and to subordinate women under the discourses of nation and family. Before 1905, the form of motherhood was mainly 'wise mother' and the conception of 'good wife' appeared after 1905 in third pattern. Compared with the discourses on 'wise mother', discourses on 'a wise mother and good wife' more subordinated women. On the other hand, separation of child from adults formed new ruling systems called school and family. Homemakers formally acquired new right and duty, which formally admitted motherhood as rational violence and led to application of new concept of 'crime'.

목차

국문초록
1. 모성제도 연구에 부재하는 페미니즘 시각
2. 모성 젠더화 전략의 차이와 국가ㆍ가족담론과의 연관
3. 모성형식의 전개와 재편
4. '합리적 폭력으로서의 모성'의 공인과 죄 개념의 적용
5. 맺으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복순(Kim Bok soon). (2007).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 , 5-51

MLA

김복순(Kim Bok soon). "근대초기 모성담론의 형성과 젠더화 전략."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2007): 5-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