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이용수 373

영문명
Motherhood in the Silla dynasty and Hyang-Ga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신재홍(Shin Jae h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4권, 53~79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모성(母性)이라는 주제를 통해 향가의 역사성과 보편성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안민가>와 <도천수관음가>에 모성이 형상화되어 있는데, 그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몇몇 사례만으로는 논의하기 어렵고, 『화랑세기』의 다양한 어머니상 및 모성의 정치적, 제도적 양상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화랑세기』의 어머니들은 아들에 관련된 일에 민감하고, 아들을 훈육하며, 아들로부터 사랑받고, 아들 앞에서 참회의 눈물도 흘린다. 그러면서도 인통 간의 갈등, 가도의 전승, 과도한 남성 편력, 아들과의 유별난 친밀감 등 당대적 양상을 드러낸다. 특히, 모성 정치의 비중이 크고 여러 제도에서 모성의 구현을 의도한 점 등은 신라 시대 모성의 특성을 잘 보여 준다. 신라는 골품제를 근간으로 한 신분제하에 색공제, 근친혼제, 모계제, 부권제 등에 의해 운용된 사회였다. 이러한 제도들 속에서 모성보다는 성(섹슈얼리티)이 우선함으로써 어머니역할에서 모성과 성 간의 갈등도 나타나고 마복자와 같은 특이한 제도도 생겨났다. 그리고 모성은 아이 양육의 면에서 개별적이기보다 집단적인 성격을 띠었다. 또한 부권제하의 모계 친족 사회였던 관계로 모성은 부권제에 따른 사회 통합적 가치관을 자식에게 가르치는 역할도 지녔다. <안민가>에서 모성은 사회 현실에 작용하는 사랑의 가치로 이념화되었다. '신하는 어머니'라고 한 진술은 모계 친족 집단인 진골귀족이 임금을 올바로 보필하고 백성을 잘 부양할 것을 역설한 것이다. 신라 사회에서 차지하는 진골귀족 집단의 역할을 중시한 시대 의식이 깔려 있다. <도천수관음가>에서 모성은 종교적 지향과 실천을 통해 자비의 가치를 드러내었다. 아이의 눈을 뜨게 하려는 모성은 인간과 신 사이를 매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신성을 구현하는 주체가 되었다. 자녀를 위해 신앙의 힘을 빌리는 어머니의 모습에서 시대와 지역을 초월한 보편적 모성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shows the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f Hyang-Ga's themes through investigation of motherhood in the Silla dynasty. Motherhood is depicted in Anmin-Ga and DoCheonsuGwaneum-Ga.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warangsegi to underst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motherhood in two works. The mothers in Hwarangsegi are sensitive and loved by their sons. They also educate their sons to accept the good values of society. These are universal aspects still relevant today. Nevertheless, they also contain particular aspects of Shilla. There are conflicts between family lines with the rights to the Queen's throne, succession of family enterprises, involvements with many men, and special intimacy between mother and son. It is particular to note that mothers' politics has importance in Shilla imperial court and motherhood is clearly marked on many organizations in the nation. The Shilla society had the following systems: social status Golpum, intermarriage, maternal lineage, and patriarchy. Under these systems, sexuality took precedence over motherhood. As such, conflicts between motherhood and sexuality appeared frequently and the peculiar filial system called Mabokja was created. Mothers brought up their children collectively in the realm of noble classes. They had a role of teaching the socially integrating values under the coexistence of patriarchy and maternal lineage. Anmin-Ga shows motherhood as a love to be realized in the society. The passage of the poem 'the ministers are mothers' means that the Jingol noble classes should support the throne and take care of people as well. The poem's meaning is based on the thought of that times. DoCheonsuGwaneum-Ga shows motherhood as a mercy to be practised with religious attitude. Motherhood springing out mercy to disabled son does not only mediate between human and god, but also embodies the divinity. In the figure of mother's prayer for son we can see the universal motherhood that defies times and spaces.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화랑세기』에 나타난 모성
3. 향가에 그려진 모성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재홍(Shin Jae hong). (2007).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 , 53-79

MLA

신재홍(Shin Jae hong). "신라 사회의 모성과 향가."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2007): 5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