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이용수 134

영문명
Mother Reflected on Chinese Prose -Focusing on Discussion about Eight Types of Mother's Funeral Garments and Writings on Mother in the 18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전여성문학회
저자명
이은영(Lee Eun young)
간행물 정보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제14권, 113~151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임병양란 이후 유교적 질서가 흔들리고 성리학적 논리가 위기에 봉착하게 되는 18세기, 宗法제도의 정착 및 家禮의 저변 확대와 맞물려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어머니 服制담론을 통해 당시 '禮'라고 하는 규범 속에 투영된 어머니 상을 고찰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服制의 기준이 되는 것은 혈연관계와 명분관계를 규정하는 '의리'와 '은혜' 개념이다. 그러나 소생관계와 양육관계 의리 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어머니 복제의 경우, 어떠한 경우를 막론하고 가장 극진한 형태로 지켜졌던 아버지 복제와 달리 변수에 따라 다양한 층차가 만들어졌다. 우선 生母라 하더라도 남의 後嗣로 아들을 내보낸 경우에는 降服, 또는 無服의 규정이 적용되었다. 그 은혜를 고려하여 伸服의 근거를 찾는 논의들이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두 개의 계통을 둘 수 없다는 종법의 원칙은 '은혜'보다 '의리'를 앞세워 생모를 배제하는 쪽으로 논의를 이끌었다. 생모 가운데 黜母와 嫁母의 복제는 의리의 잣대가 더 엄격하게 적용되었다. 특히 가모는 열녀 이데올로기와 맞물려 남편과 자식에 대한 의리를 저버린 것으로 규정되었으며 무복 규정에 정당성을 부여하는 논리적 근거가 되었다. 庶母들에 대해서는 '은혜와 의리의 경중'에 따라 차별화된 복제가 적용되었다. 다만, 경중은 철저히 가부장적 논리에 의해 재단되어, 아버지의 명에 의해 양육 관계가 맺어진 경우에만 친모에 상응하는 복제가 허용되었고 자식을 두지 못한 서모는 어머니의 지위를 획득하지 못하고 무복이 적용되었다. 남의 아이를 입양하여 키운 養母와 수유를 받을 수 없는 아이에게 젖을 먹이고 키워준 乳母는 혈연이나 종통에 관계없이 '은혜'만으로 복을 입었다. 그러나 당시 時俗은 신분의 비천함을 들어 복을 입지 않으려하였고 의식 있는 선비들은 은혜의 중요성을 들어 복을 입어야 한다는 담론을 이끌었다. 어머니 복제 담론은 立後와 蓄妾등으로 파생되는 복잡한 가족 관계망 속에서 명분과 인정을 조율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논의는 명분(의리)을 중심을 인정(은혜)을 포용하는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흐름은 종법제의 강화, 열녀 이데올로기의 확산, 가례의 저변 확대로 이어지는 일련의 보수적 움직임과 관련을 갖는다. 그러나 公論의 장에서 한 발 벗어났을 때 사대부들은 그들 스스로가 생모를 따로 둔 자식이기도 하였고 어머니를 여의고 서모나 유모에게 양육된 사람이기도 하였다. 이들이 생모 또는 서모, 유모를 대상으로 하여 남긴 墓誌銘, 行狀, 祭文등에는 喪服이라는 제도를 통해 공식적으로 예우되지 못한 어머니에 대한 슬픔과 회한이 여실히 무르녹아 있다. 담론에서 간취할 수 있는 원론 중심의 강경한 어조, 그리고 사적인 표현 매체 나타나는 자식의 진솔한 눈물은 종법 제도를 지탱하며 살아야 했던 당시 母子관계의 표면과 이면이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goal of research is to examine the image of mother projected on the contemporary norm of 'decorum' via the discussion about the traditional system of mother's mourning attire which became vivacious in gear with the establishment of clan constitution and base expansion of the family formalities, in the 18th century when the confucianist order was shaken and the logic of Sung Confucianism was at risk after the disturbances of two wars,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Ching's Invasion in 1636. The reference of mourning dress code includes 'loyalty' and 'obligation' which define consanguinity and justification, respectively. In the case of mother's mourning garments, unlike those for father which were observed with the utmost devotion regardless of differentiated relations, there were varied ranks depending on the distinct relations of bearing, breeding, and loyalty. First, Sayngmo (birth mother), when she sent her son to another family as heir, was applied a demoted clothing or no funeral clothing. There were disputes about locating the grounds for the proper mourning clothes in consideration of her obligation, but they came to a conclusion that she should be excluded due to the precedence of 'loyalty' over obligation which is in line with the principle of clan constitution that there can be no two pedigrees allowed. The funeral garments for Chwulmo (divorced mother) and Kamo (remarried mother), among other birth bothers, are given a more rigorous yardstick of loyalty. Kamo, in particular, was defined to have abandoned the loyalty to husband and children on account of the ideology about virtuous women, which provided a logical basis for no mourning clothes for her. As for Semo (father's concubine), differentiated types of mourning garments were applied in accordance with the 'weight of obligation and loyalty.' This weight was judged completely by the patriarchal logic, and only the cases which were allowed breeding relationship by father's order could be applied to the mourning system, comparable to blood mother. On the other hand, Semo who did not have children was not allowed any mourning clothes, not obtaining the status of mother. Yangmo (foster mother), who adopted and brought up a child, and Yumo (nurse), who nursed a child who could not be fed, were requited mainly for their 'obligation,' irrespective of the blood ties or lineage. However, the customs of the age would not allow them that benefit for the reason of their mean social positions. Meanwhile, some sensible scholars led discussion that they must be rewarded based on the obligation. The discussion about mother's mourning garments was the process of tuning cause and humanity in the complex network of family relations derived from adoption of another family's son as heir and concubinage. It went in the direction of embracing the humanity (obligation) with the cause (loyalty) in the center, and this move has to do with a train of conservative propensities such as reinforcement of clan rules, diffusion of the ideology of virtuous women, and basal expansion of the family formalities. Outside the public opinion was the fact that the gentry themselves were the sons with their own birth mothers or were brought up by Semo or Yumo after their own mothers' deaths. The epitaphs, histories of the deceased, and funeral orations, which they left for Sayngmo, Semo, or Yumo, abound in vivid expressions of sorrow and remorse for the mothers who were not treated with official respect through the mourner's garb. The uncompromising tones based on principles that can be noticed in their discussion and the sons' sincere tears manifested in the media of personal expressions can be viewed as the outside and insid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 and son who had to live under the clan constitution, while maintaining it.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義와 恩의 규범화: 八母 服制 담론의 전개 양상
3. 恩과 情의 형상화: 碑誌ㆍ傳狀ㆍ祭文에 나타난 어머니
4. 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영(Lee Eun young). (2007).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 , 113-151

MLA

이은영(Lee Eun young). "한문 산문에 투영된 어머니."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14.(2007): 113-1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