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동아공영권론과 '협력적' 지식인의 인식지형

이용수 395

영문명
Common Prospering Area of Great East Asia and Recognitive Topography of the Cooperative Intellectual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최규진(Choi, Kyu-jin)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50집, 39~76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5.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협력적 지식인이 대동아공영권론에 어떻게 포섭되었는지를 몇 개의 인식소를 통해 분석하면서 그들이 자발적 동의에 이르는 과정을 설명했다. 대동아공영권론은 사람들을 동원하고 전쟁의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노릇을 했다. 그렇다고 대동아공영권론이 아무런 이론도 없는 '전쟁의 수사학'만은 아니었다. 대동아공영권은 그 나름의 '문법체계'를 가지고 있었고, 조선인 지식인에게 '번역과 해석의 문제'를 던져주었다. 식민지의 지식인들은 '세계사를 혁신하는 중요한 사건'인 중일전쟁 뒤에 역사의 '전형기'(轉形期)가 왔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자신들의 임무를 '사상통일'과 '문화통합'에 두었다. 체제 내적 지식인들은 그 임무를 하면서 제국 체제에 순응했다. 그러나 제국의 담론과 협력적 지식인의 담론 사이에는 균열이 있기도 했다. 그 균열을 저항의 거점이라고 볼 수 있을까. 이 글은 그 '균열'에는 실천적 저항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전혀 없었다는 것, 그리고 제국 담론과 식민지 지식인의 담론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설령 협력적 지식인이 "모방하면서 차이를 만들어내는" 전유(專有, Appropriation)의 과정을 거쳤다 하더라도, 그 '차이'는 커 보이지 않는다. 협력적 지식인의 '담론실천'이란 끝내 제국주의 논리를 해석하면서 보완하고 다시 그것을 대중에게 퍼뜨리는 역할을 했을 따름이다. 체제 내적인 지식인이 발을 딛고 있는 곳에는 제국의 질서를 교란할 아무런 매개가 없었다. 제국과 식민담론이 착종하는 지점에서는 질서를 교란하기는커녕 질서 내부로 흡인하는 힘이 더욱 크게 작동되고 있었다. 그 작동 메커니즘은 지식인에게는 덫이자 늪이 되었다. 체제 내적 지식인과 대척점에 서있었던 대안적 지식인도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제대로 실현할 수 없는 역사 상황을 맞이했다. 그리고 계급연합의 질곡 속에서 자신의 뜻을 다 펼칠 수 없었다. 협력적 지식인의 환상은 제거되어야 할 것이었다면, 대안적 지식인의 질곡은 돌파해야 할 것이었다. 결코 그 두 진영을 같은 차원에서 평가할 수는 없다. 이 글은 체제 내적 지식인과 대안적 지식인이 해방 뒤에 미국과 소련이 진주하는 상황을 맞이하여 어떻게 대응을 했는지를 통시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영문 초록

In this thesis, I explained how the cooperative intellectual were involved in the theory of common prospering area of great east asia (大東亞共榮圈) voluntarily, by analysing a few cognitive elements. The theory of common prospering area of great east asia played an important role to justify the necessity of war and to mobilize people. But this theory was not only 'the rhetoric of war' without any logic. It had its own 'the logical frame', and gave 'the problem of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to the korean intellectual. The colonized intellectual thought that the transforming period after the chinese-Japanese war has come, the important accident for the world history renovation. Also, they regarded 'the unity of thought' and 'the cultural integration' as their mission. The intellectual in the regime accepted the imperial system, doing that mission. However there was a crack between the imperial discourse and the colony intellectual's discourse. Was that crack said to be a base of resistance? In this thesis, I emphasized that there was no possibility to make a practical resistance in that crack, and the difference between two discourses was not significant. 'The discoursing practice' of cooperative intellectual played a role to interpret and correct the imperial theory and to spread it to the public. They had no triggering motive to disturb the imperial order. In the clashing spot of two discourses, the power to absorb the order worked forcefully than to perturb it. That mechanism was the trap or the swamp to the intellectual. Alternative intellectual, though they stood in the opposite side of cooperative intellectual, could not realize the proletariat internationalism among the fetters of class union. Of course, two intellectuals could never be evaluate in the same respect. But, the fantasy of cooperative intellectual must be eliminated, and the fetters of alternative intellectual must be broken through. In this thesis, I presented the necessity to research how cooperative intellectual and alternative intellectual had dealt with the situation after the liberation diachronically.

목차

Ⅰ. 머리말
Ⅱ. 전쟁의 수사 또는 이념
Ⅲ. 포위된 지리와 포섭된 사상
Ⅳ. '사실의 수리(受理)' 대 '혁명적 낙관주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규진(Choi, Kyu-jin). (2014).대동아공영권론과 '협력적' 지식인의 인식지형. 역사문화연구, 50 , 39-76

MLA

최규진(Choi, Kyu-jin). "대동아공영권론과 '협력적' 지식인의 인식지형." 역사문화연구, 50.(2014): 39-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