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성 담론으로 본 미술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고찰

이용수 1576

영문명
Visual Art and Creativity: Educational Implications based on Discussions on Creativity in Art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김형숙(KIM Hyungsook) 박미진(PARK Meejin)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8券 1號, 123~159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4.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술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담론들은 철학, 문학, 예술, 기술과 같은 다양한 학문의 발전과 맥락을 같이 하며 시대별, 문화별로 차이를 드러내는데, 이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서양 미술의 창조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추구되는 특성은 '새로움'과 '독창성'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새로움과 독창성을 추구하는 창의성이 미술 영역에서는 어떠한 특성을 가지는가를 살펴보기 위하여 합류 이론을 바탕으로 개인, 영역 , 환경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미술 창의성의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 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미술 창의성의 특성은 개인적인 측면에서는 인지 능력으로서 문제 발견 능력과 정의적 특성으로서 자율성이 강조됨을 제안하였으며, 영역 측면에서는 영역 관련 기술이 그 어떤 영역보다 확장되어 있음을 그 특성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환경 측면에서는 새로운 밈(meme) 을 받아들이는 해당 사회의 개방성의 중요함을 미술 창의성이 드러나는데 필요한 환경적 특성으로 제안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은 첫째, 미술 교육에서 정서적인 면만을 강조하는 활동이 아닌 문제 발견 능력을 중심으로 하는 인지적 능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둘째, 미술 창조를 위한 개인의 자율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현대 미술의 양상을 반영하여 다양한 미술 세계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개인에게 제공하여야 하며, 넷째, 미술에서의 창조 행위에 대하여 교사 및 평가자의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discussions on creativity in art are in the context of the development of various fields such as philosophy, literature, art, and technology. Differences in development exist according to the generation and culture. In spite of these differences, the common characteristic found in the progress of the creation of Eastern and Western art was "novelty" and originality. This study discusses the confluence theory of creativity, in order to see what the characteristics of "novelty" and "originality" are in pursuing art. We consider creativity in art from three different points of view: the individual, domain, and environment: then we propose educational implications in art education. In the individual point of view, the ability to discover the problem and autonomy are emphasized in the character of artistic creativity. And in the domain side, the character of artistic creativity has expanded more than any other field in the postmodern era. In the environmental point of view, we propose that the importance of the openness of the society to accept the new meme is a necessary characteristic to reveal creativity or art. Therefor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should apply cognitive ability focusing on discovering the problem, not the activity emphasizing the emotional aspect of art education. Second, the autonomy of individuals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creativity of art. Thirdly, the opportunity to embrace the diversity of art and contemporary art in the postmodern era should be given to the learners. Lastly, the open-minded attitude of the teacher and evaluator is needed for art creation activiti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미술에서 '창의성'에 대안 담론
Ⅲ. 합류 이론의 관접에서 본 미술 창의성
Ⅳ. 미술 교육에의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형숙(KIM Hyungsook),박미진(PARK Meejin). (2014).창의성 담론으로 본 미술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고찰. 미술교육논총, 28 (1), 123-159

MLA

김형숙(KIM Hyungsook),박미진(PARK Meejin). "창의성 담론으로 본 미술교육에의 적용 가능성 고찰." 미술교육논총, 28.1(2014): 123-1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