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의성과의 관계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재 개념화를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1627
- 영문명
- Study on the re-conceptualization of tradition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creativity: focusing on National Art Curriculum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미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진경(Park, Jinkyoung) 김선아(Kim, Sunah)
- 간행물 정보
-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8券 1號, 89~121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가 살아가는 현재는 과거의 산물인 전통미술과 현대 문명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 이는 전통미술이 과거에만 머물러 있어 현재 우리의 삶과 분리된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전통미술은 과거와 미래를 연결하고 현재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창의적인 변화의 근원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계속성의 관점에서 창의성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서 실천하기 위한 근거로서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반영된 전통미술과 창의성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파악하고자 제 1차 교육과정부터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두 용어의 변화 추이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서 전통미술과 창의성의 관계를 조망하고, 창의성에 기초한 전통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간과되어왔던 전통미술교육과 창의성의 연관성을 새롭게 조명하고, 실제적 삶의 변화를 위한 전통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oday's society, in which we live. traditional art, considered to be the fruit of the past and modern civilization are in coexistence. Such refers that the traditional art does not stay in the past only being separated from our lives in the present. Therefore. the traditional ar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origin of creative change that suggests the connects the past and the future and suggests th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in the pres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necessity of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creativity in the point of continuity and to analyze the art education course to establish a ground to practice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in schools. To find out how the traditional art and the concept of creativity reflected on the national level education course, the change trends of the two terms from the 1st education course to 2009's revised education course are analyzed in focus. Based on the analysis, the relation of the traditional art and the creativity in the national level education course is forecasted and the direction for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based on the creativity is proposed. This study holds the meaning for newly highlight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raditional art education and the creativity that has been underestimated until now and proposing the direction for traditional art education to change of the actual lif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BEST
더보기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조형디자인연구 제27집 3권 목차
- 공예 분야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경험 분석을 통한 개선 방향 연구
- 에피소드 기억(Episodic Memory)을 중점으로 한 바느질의 조형 표현 연구 - 김수자와 루이즈 부르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