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 개발

이용수 548

영문명
Development of Scale of Recognition Abi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RAEFE)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발행기관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저자명
백재근(Baek, Jae Keun) 김동환(Kim, Dong Hwan) 전혜자(Chun, Hea Ja)
간행물 정보
『재활복지』재활복지 제18권 제1호, 263~285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척도개발, 척도수정,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의 3단계 절차가 진행되었다. 척도개발 단계에서 기쁨, 혐오, 슬픔, 분노, 두려움 표정 30개를 수정하였다. 수집된 30개의 문항은 척도수정 단계에서 18개의 문항으로 수정되었다.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단계에서, 199명의 지적장애인과 165명의 비장애인이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에 응답하였고, 지적장애인 199명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는 지도교사 또는 특수체육교사에게 요청하였다. 그리고 지적장애인이 작성한 표정 정서 인식력과 지도교사 또는 특수체육교사가 작성한 지적장애인의 친사회적 행동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인의 표정인식력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표정인식력은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할 것이라는 가설 하에 상호작용이 높은 종목과 낮은 종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상호작용이 높은 운동종목이 낮은 종목에 비해 표정 정서 인식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타당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scale of recognition abi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tudy procedure for scale were appled 3-steps of scale development, scale modification,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30 facial expressions revealed; joy, disgust, sorrow, angry, fear were collected from related book and web-site in scale development. Collected 30 items of facial expression were modified in 18 facial expression items via expert discussion. 199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nd 166 individuals without disability was respond in modified scale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or guidance teacher were requested to evaluate Intellectual disability students'prosocial behavior.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hich was between face expression recognition-written by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and prosocial behavior-written by adapted physical education teacher- was conducted. As a results, recognition abi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 completed by intellectual stud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llectual students' prosocal behaviors evaluated by special teachers. Also in compared group, exercise type of high interaction group is high significantly in recognition abilit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 compared with low interaction group. This results means that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validity.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재근(Baek, Jae Keun),김동환(Kim, Dong Hwan),전혜자(Chun, Hea Ja). (2014).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 개발. 재활복지, 18 (1), 263-285

MLA

백재근(Baek, Jae Keun),김동환(Kim, Dong Hwan),전혜자(Chun, Hea Ja). "지적장애인을 위한 표정 정서 인식력 측정도구 개발." 재활복지, 18.1(2014): 263-2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