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직에서 남교사의 정체성 탐색

이용수 1199

영문명
Exploring identities of male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안아라(Ah Ra Ahn) 김한별(Hanbyul Kim)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8輯, 81~10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남자 교사를 대상으로 교직 생활 가운데 겪은 다양한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들에서 남성의 경험들은 주로 외부, 특히 여성과의 상호작용 맥락에서 서술되어 왔으며, 그 과정에서 겪게 되는 내면적 갈등과 충돌, 그리고 저항에 대해서는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방법을 설계하여 대도시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남교사 6명과의 면담을 실시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남자 교사들은 스스로를 여성적 생활양식에 적응해야 하는 소수화된 존재,‘관대한 호랑이 선생님’같은 존재, 학생 성별에 따라 자신의 섹슈얼리티가 조절되어지는 존재, 다양한 학교업무를 감당할 수 있는 전문 일꾼, 관리자가 유용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협력 대상자, 승진에 관심을 갖는 것이 당연한 존재, 그리고 초등학교 남자교사에 대한 사회의 이중적 인식을 자각하고 있는 존재로 자신의 정체성을 구성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교직의 여성화가 진행됨에 따라 발견되는 남자 교사들의 위기의식 및 무력함, 의존성, 그리고 권력의 모순적 경험들을 밝혀냄으로써 소수자로서 남교사들에 대한 이해 및 지원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aking a look at identiti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analyzing their school experiences. In most previous literatures, experiences of male teachers were discussed mainly based on their interactions with female co-workers. In this process, their internal conflicts, clashes or resistances, which they encountered, were overlooked. Thus, this paper will critically analysis experiences of male elementary teachers as minorities within educational context to answer the question that is what identities perceived by themselves are in terms of their works and social relationships. To get the answers to this questi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designed for six male elementary teachers who work in big cities. The study reveals seven identities of 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1) An identity as a minority within environments having a preponderance of female teachers; 2) an identity as a teacher having two contradictory roles, which are a generous facilitator and a strict role-model/punisher of student’s behaviour; 3) an identity as a role-model with selectable gender images according to students' sex; androgynous images for girls and masculine role-models for boys; 4) an identity as a pivotal workforce for school works requiring physical strength; 5) an identity as a helper in close and interdependent relationships with school administrators; 6) an identity as a male teacher who is expected to have successful careers whether or not he wants, particularly, for being an school administrator; 7) an identity as a being who has a double standard to male elementary teachers, one is positive personal job-satisfaction and another is negative images about male-teachers because of a relatively low social status of male elementary teachers. In conclusion, as a number of female teachers has been increased, school and teacher cultures become more female-dominated. Within this context, male elementary teachers are more likely to encounter negative emotions such as consciousness of crisis, feebleness, and dependence. In this regard,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ir features as male-teachers and communicate with them.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학교에서 나는 누구인가?: 남교사의 정체성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아라(Ah Ra Ahn),김한별(Hanbyul Kim). (2013).초등학교 교직에서 남교사의 정체성 탐색. 교육문제연구, 48 , 81-108

MLA

안아라(Ah Ra Ahn),김한별(Hanbyul Kim). "초등학교 교직에서 남교사의 정체성 탐색." 교육문제연구, 48.(2013): 81-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