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제도화된 국가주의와 교육에서 국가의 역할

이용수 1198

영문명
An Study on Institutionalized Nationalism and The Role of Nation in Educational Policy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신현석(Shin, Hyun-Seok) 이준희(Lee, Jun-Hee) 정용주(Jung, Yong-Joo)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48輯, 53~7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에서 국가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역사적 맥락에의 적합성을 중심으로 분석한 후, 거버넌스와 교육 공공성의 재구성을 통해 국가역할의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신자유주의 교육정책의 논리는 시장주의와 민간경영기법의 교육에의 도입을 주장함으로써 국가역할의 축소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역사적 맥락은 민족주의, 발전교육론을 거치면서 그리고 오랜 권위주의 정권 아래에서 공익관념에 권위주의적 함의를 강화시켰고 이에 국가주의가 발달되어 왔다. 이러한 국가주의와 결탁한 방식의 신자유주의는 표면상으로는 자율성을 내세우지만 이면적으로는 통제성을 보이면서 여전히 국가주의적인 모습을 띠게 되었다. 셋째, 국가역할의 강화냐 축소냐는 논의방식이 아닌 국가역할을 수행하는 방법상의 문제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국가 어니면 시장이라는 이분법적인 논의를 지양하고 교육 공공성의 의미를 재구성함으로써 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즉, 교육의 공공성을 조직중심, 기관중심이 아닌 공공가치(public value)를 추구하는 것으로 보고 국가가 함께 방향잡기(co-steering)를 위해 교육에 관련되는 수많은 이해당사자간의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거버넌스를 어떻게 짤 것인가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role of nation in Neo-Liberalism educational policy, analyzes its adequacy under our historical context, and explore som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role of natio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st, the logic of Neo-Liberalism in educational policy is to reduce the role of the nation by means of introducing marketization and business administration techniques in private sector to the educational policy. Second, Nationalism in education has been developed with going through developmental education in terms of the historical context in Korea. Therefore, Neo-Liberalism in connection with Nationalism has appeared to stress autonomy, but education policy has maintained Nationalism with under covered control over education in reality. Third,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future is suggested that we need to reconstitute the meaning of publicness of education while detering dichotomous dispute whether the nation or market and the role of nation strengthened or weakened. In conclusion, we should pay attention to pursuing public value rather than institution oriented approach in the meaning of publicness in education. The nation's role has to be interested in designing and co-steering the new educational governance that induces and coordinates the collaborative relationship among stakehold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교육개혁정책의 논리와 국가의 역할
Ⅲ. 역사적ㆍ제도적 맥락으로서 제도화된 국가주의
Ⅳ. 거버넌스와 교육 공공성의 재구성을 통한 국가역할의 방향모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석(Shin, Hyun-Seok),이준희(Lee, Jun-Hee),정용주(Jung, Yong-Joo). (2013).제도화된 국가주의와 교육에서 국가의 역할. 교육문제연구, 48 , 53-79

MLA

신현석(Shin, Hyun-Seok),이준희(Lee, Jun-Hee),정용주(Jung, Yong-Joo). "제도화된 국가주의와 교육에서 국가의 역할." 교육문제연구, 48.(2013): 5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