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상청구권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이용수 25
- 영문명
- A Legislative Study on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in Korea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 저자명
- 김대규(Kim, Dae-Kyoo) 전완수(Jeon, Wan-Soo)
- 간행물 정보
- 『법학연구』제22집 제2권, 155~178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When an obligation become insolvent after the fact, the Korean civil law provide that if it is caused by obligor's responsibility, he should take the burden of the debt, but he can be released from the debt if the default is not his own responsibility. In the latter case, meanwhile, it become an issue whether a consideration duty exists or not if the obligation is based on a bilateral contract. Accordingly, it has been settled by the provision of the risk bearing.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mean the creditors' right of recourse on the profit against the obligators when debtors make profits on vicarious compensation of the object to be fulfilled by the same causes which raised the insolvency.
The Korean civil law has no provision on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but the rights are expressly provided in substantive enactment of Germany and France. The rights are acknowledges, but the application scopes are different by each country in various cases like above, and the requisites and the effectiveness are as well. Moreover, the meaning of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in legal schemes and the harmonizations of the laws with other civil law systems are different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ways of the transfer of a real right and the principles of risk bearing etc. of the countries.
In conclusion, due to the problems in itself as well as possible conflict with existing system and fairness breaking result of the acknowledging the claim right of vicarious compensation, it is reasonable that the Korean civil law should not acknowledge the claim rights of vicarious compens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청구권의 개념
Ⅲ. 각국의 입법례
Ⅳ. 우리나라의 규범적 검토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행정과 조례제정권
- 임금피크제와 도입배경에 관한 연구
- 부진정연대채무와 공동불법행위
- 대상청구권에 대한 입법론적 고찰
- 타인명의 신용카드 부정사용의 죄책
- 여성복지서비스법제(여성폭력)의 타당성과 효율성
-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연령차별금지의 확립과 정년제의 개선
- What shall we do with this hot potato in the process of Korea – U.S. Free Trade Agreement?
- 환경형법에서의 고의와 과실
- 中國에 있어서의 會社法의 最近 改正
- 재판상 자백의 성립요건으로서의 불이익개념
- 국제거래분쟁의 처리방법으로서의 중재제도의 효율성과 과제
- 국가배상책임의 성질과 책임의 주체
- 영업상의 표지로서 상호와 상표에 관한 소고
- 고령자 고용촉진을 위한 기업 정년제의 문제점과 법적과제
- 기업변동과 근로관계
- 고령화사회의 정책과제
- 부부재산제의 실태와 개선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