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회곽묘의 변용에 관한 소고

이용수 821

영문명
A Study on Transformation of Lime-Soiled Mixture Tomb(灰槨墓) of Joseon Dynasty Period - With respect to occurrence of two-step digging tomb(二段掘壙墓) -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한상(Kim, Hang sa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5號, 179~20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일찍부터 시작되기는 하였으나 주로 문헌사적인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상당기간 고고학적인 연구는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폭발적인 발굴조사 결과에 힘입어 점차 조선시대 분묘에 관한 고고학적인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의 주 연구대상인 조선시대 이단굴광묘는 구조의 단순함뿐만 아니라 내부에서 유물이 출토되는 경우가 거의 없어서인지 여타 묘제와의 관계 속에 비교대상으로서의 연구가 일부 이루어졌을 뿐, 발생 배경이나 전개 양상과 같은 그 자체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단굴광묘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 있어서 회곽묘와의 관련에 주목하고, 특히 회곽묘의 변용에 연관지어 이단굴광묘의 발생에 관하여 간단하게 살펴보았다. 먼저 회곽묘를 예학서(특히 주자가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무덤 조성방법 이행에 대한 충실도를 바탕으로 Ⅰ~Ⅳ류로 구분하고, Ⅲ류는 다시 회(灰)의 사용 비율에 따라 두 형식으로 세분하였다. 이 중 Ⅳ류의 경우는 근간에 종종 확인되고 있는 것처럼 회곽을 조성하지 않고 단지 회개(灰蓋)만을 갖추고 있어 회장묘(灰葬墓)로 부를 만한 것으로서 기본적인 굴광방식이 이단굴광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러한 회장묘는 형태적인 면에서 볼 때, 이단광벽 자체가 회곽묘에 있어서 회곽부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아마도 회를 사용하지 않은 채 회곽묘의 형식을 유지하고 자 하였던 조묘자(造墓者)의 의도가 내포되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이단굴광묘는 경제적으로 기반을 갖추고 있었던 상위계층과는 달리 회를 사용하는 것이 여의치 않았던 하위계층에서『朱子家禮』에서 규정하고 있는 분묘형식인 회곽묘를 변용하여 사용하였던 묘제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이는 본고에서 분류한 Ⅳ류 회장묘가 조성되고 있는 사실에서 방증된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하계층을 막론하고 조선시대 사람들의 정신세계에 있어서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던 『주자가례』에서 규정하고 있는 분묘 조성방식은 경제적으로 여의치 않은 하위계층의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크나큰 부담으로 다가왔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灰를 구하기가 용이하지 않았을 하위계층의 사람들로서는 차선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없었을 것이며, 결국은 이러한 이유에서 이단굴광묘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결국 Ⅳ류 회장묘에서 알 수 있듯이 이단굴광묘는 회곽묘의 변용에 따른 결과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ctually, research on the grav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can be said to start relatively early because the studies that organized historical contents with the start of the studies that basically organized various memorials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conducted in the royal and the private sector began to be published. However, in early days, mainly literature research was dominant an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in a limited range focused on tombs of noblemen or royal tombs also in terms of the archaeological field. But, thanks to excavation outcom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related remains increased rapidly across the country from 1990s to the present, recently, research on the grave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s getting more and more active. Also, recently, taking another step forward from the existing studies, the studies trying to check regionality of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of each region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ere conducted and in addition, the studies on individual artifact are making a lot of achievements. In fact, though considerable two-step digging tomb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re excavated and studie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omb ruins, few theses conducted research targeting itself because few artifacts are unearthed in two-step digging tombs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main research target of this thesis and the structure is relatively simple. There are only studies assuming that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must have been adopted as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of common people by trying stratification along with other memorial services held before the grave based on excavated remains and digging method and whether to use a wooden coffin and the studies targeting itself such as occurrence background and future development according to time and region etc. can be said not to exist at all. Occurrence of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related to transformation of lime-soiled mixture tombs(灰槨墓) was briefly examined. 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background that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appeared, this thesis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 with lime-soiled mixture tombs(灰槨墓) and especially, In conclusion, the author thinks that a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was a memorial service held before the grave used by the lower class that could not afford lime unlike the upper class that had economic foundation by transforming lime-soiled mixture tomb(灰槨墓), a tomb type prescribed in 『Jujagarye(朱子家禮)』. This can be shown in the fact that Ⅳ type Hoejang tomb(灰葬墓) classified in this thesis were created. The tomb creating method, prescribed in 『Jujagarye(朱子家禮)』greatly affecting the mental world of the peopl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regardless of the upper and lower class, must have been a great burden to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 not economically abundant. For this reason, it is judged that the people of the lower class who could not get lime easily could not help but prepare the second best policy and finally,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appeared for this reason. After all, as can be seen from Ⅳtype Hoejang tomb(灰葬墓), two-step digging tombs(二段掘壙墓) should be seen as the product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lime-soiled mixture tombs(灰槨墓).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회곽묘의 분류 및 검토
Ⅲ. 이단굴광묘의 발생과 그 배경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한상(Kim, Hang sang). (2013).조선시대 회곽묘의 변용에 관한 소고. 백산학보, (95), 179-207

MLA

김한상(Kim, Hang sang). "조선시대 회곽묘의 변용에 관한 소고." 백산학보, .95(2013): 179-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