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하슬라

이용수 745

영문명
Shilla’s coastal navigation of the East Coast of Korea and Haslla - with focus on the Shilla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at Gyeongpo lagoon, Gangneung -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홍영호(Hong, Young-ho)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95號, 137~178쪽, 전체 4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4.30
7,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강릉 경포호(鏡浦湖) 강문동 신라토성의 발견을 계기로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의 실상을 살펴보고, 하슬라(강릉)가 주요 거점으로 성장하게 되는 역사적 배경과 조건을 찾아보는 데 있다. 먼저, 사료와 고고자료를 통해 신라의 해상 활동을 검토한 결과, 신라는 왜(倭)의 침입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점차 해군력이 성장하였고, 경주에서 동해안을 따라 연안항해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후, 자연지리ㆍ지형적인 상황은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조선시대에 수군이 정박하는 강원도 연안항구의 실상을 토대로 신라시대 연안 항구의 입지에 대한 이해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강원도 동해안에서 수군이 정박하는 항구는 하구에 모래톱이 만들어져 배가 출입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작은 병선만 드나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작은 병선이 석호(潟湖)에 정박하였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료도 찾게 되었다. 이것은 석호가 항만(港灣)의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출입부만 관리가 된다면 작은 배들이 정박하기에 매우 유리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기록은 강릉 경포호 강문동 신라토성의 입지를 근거로 신라시대에도 석호가 정박처로 이용되었다고 주장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신라의 초기고분군과 석호의 분포가 서로 일치하므로 신라가 동해안의 연안항해를 위한 거점을 선정할 때 석호의 존재를 중요한 판단의 기준으로 삼았다고 생각된다. 신라가 하슬라를 주요 거점으로 선정하게 되는 역사적 배경은 나물왕 대를 전후로 하여 고구려와의 교섭을 위하여 동해안을 이용하면서 황초령(黃草嶺)을 지나 장진호(長津湖)를 거쳐 당시 고구려의 수도인 집안(集安)으로 가기 위한 교통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신라는 당시 강릉 이북 지역은 안전을 보장하기 힘든 변방지대였고, 강릉은 경포호라는 석호가 있어 항구기능이 유리하므로 고구려와의 교섭을 위한 중간 거점으로 개척하였다고 생각된다. 여기에 동해안을 따라 남쪽과 북쪽에서 오는 해류가 동해 중부연안에서 교차하는 점도 고려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결국 강릉 경포호 강문동 신라토성은 신라가 동해안 연안항해를 하였고, 석호가 있는 지역을 중간기착지(항구)로 삼았음을 알 수 있게 해주며, 강릉을 최적의 지점으로 판단하였기에 동해안의 주요 거점으로 경영하였다고 평가하게 해 주는 매우 귀중한 자료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hilla’s coastal navigation of the East Coast of Korea on the occasion of the discovery of the Shilla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at Gyeongpo lagoon, Gangneung, and fin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conditions of Haslla’s (Gangneung) growth into an important foothold. First of all, the author examined the marine activities of Shilla Dynasty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and archeological materials, and Shilla’s naval power gradually grew in the process of fighting back against the invasion of Japanese pirates (Wae), and Shilla is thought to have conducted coastal navigation from Gyeongju along the East Coast. Since the physical geography and topography did not change greatly,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the location of coastal ports during the Shilla period based on the coastal ports in Gangwon-do Province where the naval ships of Joseon Dynasty were anchored. As a result, the ports where the naval forces of Joseon lay at anchor off the East Coast of Gangwon-do Province were difficult to access because there were sandbanks at the estuaries. So only small military vessels could access these ports. However, the author found important historical materials that show small military vessels anchored in lagoons. As lagoons are shaped like a port, if the entrance is managed, they were very advantageous for the anchoring of small vessels. Furthermore, such records can be used to argue that lagoons were used as anchorages during the Shilla period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Shilla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at Gyeongpo lagoon, Gangneung. In particular, as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of the early Shilla period corresponds to that of lagoons, Shilla is thought to have used the existence of lagoons 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judgment when selecting the bases for coastal navigation in the East Coast.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Shilla’s selecting Haslla as an important base seems to have been related to the fact that Shilla used the East Coast as well as overland route in the East coastal region for negotiations with Goguryeo Dynasty, and Haslla was a main part of the traffic route for going past Hwangchoryeong to Jiban, the capital of Goguryeo during the reign of King Naemul. To Shilla, the area to the north of Gangneung was a border area, whose safety could not be secured, and Gangneung was advantageous as a port since it has the Gyeongpo lagoon. So Shilla is thought to have developed Gangneung as an intermediate base for negotiations with Goguryeo. The fact that the ocean currents coming from the south and the north, which moves along the East Coast, crossed each other off the mid-East Coast seems to have been taken into account. After all, the Shilla Gangmun-dong earthen fortress at Gyeongpo lagoon, Gangneung showed that Shilla conducted coastal navigation along the East Coast, and chose an area with a lagoon as a way station (port). It is a very valuable historical data that leads to the belief that Shilla chose and managed Gangneung as an important base of the East Coast because it was regarded as the best loc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신라의 해상 활동
Ⅲ. 동해안 연안 항구 입지의 실상
Ⅳ.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하슬라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영호(Hong, Young-ho). (2013).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하슬라. 백산학보, (95), 137-178

MLA

홍영호(Hong, Young-ho). "신라의 동해안 연안항해와 하슬라." 백산학보, .95(2013): 137-17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