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행정정보 공동이용과 정보인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이용수 226

영문명
A Constitutional Study on Sharing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Human Rights to Information: Focused on DNA Information of a Criminal and the Individual's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발행기관
한국헌법학회
저자명
장진숙(Jang, Jin-Sook)
간행물 정보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19卷 第1號, 353~407쪽, 전체 55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3.31
9,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첨단과학기술인 생명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의 만남은 의료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형사사법영역에서도 DNA정보의 활용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특히 형사사법적 영역에서의 활용은 범죄자 DNA정보 운영을 통해 미궁에 빠져 있던 강력사건을 해결하는 쾌거를 올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기술의 사용으로 인한 범죄수사의 효율성 증대는 효과를 거두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국가가 보호해야 하는 인간의 존엄성과 사생활의 침해 및 자기정보관리통제권의 상실이라는 결과가 초래될 수 있다. 기본권 침해의 논란에도 불구하고 ‘DNA법’은 2010년 1월 제정되어 시행 2년 7개월이 되는 현 시점에서 기본권의 침해를 주장하는 소송과 위헌소원이 잇따르고 있다. 동법은 주요내용으로 제정이유 및 입법목적, 사무관장에 관한 규정, 적용대상범죄 및 적용대상자에 관한 규정, DNA감식시료채취영장에 관한 규정, DNA감식시료의 채취방법 및 폐기에 관한 규정, DNA신원확인정보의 검색ㆍ회보 및 삭제에 관한 규정, 업무목적 외의 사용금지 및 처벌에 관한 규정을 주요내용을 규정하고 있다. 그런데 전체적으로 볼 때 동법은 개인의 자유와 범죄수사의 효율성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이루고 있다고 하기보다는 오히려 범죄수사의 효율성에 치우쳐 있다고 판단된다. DNA정보의 수집대상에 있어서는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근거 없이 지나치게 광범위하다는 점과 수집과정에서의 형식적인 동의와 영장발부로 인한 강제채취 문제, 정보관리의 오ㆍ남용의 문제, 무한대로 이용하는 검색ㆍ회보규정, 한 번 수록된 정보는 사망하기 전에는 결코 삭제되지 않고 행정정보로서 공동으로 이용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의 인식 하에 합리적인 해결방안을 강구하고자 외국의 입법례 및 이용실태 등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헌법상 보장되는 자기정보관리통제권의 보호와 기타 형사절차에서 보호되어야 할 기본권의 침해여부에 대한 위헌성을 검토하여 법치국가적 기본권이 준수되고 인권친화적인 법률로 보완ㆍ개선되는 방안을 강구하여 국민의 정보인권이 보호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영문 초록

Wit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DNA information is being widely used in the criminal justice field as well as in the medical field. Specifically, by operating a database of the DNA of convicted criminals, the police is successfully identifying offenders in violent crimes which remained unsolved. Harnessing these technologies has clearly enhanced the polices's investigation capabilities. However, at the same time, it can result in violating human dignity and the individual's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which should be protected by his or her government. Despite the controversy over infringement of basic human rights, the Act on the Use and Protection of DNA Identification, the so-called DNA Act, was enacted in July 2010. Now, two years and seven months have passed since then, and many lawsuits against infringement of fundamental rights, claiming that it’s against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have been filed. DNA Act mainly stipulates its ground and objective, regulations in terms of responsibility, the scope of the application, warrant for DNA sample, and methods to obtain and dispose of DNA sample, as well as regulations of retrieval, circulation and deletion of the information from DNA database, and prohibition and punishment regarding its utilization for other than law enforcement purpose. Taken as a whole, however, it is fair to say this law favors effectiveness of criminal investigations over appropriate balance between personal freedom and effectiveness of criminal investigations. This has generated many problems because the law can be extensively applied to collect DNA samples from individuals without objective and empirical grounds, and can force an arrestee to produce a sample with a mere formality of agreement or issuing a search warrant in DNA collecting procedures.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misused or abused, be retrieved and circulated unlimitedly, and be shared as administrative information without deletion until the individual's death. Based on awareness of these problems, this paper will review legislations and its utilizations in foreign countries to find rational solutions, and thereby examine throughly if Korea's current use of the act is in violations of individual's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and control, and fundamental human right in criminal procedures, which are guaranteed by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is paper aims to find a way to ensure strict observance of laws and have truly human rights-friendly legal system in order to protect the people's fundamental human right.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의 제기
Ⅱ. 유전자정보인권에 관한 일반론
Ⅲ. DNA법상 행정정보의 공동이용과 자기정보관리통제권
Ⅳ. 범죄자 DNA정보의 공동이용과 정보인권에 대한 정당성 검토
Ⅴ. 해결방안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진숙(Jang, Jin-Sook). (2013).행정정보 공동이용과 정보인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헌법학연구, 19 (1), 353-407

MLA

장진숙(Jang, Jin-Sook). "행정정보 공동이용과 정보인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헌법학연구, 19.1(2013): 353-4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