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고대 국가의 藏書制度와 역사서의 편찬

이용수 552

영문명
Collection System (藏書制度) and Edition of History Books in Ancient China - Based on Han Dynasty's Collection System -
발행기관
한국사학사학회
저자명
방향숙(Pang, Hyang-sook)
간행물 정보
『한국사학사학보』제26권, 317~35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1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고대 역사서 편수에 활용되었던 문서나 도서들의 생성, 즉 사료의 생성과정과 이를 정리 보관하는 방법 및 열람의 방법을 탐색하여 이 국가 문서들이 역사서의 편찬에 어떻게 활용되었는지 알아보았다. 문서나 도서를 수집하여 보관, 열람하는 제도를 이 글에서는 ‘藏書制度’라고 표현하고자 한다. 이 글의 연구 시기는 주로 漢代를 중심으로 하되 이후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위진남북조·수·당대를 포함하였다. 역사서에 왕들의 기록만이 아닌 다양한 사회상을 서술하기 시작한 사람은 사마천이다. 『사기』를 저술하기 위해서 사마천이 활용한 사료는 국가의 공식적 기록 외에도 다양했다. 잘 알려져 있듯이 사마천은 태사령이라는 관직을 지내면서 국가의 문서도적을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였기 때문이 다양한 사료를 접하고 활용하였던 것이다. 사마천이 『사기』를 저술하였던 전한대에는 많은 장서부들이 있었다. 우선 국가의 중요문서를 보관하던 금궤(金櫃) 석실(石室)부터 외조(外朝)에 있던 태상(太常), 태사(太史), 박사(博士) 관부의 장서가 있었다. 또 궁전 내에는 연각(延閣), 광내(廣內), 비실(秘室), 천록각(天祿閣), 석거각(石渠閣), 난대(蘭臺), 기린각(麒麟閣) 등이 있었다. 사마천은 이 장서부들의 전적을 모두 섭렵할 수 있었을 것이다. 가장 귀중본을 보관하는 금궤석실의 문서를 열람할 수 있었다고 하니, 다른 장서들을 보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태사령에게는 군국의 상계문서가 가장 먼저 전달되어 군국의 사정을 그대로 역사서에 반영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전한대에 비해 후한의 장서시설은 축소되었다. 벽옹(辟雍), 동관(東觀), 난대(蘭臺), 석실(石室), 선명(宣明), 홍도(鴻都) 등이 후한대의 장서부인데, 이 중 벽옹, 홍도 등은 교육을 펼치는 곳으로 전적이 있었다 하더라도 경전을 위주로 한 전적이 보관되어 있었을 것이고, 동관은 역사서가 저술된 곳이기는 하지만 본래의 기능이 태학이나 홍도와 같은 교육 장소였기 때문에 이곳에서 역사서를 저술하였던 이유는 名儒들을 머물게 하여 찬수하려는 것이었다. 한편 『漢書』가 저술된 난대는 국가의 공문서가 모이는 곳이었으므로 난대에서의 사서의 찬수는 유리한 점이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때는 통사를 저술하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많은 전적을 열람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후한 이후 전적의 보관은 비서에서 전담하고 역사서술이 비서령에 의해서 이루어지거나 비서성에서 분파된 저작성 등으로 이관되었다. 또한 사마천의 경우는 그 자신 태사령으로써 천문, 역법을 관장하였고, 문서관리를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계문서도 수신하였으므로 스스로 사료를 생성하고 관리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후한 이후에는 주로 황제의 근시지관이나 내조에 속한 관부에서 주로 역사서를 저술하였으므로 군주의 의사가 쉽게 반영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사서의 편찬과 사서의 내용은 군주의 강력한 간섭 속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으며, 이는 자유로운 역사서술을 방해하였다. 이 과정에서 역대 왕조의 장서시설은 점차 궁정 안으로 집결되었으며 이 또한 관찬역사서의 찬수를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후대로 갈수록 전적으로 모으고 관리하는 장서부가 통합되어 갔다. 秘書省이나 集書省으로 문서의 보관과 정리가 단일화되면서, 관리라는 측면에서는 효율적이었을지 모르지만, 다양한 역사서의 저술은 어려워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how historical materials (Si Liao, 史料), the national documents and books that were utilized in the edition of ancient history books, contributed in compiling history books by exploring the process of creation and ways to store and browse relevant materials. ‘collection system (藏書制度)' is defined as the system of collecting, storing and browsing documents or books throughout this study. Although the study is mainly based on Han (漢) Dynasty, it also consulted Wei Jin Nan Bei (魏晉南北) and Sui Tang (隨唐) Dynasty to compare the process of development. Sima Qian (司馬遷) was the first person to describe not only the records of Kings, but also various aspects of society. He applied diverse sources of historical materials other than national records to 『Shi Ji (史記)』. As it is well known, since his position in the office was Tai Shi Ling (太史令), whose duty was to manage national documents and books, he was able to access to and utilize various historical materials. There were many divisions in the office to manage Collection(藏書) during the early Han Dynasty, when Sima Qian wrote Shi Ji. Jin Gui (金櫃) and Shi Shi (石室), which stored important national documents and Tai Shang (太常), Tai Shi (太史), Bo Shi (博士) which belonged to Wai Chao (外朝) were those. Also, Yan Ge (延閣), Guang Nei (廣內), Mi Shi (秘室), Tian Lu Ge (天祿閣), Shi Qu Ge (石渠閣), Lan Tai (蘭臺), Qi Lin Ge (麒麟閣), and etc., were placed within the Palace. Sima Qian was able to cover all materials of those divisions. Since he was able to access to the most valuable documents that were stored in Jin Gui and Shi Shi, he would have been able to study other materials as well. Furthermore, because Tai Shi Ling was the first person to receive national documents to be delivered to the upper level, it was easier for him to reflect them to the books. However, compared to the early Han Dynasty, the scale of Collection facilities was trimmed in the late Han Dynasty. Among Pi Yong (辟雍), Dong Guan (東觀), Lan Tai (蘭臺), Shi Shi (石室), Xuan Ming (宣明), Hong Du (鴻都), and etc., relevant divisions of late Han Dynasty, Pi Yong and Hong Du stored educational books including Jing Dian (經典). Many history books were written in Dong Guan. Since its original function w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like Tai Xue (太學) and Hong Du, the reason why many books were written here was to compel famous scholars (Ming Ru, 名儒) to stay in Dong Guan to edit books. On the other hand, since official documents of the nation were all gathered in Lan Tai, where 『Han Shu (漢書)』 was written, Lan Tai had advantages to edit history books. Even so, it was not necessary to retrieve many books because it did not cover the whole history. After late Han Dynasty, the secretaries (Mi Shu, 秘書) were in charge of storing books, and historical presentations were done under their order or transferred to the division of authorship (Zhu Zuo 著作),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division of secretaries. Sima Qian, as a Tai Shi Ling, was in charge of astronomy and calender. Since he managed documents and received documents to be delivered to the upper level as well, he was not only the editor, but also the manager of historical materials. However, because history books were written by nearsighted officials of the Emperor or by the official divisions belong to the Dynaysty, the opinions of the Emperor were reflected more to the books after late Han Dynasty. This was why the edition and contents of history books were strongly interfered by the Emperor, which hindered frank presentations of history. During this procedure, Collection facilities of many dynasties were assembled into the palace. This was also for the government to compile the history books. Divisions of Collection, which collected and managed books began to merge as time passed―Mi Shu Sheng (秘書省) or Ji Shu Sheng (集書省) was in charge of both storing and arranging documents.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圖書 및 史料의 수집 경로
3. 漢代의 藏書府
4. 藏書制度의 변화와 역사서술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방향숙(Pang, Hyang-sook). (2012).중국 고대 국가의 藏書制度와 역사서의 편찬. 한국사학사학보, 25 , 317-353

MLA

방향숙(Pang, Hyang-sook). "중국 고대 국가의 藏書制度와 역사서의 편찬." 한국사학사학보, 25.(2012): 317-3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