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베르 뒤랑과 글로컬문화콘텐츠

이용수 147

영문명
Gilbert Durand and Culture Contents : Focused on ‘Bassin Sémantiqu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유제상(Jae-sang YU)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25집, 319~33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글로컬(glocal)은 용어의 해석과 용례에 있어서 다양한 의견을 내포한 용어이다. 글로벌(global)과 로컬(local)로 구성된 이 합성어는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동시에 지역적이며, 세계성은 지역성에 의해 수정되고 변경된다’는 정반대의 방향성을 함축하고 있다. 글로컬 개념의 성립에는 다양한 의견이 제시될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글로벌에 대한 재해석’으로 발현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때의 재해석은 글로벌에 대한 회의감이 반영된 것도 있으며, 글로벌을 수정·보완하는 입장이 투영된 것도 있다. 이러한 해석의 차이는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도 계속된다. 문화콘텐츠는 그 특성상 문화를 배경으로 삼고 있기에, 국가간 거래에 있어서 공산품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에서 문화콘텐츠를 문화상품의 대체어로 가정한다면, 글로컬에 대한 논의는 경영·마케팅에서 공산품 교역의 문제를 벗어나 문화콘텐츠의 국가 간 거래라는 새로운 분석 대상에 접근하게 되는 것이다. 경제의 세계화, 정치의 세계화에 이어‘문화의 세계화’가 진행되고 있는 현재 글로컬 개념은 글로컬문화콘텐츠라는 용어를 통해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우선 웰맨(B. Wellman)과 리처(G. Ritzer)의 견해를 분석하여 경영·마케팅 전략 위주의 기존 글로컬 논의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아울러 글로컬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기 위하여 뒤랑(G. Durand)의 ‘의미의 물줄기(bassin sémantique)’ 개념을 활용하고자 한다. 글로컬 개념에 대한 활발한 논쟁이 벌어지는 오늘날을 20세기 이후 현대사회를 지배해온 글로벌이라는 거대담론에 맞서 합류하는 시기(confluences)로 본다면, 이러한 분석은 순환하는 사회 변화 속에서 글로컬문화콘텐츠의 ‘동시대적(Contemporain)인 성격’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진단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Glocal is a compound word of 'global and local'. And it has a variety of means inside the term. Glocal is implying 'global and local at the same time'. It is also implying 'globality is modified and developed by locality'. Many of the concepts associated with glocal is reinterpretation of globality. Some of them skeptical about global, and some contained is intended to supplement and modify the global. Such glocal features can also be found in 'glocal culture contents'. Usually, culture contents is created in the background of culture. Therefore, culture contents of trade differ from those of manufactured good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e discussion about non-cultural products(manufactured goods) should be changed to cultural products. In other words,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concepts needs to be changed. For the transition of these perceptions, this study will analyze the views of B. Wellman and G. Ritzer. These two men are presented for critical comments on existing posts to former glocal contestation. B. Wellman suggested that 'global' is the ideal communication in his theory, and 'glocal' is a transitional way. G. Ritzer pointed to the articl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lobal and local. In addition, in order to cleanup the study, I propose the concept of G. Durand's 'bassin sémantique'. Bassin sémantique is the concept of creation, prosperity, and depicts the destruction of natural phenomena insinuating. According to it, the current glocal study beginning to enter 'confluences'. It needs confrontation between the various theories. Therefore,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theories is necessary. If we precise definition of research about the situation of glocal and glocal culture contents, we will be able to diagnose our cultural direction.

목차

[국문 요약]
1. 글로컬, 그리고 글로컬문화콘텐츠
2. 기존 글로컬 논의에 대한 비판적 접근 - 웰맨과 리처의 견해
3. 의미의 물줄기 속 글로컬문화콘텐츠
4. 글로컬문화콘텐츠의 나아갈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제상(Jae-sang YU). (2012).질베르 뒤랑과 글로컬문화콘텐츠. 철학과 문화, 25 , 319-338

MLA

유제상(Jae-sang YU). "질베르 뒤랑과 글로컬문화콘텐츠." 철학과 문화, 25.(2012): 319-3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