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공간의 ‘켜’와 ‘결’을 찾는 유희(자)들

이용수 330

영문명
Arts-playing(players) serching for ‘Kyeo’ and ‘Gyeol’(cultural context into spatio-temporal layers) : Study on Conviviality of Arts Festival and Contemporary Art based on ‘Relational Aesthetic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최효민(Hyo-min CHOI)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25집, 53~97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시공간의 문화적 맥락과 무늬, 즉‘켜’와‘결’을 살려내고 상호작용적 속성을 가지며 거대한 사회 속에서 새로운 관계를 만들고 새로운 미적 체험으로 치유와 재생의 의미를 회복시키는 현대 실험 예술축제의 흐름과 예술 현장의 변화를 관찰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통해 90년대 이후 현대 예술 환경을 대표하는 이론적 모델 중 하나로, 니콜라 부리오(Nicolas Bourriaud)의 동명의 저서에서 차용된 개념인‘관계의 미학’의 맥락에서 유추해내었다. 이러한 미학에 바탕을 둔 예술은‘관객’을 유동적‘참여자’로 전환시키고 그들은 그 장을 제공하는 예술가들과 함께 동등한 시공간을 통해 공동의 의미를 생성하는‘새로운 놀이’에 들어서게 된다.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혹은 지속적인 과정의 형태로 진행되는 이러한 예술은‘참여’와‘전이성’을 특징으로 한다. 만남, 초대, 공동의 협력 등을 발생시키면서 예술이 사회적으로 갖는 교환의 가치와 효력을 긍정하면서 존재 방식과 행동의 모델을 구성하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지시한다. 따라서 관계미학은 곳곳에 여러 형태로 공동의 의미를 생성해내는 ‘예술(가)’들이 거주 할 수 있는 가능성과 의지를 드러낸다. 이 맥락과 관련하여 본고에서는 오스트리아의 린츠에서 열리고 있는 실험적인 미디어 아트 축제 <아르스 일렉트로니카>의 태동과, 관객 참여 프로젝트의 사례 및 근간의 주제와 흐름을 살펴보면서 이 축제의 관찰을 통해 확장적 의미에서의 관계미학의 속성을 포착하고 있다. 이어서 부리오의‘관계미학’과‘관계미술’의 생성과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그에 대한 반론과 비판을 소개한 후, 부리오가 이후의 저서를 통해 펼친 관계미학의 재해석을 담았다. 필자는 이에 근거하여 관계미학의 효용성에 대해 반추하면서 시공간의 맥락에 몸이 기입하는 방식을 통해 경험을 생성해내는 것을 관계미학의 확장적 성격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어서 곤잘레스-토레스의 설치미술, 마사키 후지하타의 장소-특정적 퍼포먼스, 독일의 실험적 미술축제 <카셀 도쿠멘타>의 사례를 통해 현대예술의 상생적 대안 모델을 반추해 내었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다원화된 사회에서 몸(들)이 만나는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는 확장형 커뮤니티로서의 예술과 예술축제의 가능성을 전망하고 그것이 평등과‘상생의 연희’를 추구할 수 있다고 본다. 그리고 이로써 여러 문화적 배경, 즉‘켜’와‘결’을 자유롭게‘번안하며’체험을 만들어 내는 유희(자)들로서의 예술의 탄생을 예고하며 이러한 예술 환경의 변화를 통해 동등한 연대와 교류, 치유와 재생을 추구하는 발전된 문화적 글로컬리제이션이 실현될 수 있음을 전망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observes that a flow of experimental art festivals of contemporary and change in the art field create a new relationship in vast society, making use of spatio-temporal cultural context and having an interactive property, and revive a meaning of healing and revival through new aesthetic experience. Through which, as one of the theoretical models representing contemporary art environments since the 1990s, it is analogized from a context of ‘Relational Aesthetics’, a concept derived from a book whose title is the same as Bourriaud's. The art based on this aesthetics converts ‘audience’ into fluid ‘participant’, and starts ‘a new play’ that creates a common meaning through equal temporal space with artists who offer the chapter. As a form of site-specific performance or consistent process, the art is characterized as ‘participation’ and ‘transition’. It affirms the exchange value and its efficacy that belongs to the arts in society by causing meeting, invitation, and cooperation, forms existence methods and behavior models, and directs a new human relationship. Therefore, in relational aesthetics, a possibility and the will are revealed by situating arts/artists that create a common meaning in various forms. In reference to this context, the article grasps a property of relational aesthetics in an extensive meaning by observing an experimental media art festival entitled that takes place in Linz, Austria, while examining the naissance of the festival, cases of participant participating project, and the basis of themes and flows. Further, it considers cre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Bourriaud’s Relational Aesthetics and Relational Art, introducing counterargument and criticism against them, and contains reinterpretation of relational aesthetics extended through Bourriaud's later books. Based on this, the author identify relational aesthetics' extensive characteristics as creation of experience by ruminating the utility of relational aesthetics and putting body into spatio-temporal context. Further, through the cases of F. González-Torres's installation art, M. Fujihata's site-specific performance, and an experimental art festival entitled in Germany, ruminated was a cooperative alternative model of contemporary art. In conclusion, the article prospects a possibility of art and art festival as an extensive community that forms a new relationship where human body meet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pursues equality and ‘conviviality’. Hereby, announced is a birth of the art-players who adapt various cultural backgrounds where a ‘kyeo’ and ‘gyeol’ (spatio-temporal layers, in Korean) are freely ‘adapted’, and create experience, and through change in this cultural background, realization of improved cultural glocalization is prospected in that it pursues equal solidarity, exchange, healing and regeneration.

목차

[국문 요약]
1. 들어가는 말:‘켜’와‘결’을 찾는 유희의 장을 위하여
2.‘켜’와‘결’을 만드는 예술축제
3.‘관계의 미학’과‘관계미술’
4. 관계적 미학과 재해석과 상생적 대안예술: 시공간-몸
5. 나오는 말 :‘켜’와‘결’을 만드는 유희(자)들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효민(Hyo-min CHOI). (2012).시공간의 ‘켜’와 ‘결’을 찾는 유희(자)들. 철학과 문화, 25 , 53-97

MLA

최효민(Hyo-min CHOI). "시공간의 ‘켜’와 ‘결’을 찾는 유희(자)들." 철학과 문화, 25.(2012): 53-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