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존재사건과 이미지

이용수 130

영문명
The Happening of Being and Image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저자명
송종인(Jong-in SONG)
간행물 정보
『철학과 문화』철학과 문화 25집, 175~19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8.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전통적인 서구 형이상학에서 혼돈이란 질서가 부여되기 이전의 무규정적인 상태로 이해했다. 혼돈은 질서를 통해 규정되고 밝혀져야 할 무엇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장자(莊子)』 내편의 마지막에 나오는 한 우화는 우리에게 이러한 구도에 대해 새롭게 생각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한다. 두 임금으로 의인화된 ‘나타남’과 ‘사라짐’이 혼돈의 땅에서 만나 융숭한 대접을 받고 이에 감사하여 혼돈에게 7일에 걸쳐 7개의 구멍을 뚫어주었더니 혼돈이 죽고 말았다는 이 우화는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해석의 가능성을 준다. ‘나타남’과‘사라짐’이라는 ‘존재사건’이 혼돈이라는 토대에서 나타날 수 있다는 것과 바로 이‘존재사건’이 혼돈을 질서로 바꾸는 힘이라는 것, 그리고 질서는 혼돈에 무엇인가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인가를 덜어낸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나타남’과 ‘사라짐’이 혼돈에게 뚫어주는 7개의 구멍은 ‘존재사건’이 신체의 7개의 감각기관을 통해 나타나며, 이것은 인간의 지각과 의식, 그리고 인식작용 일반을 의미한다. 그런데 현대 뇌과학의 성과에 따르자면 외부의 자극은 우리에게 내적 인상으로 주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내적 인상은 단순 인상들로 환원될 수 없는 ‘미리 앞서’ 종합되어 의식에 통째로 주어지는 복합 인상이다. 이런 점에서 ‘나타남’과 ‘사라짐’이라는 존재사건은 바로 이 ‘이미지’의 사건이며, 이미지를 구성하는 능력으로서 상상력은 인식의 가장 근본적인 능력인 셈이다. 전통적으로 서구철학은 이미지를 실재의 부재라는 부정적인 방식으로 이해했으며, 상상력은 오류 생산의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간주했다. 그러나 ‘이미지’가 우리의 의식에 주어지는 최초의 질료라면, 이러한 구도는 역전된다. 실재는 이미지 보다 존재적으로 선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들을 어떤 방향에 따라 다루는가에 나타나는 간접적인 부산물이다. 이미지는 신체를 구성하는 동시에 외부 세계를 이루는 물질계와 우리들의 관념을 구성하며 내적 세계들을 추상하는 정신계라는 두 방향으로 분기되면서 외적 실재와 내적 실재로 구현된다. 이미지의 두 방향으로의 분기는 학적 체계에 있어서도 적용된다. 실재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진리라는 전통적인 정의를 고려한다면, 우리에게 진리는 외적 실재와 내적 실재를 올바르게 인식하는 것이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전자는 신체에서 물질계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형이하학이라 명명할 수 있으며, 후자는 우리의 정신으로 파고 들어간다는 점에서 형이상학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과학과 철학이라는 학적 체계로 분기되며, 전자는 물질을 다루고 후자는 관념을 다루어왔다. 그렇지만 이들은 실천이라는 방식을 통해서 늘 이전의 진리였던 것을 해체하고, 새롭게 진리를 구성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 결론적으로 우리에게 최초로 주어지는 존재사건으로서 이미지는 우리를 얽매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질서를 통해 이전과는 다른 실재, 진리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두 방향 중 어느 방향에서라도 인간의 탐구가 중단되지 않고 항상 진행 중에 있는 것은 이와 같은 이유 때문이다. 이러한 끊임없는 탐구를 통해 우리는 양 쪽 방향 모두로 더 나아갈 수 있게 되었으며, 더 많은 진리들을 찾게 되었다. 이것은 우리의 운신의 폭을 더욱 넓게 하였고, 우리는 이것을 자유라 말할 수 있다. 이는 지금의 우리가 그리고 앞으로의 우리가 더욱 많은 진리들 속에서 더 넓은 범위를 운신할 수 있는 자유를 얻게 됨을 의미한다. 질서가 혼돈에 무엇인가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덜어내는 작업의 산물이라는 것은 혼돈이 이미 다양한 질서들의 복합체임을 말하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Chaos, in traditional Western Metaphysics, has been understood as the codeless condition before the order granted. The Chaos has been considered somewhat to be proved and coded by the order. However a fable in Chuang-tzu give us a clue to understand this structure in different way. Two kings, personification of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who met Chaos inChaos's land and were warmly hosted, dig 7 holes during 7 days in Chaos land as a reward of its hospitality, then Chaos was dead. This fable gave us the possibility of the following new interpretations. The Event of Existence, represented by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can be occurred on the base of Chaos, this Event of Existence is the power of change, from Chaos to Code, and Code is the result of deduct somewhat from chaos not add somewhat to Chaos. The seven holes, dig by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for Chaos, means that Event of Existence has been occurred through seven sensory organs of human body, and this means Perception and Awareness of human being, as well as general cognition. However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of modern Brain science the external stimulus give us internal impression. And this internal impression is a complex impression given as a whole to Awareness, can not be converted into simple impression, by generalized in advance. From this point Event of Existence, by Appearance and Disappearance, is the event of Image, and the imagination power, as the capability of consisting Image, is the most fundamental capability of perception. Image, traditionally in Western Philosophy, has been understood in negative way, as of the absence of existence, and Imagination power has been regarded as having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fallacy. But, if Image is the first substance given to our perception, this hypothesis should be reversed. The existence is not the one existing prior to Image, but simply an indirect byproduct of processing Images in different ways. Image has been split into two directions, the material world, consisting physical body and external world, and mental world, consisting human conception and abstracting internal world, and embodied as external existence and internal existence. This split of Image into two directions can be applied into study system. Considering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truth, the right perception of existence, the truth can create problems to perceive external existence and internal existence properly. The former one can be named as Concrete science, by directing from body to physical world, and the later one can be named as Metaphysics, by directing into the mentality of human. These are split into Science and Philosophy in Study system, the former one handles material world, and the later one concepts. However these two are identical in destructing the existing truth and restructuring the new truth by the way of practice. In conclusion, Image, given to us as the first Event of Existence, is not binding us, but can make us to constructing different truth and existence through new code. the main reason of continuing the research of human at least from one direction, between two directions, is because of this. Through this endless research human can go forward into two directions, and the more truth have been found. this result give human wider range of movement, and this can be called as freedom. this means that from now on human can have the freedom of wider range of movement from the more truth. The code is not add somewhat on chaos, but the result of deducting somewhat, as Chaos is already a complicated structure of various codes.

목차

[국문 요약]
1. 나타남과 사라짐 그리고 혼돈
2. 혼돈과 질서 그리고 이미지
3. 이미지와 실재 그리고 진리
4. 진리와 오류 그리고 자유
5. 자유와 억압 그리고 혼돈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종인(Jong-in SONG). (2012).존재사건과 이미지. 철학과 문화, 25 , 175-197

MLA

송종인(Jong-in SONG). "존재사건과 이미지." 철학과 문화, 25.(2012): 175-19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