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1993

영문명
A Study on the Management for the Creative Activity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영순(Kim Youngsoon) 오영훈(OH Young Hun) 김미라(Kim Mira)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285~30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장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인식도,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현행 학교의 전반적 상황,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 방안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이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몇 가지 제언을 내놓으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이 현장에 착근하기 위해서는 체험 활동 영역에 맞는 매뉴얼 개발 특히, 지역의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 뿐만 아니라 창의적 체험활동이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근본 취지에 맞는 교육과정 편성, 교과와 연계한 창의적 체험활동 매뉴얼 제공, 인식 개선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 연수 강화, 우수 사례 학교 발굴 및 지원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창의체험지원센터 및 지원시스템 마련이다. 지역사회의 유관기관과 협조 및 지원시스템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창의적 체험활동이 성공을 거두기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손쉽게 창의적 체험활동에 참여 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단체와의 MOU 체결 및 사회단체의 프로그램 개발이 선행되어 있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way to revitalize the Creative Activity being highlighted in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interviewed school experts on how they recognize the Creative Activity. In addition, this study also understands the overall situation of contemporary schools for the Creative Activity, and the way to revitalize it. This study offers several suggestions to effectively perform the Creative Activity. First, an appropriate manual, particularly an appropriate program for the community, should be immediately developed and spread in order to settle into the schools. In addition, organizing an appropriate curriculum for essential purpose of the Creative Activity, providing the Creative Activity manual related to school subjects, reinforcing the Creative Activity retraining for improvement of recognition, and picking out and supporting schools with excellent case history are necessary to operate the Creative Activity successively. Second, school boards should prepare the Creative Activity aid center and supporting system. If various governmental agencies in the community and the supporting system is not yet prepared, it is hard the Creative Activity to succeed. Therefore, preceding the contracting of MOU with social groups in the community and an NGO group program, it is important for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Creativity Activity in their community.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실태
Ⅳ. 결과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순(Kim Youngsoon),오영훈(OH Young Hun),김미라(Kim Mira). (2012).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20 (2), 285-304

MLA

김영순(Kim Youngsoon),오영훈(OH Young Hun),김미라(Kim Mira).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20.2(2012): 285-3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