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이용수 1031

영문명
The Metaphors of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and its Implication in Class Criticism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이혁규(Lee Hyugkyu) 엄훈(Um Hoon) 정정인(Chung Jungin) 신지혜(Shin Jihye)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열린교육연구 제20집 제2호, 305~32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5.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수업 비평의 전제가 되고 있는 ‘수업은 예술’이라는 은유와 그 은유의 대립항을 이루고 있는 ‘수업은 과학’이라는 두 가지 은유에 대하여 그 함의를 수업의 본질과 교육학의 역사에 비추어 고찰하고, 이 두 가지 은유가 수업 비평과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수업의 예술성에 대한 본격적인 언급은 듀이에게서 찾을 수 있으나 19세기 말 이후 교육학계를 휩쓴 과학주의의 조류에 휘말려 퇴조하다가 아이즈너 등의 교육학자들에 의해 새롭게 논의되었다. 교육계를 휩쓴 과학주의는 실증주의에 경도된 흐름으로 교육의 과학을 확립하려 노력한 일련의 심리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교육에 대한 질적 연구의 흐름 속에서 변화가 모색되게 되었다. 수업의 예술성과 수업의 과학성은 교육학의 역사에서 대립하는 패러다임으로 출발하였으나 최근의 교육 연구 및 현장 교사의 위상 변화에 따라 대립이 지양되고 상호보완하는 관계로 변화하고 있다. 수업 비평은 수업을 총체적으로 조망하고 그 의미를 드러내는 과정이므로 수업의 과학성과 수업의 예술성이 상호참조적으로 검토되어야 한다. 수업 비평이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모두를 감식의 대상으로 삼을 때 수업의 과학성이 지닌 맥락 타당성이 확인되기도 하고 예술적 실천의 과학적 의미가 조명되기도 하면서 수업을 보는 안목의 지평이 확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two opposite pair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 and history of educational research. Additionally the study considered the two metaphors’ implication in class criticism. The academic consideration on the ‘art’ of teaching can be found in the work of John Dewey, but his concern for the ‘teaching as art’ has been ignored in the floo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Following on from that, Elliot W. Eisner and other scholars began to discuss the artistic aspects of education. The trend of positivist science of education had been led by a company of psychologists who had intended to establish the ‘science of education’ by the methodology of physical science. However, recently some qualitative researchers are searching for new trends in educational science. The metaphors ‘teaching as art’ and ‘teaching as science’ have been used as an opposite pair in the opposite paradigms through the last century, but recently they began to consider the pair as complementary in the trends of the qualitative researches and the status change of school teachers. The class criticism, which is a process of seeing the class as a whole and finding meaning within it, should make cross-reference to the ‘art’ and the ‘science’ of a teaching. When the class criticism shows off its connoisseurship on the scientific and artistic aspects of a teaching altogether, it can reveal the contextual validity of the educational science and shine a light on the scientific meaning of the artistic practices in a class, and it will lead to the expansion of the horizons of educational connoisseurship.

목차

요약
Ⅰ. 들어가며
Ⅱ. 수업의 예술성과 과학성
Ⅲ. 수업의 과학성/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혁규(Lee Hyugkyu),엄훈(Um Hoon),정정인(Chung Jungin),신지혜(Shin Jihye). (2012).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열린교육연구, 20 (2), 305-325

MLA

이혁규(Lee Hyugkyu),엄훈(Um Hoon),정정인(Chung Jungin),신지혜(Shin Jihye). "수업의 과학성과 예술성 논의와 수업 비평." 열린교육연구, 20.2(2012): 305-3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