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이용수 532
- 영문명
- Dolmens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 발행기관
- 한국상고사학회
- 저자명
- 황재훈(Hwang, Jaeh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상고사학보』제75호, 109~14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5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복ㆍ주암댐 수몰지구, 호남고속도로 및 지방도 확포장구간내 문화유적에 대한 조사에서는 모두 44군집 520여기의 지석묘가 발굴되어 섬진강유역 지석묘문화의 시공간적 양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제공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무덤 형식과 변이, 편년자료 확보의 취약성 등의 한계로 인해 지금까지 체계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무덤의 입지와 배치, 형식, 부장유물과 양상 등의 종합적 분석을 통해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묘역시설, 지석, 매장주체부 등의 세부 구조가 상호연동하면서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무덤의 형식과 출토유물의 시간성에 기초하여 볼 때, 섬진강유역의 지석묘문화는 크게 3단계에 걸친 계기적인 전개과정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Ⅰ단계 지석묘는 대부분 보성강중류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되는데 주로 하천가의 충적평지와 구릉대지상에 입지하며 강의 흐름에 따라 열상으로 배치된다. 무덤의 형식은 평면 장방형과 타원형의 묘역부가 시설된 지하 석곽형과 혼축형의 구조이며 유경식 석검과 심부 유단식 석검, 유경식 석촉 등의 무기류가 주로 부장된다. Ⅱ단계에 접어들면 지석묘군의 입지와 무덤의 공간 배치와 형식, 출토유물, 부장양상 전반에 걸친 급진적인 변화가 감지된다. 평지에서 열상 배치되는 Ⅰ단계 지석묘군과 달리 Ⅱ단계의 무덤은 주로 산기슭 사면이나 구릉상, 고갯마루에서 3~7기가 군집을 이루며 환상 배치된다. 매장주체부는 지하 석관형과 소형의 지석을 연접한 위석형이 주를 이루며 묘역시설은 점차 간략화 된다. 부장품은 퇴화 또는 의기화된 석검, 석촉과 함께 삼각형 석도, 유구석부, 석착 등의 송국리 단계 생활용 도구가 다수 발견된다. 섬진강유의 지석묘문화가 점차 소멸되어가는 Ⅲ단계의 무덤은 주로 구릉 사면이나 고개마루에서 소군집을 이루거나 단독으로 분포한다. 지석묘 형식은 대형 지석을 놓은 지상 매장주체부의 대형 기반식과 간략화된 위석형, 상석이나 묘역시설이 없는 석곽형, 석관형, 토광형 등이 공존한다. 부장품은 퇴화된 무기류와 도구류 파편이 소량 검출되어 시간의 지남에 따른 부장양상의 퇴화과정을 엿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dolmens developed in the Seomjin river basin through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orms and arrangement of dolmens, remains, and burial types. As a result, we found that detail structures including grave facilities, memorial stones,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changed over time in a continued and instrumental manner. Time of the development of dolmen forms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location and arrangement of graves, burial types, and types of remains.
At phase Ⅰ, Dolmens in the Seomjin river basin began to the middle Boseong river, arranged in a row along the stream at the alluvial flatland and hills of the riverside. When it comes to the forms of dolmens, they are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mixed type with plane rectangular graves, where weapons like yugyeong style stone sword, simbu–youdan style stone sword, and stone arrowhead are buried together. In phase Ⅱ, rapid changes happened to the location and arrangements of graves, detail structure of dolmens, and burial type, but graves are made in groups of three to seven mainly on the slope of mountains or uphills, compared with phase two. Gravesites are simplified, and a chamber to bury a corpse in in general takes the form of underground stone coffin type and wiseok–type having small memorial stones nearby. Burial accessories such as obsolete stone swords and stone arrowheads and household tools like triangular stone knives, stone axes, and stone chisel have been found. At phase Ⅲ, when dolmens gradually disappeared, graves are gathered together or alone on hillside or uphills. In terms of grave types, a number of foundation and simplified wiseok–type with large memorial stones have been found, along with stone coffin type and ground shed type. Mostly, excavated burial accessories include fragments of obsolete weapons and tools, and a considerable number of Saehyeongdonggum culture related relics have been excavated from the phase Ⅲ dolmens in the Jeola provinc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분석 범위와 방법
Ⅲ. 섬진강유역 지석묘군의 시간성 검토
Ⅳ.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형식과 변천
Ⅴ. 섬진강유역 지석묘의 전개과정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토기를 통해 본 고구려의 신빈 영릉진고성 운영 시기 검토
- 신라의 소백산맥 서쪽 지역 진출과 지방지배 전략 —성곽-고분군 체계를 중심으로
- 익산지역 백제 사찰의 입지와 축조 공정 검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