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이용수 1132

영문명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s and outcomes
발행기관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저자명
배호중(Bae, Ho-Joong) 안준기(Ahn, Jun-ki)
간행물 정보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99~124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1~3차 자료를 이용하여 4년제 대학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재학 중 취업 사교육 경험이 졸업 후 노동시장 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고 있다. 대학 재학 중 취업 사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 간의 비교에 있어 선택편의를 최소화 하기 위한 방법으로 준실험적 방법론 가운데 하나인 성향점수매칭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구직 기간 및 첫 직장 임금을 분석하기 위해 비례위험모형(proportional hazard model) 및 분위회귀(quantile regression)방법을 적용하였다. 관찰가능한 개인의 이질성을 통제한 후에도 노동시장 이행 지표 가운데 구직 기간은 취업 사교육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영어 관련 취업 사교육이 다른 사교육에 비해 구직기간을 크게 줄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졸업 후 첫 직장 임금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취업 사교육은 첫 직장 임금을 높여주고 있으나, 분위회귀 분석 결과 전 소득 구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라 중위 소득을 중심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부 취업 사교육 종류별로 살펴본 결과 영어 관련 학습은 상위 소득 분위에 있어서도 주요한 효과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f the four-year-course college students’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while in college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s after graduation.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first to third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This study uses the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hich is one of the quasi-experimental methodology in order to control selection bias. Also, applying proportional hazard model and quantile regression methodology, we investigate one’s job search period and the first job wages. After controlling selection bias, job search period among various labor market transition indexes is affected by one’s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while in college. In particular, English private education reduces one’s job search period compared to other private educations for employment. Similarly, private education for employment raises the first job wages after graduation; however, this effect is strong for around medium income class as a result of estimation of quantile regression. On the other hand, private education related to English affects upper income class.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부표 1〉 모형에 이용된 변수 설명 및 기초통계(취업 사교육 관련 변수 제외)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배호중(Bae, Ho-Joong),안준기(Ahn, Jun-ki). (2011).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0 (4), 99-124

MLA

배호중(Bae, Ho-Joong),안준기(Ahn, Jun-ki). "대학생의 취업 사교육이 노동시장 이행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0.4(2011): 99-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