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準王南來說에 대한 비판적 검토

이용수 261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n the Theory of King Chun’s(準王) Southward Migration - Considering the Influx of Chosŏn Migrants into Mahan(馬韓) -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대재(Park, Dae-Jae)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35輯, 111~13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2.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기원전 2세기 초 準王이 위만에게 쫓기어 ‘韓地’로 망명하여 ‘韓王’이라 칭하였다고 하는 ‘準王南來說’은 280년대 편찬된 陳壽의 『三國志』에서 처음 보인다. 그런데 그보다 앞선 『魏略』(260년대 편찬)과 『潛夫論』(2세기 편찬)에서는 준왕의 망명지역을 막연하게 ‘海中’ 이라고만 기록하여, ‘韓地’라고 구체적으로 기록한 『삼국지』와 차이가 난다. 준왕남래설에 보이는 ‘韓王’, ‘韓地’의 용어는 後漢 이후 알려진 지리 정보에 의해 후대의 진수가 추가로 기록해 넣은 것이다. 따라서 기원전 2세기의 준왕이 ‘韓地’에 가 ‘韓王’이 되었다는 것은 역사적 서술이 아니며, 이를 포함한 준왕남래설 자체도 후대의 역사가들에 의해 윤색된 것임을 시사해준다. 『삼국지』에서 준왕을 箕子의 40여 세 孫으로 기록한 것은 자신들의 家系를 기자나 준왕과 연결시키고자 했던 후대의 씨족, 특히 樂浪지역 韓氏나 王氏의 계보에 근거한 것으로 사료적 가치가 낮다. 준왕이 기자의 후손이며 기자조선의 마지막 왕이라는 점에서 준왕의 존재는 기자동래설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삼국지』에 이르러 준왕의 말로가 기존과 달리 ‘한지’로 바뀐 배경도 기자동래설의 연장을 통해 기자 교화의 외연을 확대하고자 한 중화적 인식의 발로와 관련이 있다고 보인다. 준왕남래설은 기원전 2세기의 역사적 사실이 아니라 後漢 桓ㆍ靈帝 이후 낙랑의 영향력이 쇠퇴하면서 韓에 유입한 조선계 유민 집단의 존재로 인해 파생된 부회라고 판단된다. 진수가 『삼국지』편찬 과정에서 『魏略』 외에 군현지역 씨족의 계보나 군현에 출입했던 韓의 상인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참고하였을 것인데, 그 가운데 擬制的이나마 자신들의 가계를 준왕과 연결 시켰던 조선계 유민 집단의 존재를 인지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과거에 준왕이 韓으로 망명했다고 오인하게 된 것이라고 이해된다.

영문 초록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to the area of Han(韓) in the early second century B.C. could be seen in Sankouchih(三國志) complied by Chen Shou(陳壽) in the 280’s. However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previously compiled Weilueh(魏略) and Qianfulun(潛夫論), which have ambiguously recorded the destination of King Chun’s migrating into an ocean, and the detailed records of Sankouchih. The terms such as ‘Han(韓)’ in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was added by Chen Shou in accordance with the geographical knowledge after the period of the Later Han. Therefore, that King Chun migrated to ‘Han’ and then became the king of ‘Han’ cannot be a historical record, and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including this term, is embellishment by later historians. Since the record of Sankouchih that King Chun was approximately fortieth descendent of Kija was based on pedigrees of later generations, especially Han families’ in the Lolang(樂浪), who pretentiously attempted to include Kija or King Chun to their lineage, its historical value is questionable. Yet the existence of King Chun cannot be free from the theory, in regard of that King Chun was a descendent of Kija and the last king of Kija-Chosŏn. Unlike former historical records, Sankouchih’s sudden change of King Chun’s final destination to ‘Han’ was to widen Kija’s reach of enlightenment in Korea through the extension of the theory of Kija’s migration. It was, supposedly, related to the consciousness of Sino-centrism. Thus, the theory of King Chun’s southward migration could be concluded as a farfetched record which originated from the old Chosŏn people in Loland and Daifang (帶方) migration to the Han area after the late second century A.D.. Chen Shou would have referred to the pedigree of the families in the Chinesamiloesnces in Korea peninsular or merchants’ reports from the Han iloesnces while coChining Sankouchih. Ihe familocess, it is supposed that Chen Shou misunderstood that King Chun had taken asylum in the Han area because the Chosŏn migrators from Loland and Daifang to Han retroactively regarded their ancestors connected to King Chun and held a pretentious memorial rites for him.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準王南來說의 성립과정과 문제점-箕子東來說의 變奏-
Ⅲ. 準王 祭祀와 朝鮮系 韓氏ㆍ王氏
Ⅳ. 樂浪ㆍ帶方지역 조선유민의 馬韓 유입
5.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대재(Park, Dae-Jae). (2011).準王南來說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선사와 고대, 35 , 111-137

MLA

박대재(Park, Dae-Jae). "準王南來說에 대한 비판적 검토." 선사와 고대, 35.(2011): 111-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