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국대학교박물관소장 法住寺 捌相殿 舍利莊嚴具 考察

이용수 1049

영문명
A Study on Sarira Reliquary of Palsangjeon Hall of Beopjusa temple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저자명
김순아(Soon Ah Kim)
간행물 정보
『佛敎美術』第18號, 21~53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법주사 팔상전은 원래의 기단 위에 다시 중건된 것으로, 특히 그 사리장치는 목조탑 속에 납입된 유일한 예로서 그 봉안 방법과 내용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금동탑지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충청도 지방 승병의 거점이었던 범주사는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 중에 왜군의 계획적인 방화로 팔상전을 비롯해 대부분의 전각들이 큰 피해를 입었으나 戰後에 승병대장이었던 사명대사 유정에 의해 재건되기에 이르고, 사명대사 유정은 이 사리장엄구의 봉안에도 깊이 관여한 듯하다. 선조 35년(1602) 팔상전을 재건하기 시작하여 선조 38년인 1605년에 心柱를 세우고, 광해군 10년(1618)에는 大雄大光明寶殿(現 大雄寶殿)을 재건하였다. 이와 같은 일련의 재건사업은 지속적으로 왕실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더불어 왕실의 원찰로서 기능을 하였던 것으로 짐작된다. 사리공 내부에 봉안되었던 사리장엄구 일부는 해체 수리 직후 再奉安 되었으며 그 일부는 현재 동국대학교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사리장엄구 일괄은 법주사 팔상전의 건립과 관련된 중요한 기록이며, 조선시대에 제작된 사리호의 귀한 예로서 조선시대 사리신앙의 단면을 전해주는 秀作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물을 대상으로 출토 정황에 따른 유물의 성격과 용도 그리고 제작 기법 및 시기를 추정해보았으며, 세 가지의 잠정적인 결론을 얻었다. 첫 번째, 그동안 미술사적 검토 과정 없이 사리호와 사리호 받침으로 간주해 온 환형구가 본래 가사를 고정시키기 위한 가사장식구라는 점, 또한 그 제작시기 문제에 있어서 종전의 ‘은제사리호와 일괄적으로 조선시대에 새로 제작되어 再봉안’ 되었다는 단순한 추정에서 벗어나 현재 고려시대 작품으로 편년되는 가사장식구와 문양 및 장식성을 비교ㆍ검토 과정이 요구된다. 두 번째, 유사한 세 개의 대리석제합에서 엿보이는 광해군 혹은 왕실과의 관련성 문제이다. 봉인사 석가세존사리부도 사리장엄구 가운데 대리석 제합과의 재질, 크기, 문양 등의 유사성은 법주사 팔상전 사리장엄이 광해군과 무관하지 않으며, 더 나아가서는 왕실 제작과의 관련성이 있음을 대변해주는 자료로 파악된다. 伝통도사 대리석제합 또한 그 연장선 상에 있는 유물로 짐작된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자세히 다루어진 바 없는 은제사리호의 제작 기법과 장식 문양을 통해 조선시대의 타출기법과 어자문기법 그리고 錢文의 계승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문양인 연화당초문은 타출기법 외에도 모조기법ㆍ선각기법ㆍ축조기법 등으로 화려하고 섬세하게 장식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 이후 계승ㆍ발전되어 온 어자문의 양상과 고려시대 이래 장식문양으로 활용되어 온 전문이 지속되어 더욱 장식화 되었음을 살펴보았다. 비록 억불숭유의 시대적 배경과 전란으로 순탄치 못한 시기에 제작되었지만 금속공예의 전성기였던 고려시대에 뒤지지 않는 수준 높은 기물이 제작된 이와 같은 예를 통해 조선 중기의 사리신앙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또한 은제사리호의 완성도와 묵서 내용 등을 고려해 볼 때, 당시의 사찰재건 사업 및 사리장엄이 왕실과의 관련성 속에서 행해졌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alsangjeon is the only wooden five-storied stupa in Korea and it was rebuilt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Dynasty. Sarira reliquary of this building is the sale example in the wooden stupa in Korea. According to gilt bronze epitaph, Beopjusa that was the main position of monk soldier was fired by Japanese Army in 1597. After the Japanese invasion, Samyeongdang Yoojeong played a important to rebuild Beopjusa temple and enshrine this sarira reliquary. At that time royal house seemed to support the rebuilding of Beopjusa temple. This temple seemed to become shrine temple. Palsangjeon was reconstructed in 1968, at that time sarira reliquary had been enshrined in sarira hole. After the reconstruction, this reliquary was enshrined, some reliquary became Dongguk university collection. The satira reliquary of Palsangjeon is the important record related with rebuilding, the valuable works show belief of sarira in Joseon period.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 of this reliquary, use, technique, and making times. The ring that was regarded as sarira support is the monk's robe decoration. This ring was supposed to be made in Joseon period, it has more possiblity to be used as a monk's robe decoration. When this work compares with monk's robe decoration, it is supposed to be monk's robe decoration. This reliquary seem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Joseon royal house. The marble case of this reliquary is similar to that of Bonginsa sarita reliquary. Joseon royal house supported the making of sarira reliquary of Bonginsa temple. So royal house seemed to join to make this reliquary. Many techniques such as repousse method, ring punched method, and so on applied to the silver sarira case. In addition coin design used from Goryeo is engraved on the case.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사리신앙과 사리장엄
Ⅲ. 법주사 팔상전 사리장엄구의 구성 및 특징
Ⅳ. ‘금동연화타출문환형구’-명칭과 용도에 대한 재고
Ⅳ. 맺음말
부록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순아(Soon Ah Kim). (2007).동국대학교박물관소장 法住寺 捌相殿 舍利莊嚴具 考察. 佛敎美術, (18), 21-53

MLA

김순아(Soon Ah Kim). "동국대학교박물관소장 法住寺 捌相殿 舍利莊嚴具 考察." 佛敎美術, .18(2007): 21-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