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고려중기 금동보살입상

이용수 551

영문명
Gilt Bronze Standing Bodhisattva in mid-Goryo dynasty in the possession of Dongguk University, Seoul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저자명
정은우(Eunwoo Jeong)
간행물 정보
『佛敎美術』第18號, 3~20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의 금동보살입상은 41.5㎝의 크기에 대좌와 함께 주조된 통주식의 제작기법을 보이는 작품이다. 전체적으로 좁은 어깨에 가늘고 잘룩한 허리, 왼쪽 무릎을 살짝 구부린 S형 자세, 옆으로 돌린 얼굴에 가늘고 긴 신체에서 세련되고 우아한 특징을 보인다. 보관은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중앙에 화붙이 있어 관음보살상임을 알 수 있으며 그 좌우 측면에는 잎사귀가 옆으로 뻗치듯 표현되었고 그 각 꼭대기에는 보주장식이 달려있다. 이러한 특징들은 중국의 경우 당대에서부터 북송에 걸쳐 유행했던 요소이며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제작 시기는 중국 불상과의 비교를 통해 볼 때 특히 북송기의 작품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는 점에서 고려중기인 11세기후반에서 늦어도 12세기 전반경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즉 중국 보살상의 흐름으로 볼 때 당에서 시작되어 오대, 북송으로 계승되는 양식적 특징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보살상의 특징 중의 하나는 통주식으로 이루어진 주조기법이다. 이전인 통일 신라시대에는 불상의 뒷면에 3-4개의 주조구멍이 있는 반면 고려전기와 중기의 금동불상들은 뒷면에 주조구멍이 없는 막힌 구조에 내형토와 철심이 대좌 밑으로 드러나는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통주식 기법은 삼국시대의 특징이며, 중국의 경우 오대, 요, 북송으로 이어지는 보살입상에서도 나타나는 시기성을 보인다. 이 금동보살입상은 현존상태가 매우 좋을 뿐 만 아니라 양식이나 주조기법 등에서 시대성을 잘 보여주는 전체적으로 우수한 작품이다. 더욱이 그 예가 드문 북송과의 외래요소를 잘 반영하고 있는 보살상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Gilt Bronze Standing Bodhisattva in possession of Dongguk University is 41.5 ㎝ high and shows one body casting (通鑄式) technique with statue and pedestal. In overall, the statue is long and thin, it with narrow shoulders and slender waist S-shaped posture is shown by bending its left knee The face is looking in a sideway. These features give the statue elegant and smart characteristics. The crown is decorated with a Amithba buddha, which is in triangular shape. The three sides of this triangular shaped crown are decorated with leaves. Ornaments(寶珠) are located on tops of three sides. These features were popular from Tang to North Song dynasties in China and assumed to be flown into Goryo dynasty. Comparing the similarity to the statue images of North Song dynasty, the production period of this stature is predicted to be 11th century in mid-Goryo dynasty. As reflected trend of Chinese Bodhisattva, the gilt bronze standing bodhisattva implies the stylistic peculiarity inherited through five dynasties and North Song dynasty. One of the features of this Bodhisattva is one body casting technique. Before Unified Silla dynasty, there were 3-4 molding holes at the back of Buddist statue. However, in pre- and mid-Goryo dynasty, the characteristic shows no molding holes at the back of the statue and pedestal shown inner molded cray(內型上) and core iron. The existing gilt bronze standing bodhisattva remains not only in very good condition, but also a good status reflecting molding techniques of the era. Moreover the statue is one of a few examples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 of North Song dynasty to give more significance to the statue.

목차

Ⅰ. 머리말
Ⅱ. 금동보살입상의 현상 및 양식적 특징
Ⅲ. 제작시기와 송대 외래요소의 수용
Ⅳ. 주조기법과 시기성
Ⅴ. 맺음말
〈국문초록〉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우(Eunwoo Jeong). (2007).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고려중기 금동보살입상. 佛敎美術, (18), 3-20

MLA

정은우(Eunwoo Jeong).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고려중기 금동보살입상." 佛敎美術, .18(2007): 3-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