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奉壽堂進饌圖〉

이용수 834

영문명
A Study on Painting of Feast on Bongsudang of Dongguk University Museum
발행기관
동국대학교 박물관
저자명
장계수(Gye Su Jang)
간행물 정보
『佛敎美術』第18號, 75~10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성능행도병》은 〈華城聖廟展拜圖〉, 〈洛南軒放榜圖〉, 〈奉壽堂進饌圖〉, 〈洛南軒養老宴圖〉, 〈西將臺夜操圖〉, 〈得中亭御射圖〉, 〈還御行列圖〉, 〈漢江舟橋還御圖〉의 8폭 병풍그림이며, 본 글에서 살펴 본 〈봉수당진찬도〉는 현륭원 원행에서 가장 중요한 행사로서 어머니 혜경궁을 위해 베풀었던 進饌禮를 그린 것이다. 동국대박물관 소장본 〈봉수당진찬도〉는 현존하는 작품들 중에서도 화면 내용과 보존상태가 뛰어난 작품으로 생각으로 생각되며, 화면 구성은 다른 소장본들과 마찬가지로 상ㆍ하단으로 구획되어 있다. 화면 상단에는 진찬례가 행사가 진행되는 시간적 순서를 고려하여 인물 배치와 다양한 呈才가 표현되었는데, 화면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시선이 이동되면서 행사를 집행하는 여집사와 여령 정재를 지휘하는 집박차비, 그리고 휘건을 바치는 정리사의 모습을 손에 쥐고 있는 지물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찬례에 추어진 정재는 맨 처음 시작된 獻仙桃에서부터 무고ㆍ아박ㆍ향발ㆍ선유도를 그리고 있으며, 검무는 화면 오른쪽에 놓인 검 4자루와 戰笠, 붉은색 보따리를 통해 상징적으로 그리고 있었다. 특히 지금까지는 헌선도 정재 외에 舞鼓와 船遊樂 정재만 그려졌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동국대박물관 소장본을 통해 牙拍과 響鈸 정제도 그려져 있음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화면은 行宮 안에서 치러진 궁중행사도에 전통적으로 사용된 正面俯瞰 투시법에 의해 그려졌으며, 일부 기물은 일점투시에 의한 遠近法이 적용디었다. 인물은 얼굴의 윤곽이 세밀하게 묘사되고, 움직임이 회깅ㄹ적이지 않고 자연스럽게 표현되었다. 건물과 각종 기물은 의궤 기록과 일치하는 사실적인 표현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전체와 金彩의 사용을 통해 화려한 궁중 행사도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채색의 농담을 조절하여 사물이 입체적으로 표현되었으며, 기둥과 가교 지붕의 표현에서 명암법이 적극적으로 구사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채색의 빛깔이 퇴색되지 않고 생생하게 살아 있어서 화려한 궁중 그림의 일면을 확연하게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동국대박물관 소장의 〈봉수당진찬도〉는 정조대 이후에 제작된 後模本이기보다는 당대에 뛰어난 솜씨를 지닌 화원에 의해 그려진 작품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필자는 《화성능행도병》과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도식」을 제작할 때 참고 자료로 사용되었을 밑그림의 제작과 관련하여 현륭원 원행에 따라갔던 최득현을 주목해 보았다. 최득현은 의궤 기록에 의하면, 원행을 다녀온 뒤 진찬도병을 제작하여 진상하고 상을 받은 7명의 화원 중 한명이며, 김홍도와 함께 『원행을묘정리의궤』의 도식 제작에도 참여했었다. 또한 진찬도병을 제작한 후 김득신과 함께 가장 많은 상을 받았다는 사실은 진찬도병의 제작에 그의 역할이 비중 있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최득현이 현장에서 그렸다고 추정되는 그림으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필채색본 『園幸整理儀軌圖』와의 관련성을 추정해 보았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 더 면밀한 조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King Jeongjo carried out trip to royal mausoleum in the name of Hyo(孝, filial piety), he emphasized on the purpose of his trip to Hyeonryungwon on the basis of filial piety. But his real purpose was to reinforce Royal Authority and his justification. His trip to Hyeonryungwon was to celebrate his mother Hyegyeonggung's 60th birthday later in the year in 1795. This trip had a difference from plan, preparation, and trip scale, the difference is proved by Hwaseongnunghaengdobyeong and Wonhaengeulmyojeongriuigue. Hwaseongnunghaengdobyeong consists of eight paintings. Of all these paintings Bongsudangjinchando is to depict a banquet held in honor of the King's Blather at Bongsudang Hall. This painting is tile best work of all existing Bongsudangjinchando in contents and conservation condition. The framework of painting is composed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A banquet scene is depicted in the upper part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time. A dance that performed in this banquet is Heonseondo(dance for offering peach), Moogo, Abak, Hyangbal, Seonyoodo(boating), and Geommoo(sword dance). So far, only Heonseondo, Moogo, Seonyoodo were become known. But through this research, we know that this painting includes Abak and Hyangbal. The painting was produced by some of the most eminent court artists at that time. This work was painted by the traditional front over looking technique, some utensils were applicable to perspective. People were described delicately and people's motion was depicted naturally. Buildings and utensils have a realistic shape. In this painting the noticeable thing is draft of this work. The person supposed to paint draft is Choi Deuk Heon. According to Uigue record, he made banquet folding screen related with King Jeongjo's trip in 1795, he received a prize from King. Also he joined to make diagram of Wonhaengeulmyojeongriuigue. This painting is, in essence, a historical documentary painting, but also exhibits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paintings, which are pictorial representations of the everyday lives of people. The painting is rendered in sophisticated, elegant colors and each scene is depicted with an exceptional attention to detail. It is not only a remarkable work of art, but also has historical value as it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customs and people's lives at that time. The painting is a masterpiece, representing the documentary paintings of the 18th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奉壽堂進饌圖〉의 화면구성과 표현기법
Ⅲ. 〈奉壽堂進饌圖〉의 양식적 특징과 제작시기
Ⅳ. 《華城陵幸圖屛》의 제작 화원
Ⅴ. 맺음말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계수(Gye Su Jang). (2007).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奉壽堂進饌圖〉. 佛敎美術, (18), 75-101

MLA

장계수(Gye Su Jang). "동국대학교박물관 소장 〈奉壽堂進饌圖〉." 佛敎美術, .18(2007): 75-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