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각문화미술교육

이용수 1402

영문명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Popular Culture Images and the Feeling of Pleasur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이재영(Jae-young Lee)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美術敎育論叢 第24券 3號,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1.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고민의 한 출발점으로 본 논문은 시각 이미지 특히 대중문화 이미지가 우리들에게 제공하는 즐거움의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그 시사점들을 논의한다. 논의를 이끌어 내기 위해 기존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대중 이미지에 결부된 다양한 즐거움의 요소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과 정당성을 우선 살펴본다. 이런 타당성을 바탕으로 대중문화 이미지가 제공하는 즐거움의 종류를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폴던컴(P. Duncum)이 제시한 목록에 착안하여 대중문화 이미지에 결부된 즐거움의 요소들 가운데 일부를 예시적으로 살펴본다. 본 논문은 단순히 이런 요소들에 대한 나열을 넘어 대중 이미지가 제공하는 즐거움의 요소에 대한 고찰이 기존의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던지는 시사점들을 논의한다. 특히 이런 시도들이 비평적 사고와 역량강화를 지향하는 기존 시각문화미술교육 접근법들에 제기하는 의문들을 살펴본다.

영문 초록

As an alternative starting point for delving into an effective approach to Visual Culture Art Education(VCAE), this article argues the need for inquiry into the feeling of pleasure that comes from the popular culture images we experience as well as the associated implications. To develop this argument, this article discusses Duncum, Hipfl, jagodzinski, and Lee who exhibit similar concerns about this feeling of pleasure. From this theoretical foundation, the next section makes a list of this feeling of pleasure. Guided by the examples of this feeling of the pleasure Duncum announced on the syllabus for his VCAE course, a revised list of the feeling of the pleasure is provided. The examples of this feeling of pleasure include the feeling of pleasure which is humorous, hilarious, kitschy, bizarre, fantastic, violent, massacred, spectacular, romantic, narcissistic, cute, exotic, imaginative, surrealistic, sexual, sensual, satirical, sarcastic, ironic, supernatural, and nostalgic. Note that the aim of this article is not to make the list itself, but to open a discussion that makes it possible for us to expand our insights into the research and practices of VCAE. At least three unique implications are discussed: 1) a quest for an alternative model of responsive approaches to VCAE so as to focus on specific reasons a person find the origin of his/her feeling of pleasure in popular culture images; 2) the need for our sophisticated understanding of the deeper impact of the feeling of pleasure on our emotional, affective, and unconscious level of understanding; and 3) the need for the sophisticated understanding as a starting point to enhance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empowerment. In particular, this attempt proposes more holistic approaches to art education for significant challenges and changes in our recent approaches to VCAE.

목차

I . 서 론
II . 이론적 고찰
III . 대중문화 이미지와 즐거움
IV . 시각문화미술교육을 위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영(Jae-young Lee). (2010).시각문화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24 (3), 1-19

MLA

이재영(Jae-young Lee). "시각문화미술교육." 미술교육논총, 24.3(2010):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