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朝鮮朝 繪畵思想의 儒家美學的 理解

이용수 498

영문명
Confucian aesthetic understanding of the Literati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조민환(Jo, Min-hwam)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7호, 195~21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회화도 종교 등 여타의 것과 마찬가지로 그 시대를 이끈 지배 이데올로기와 지배층의 미의식의 영향을 받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崇儒抑佛 정책을 펴면서 유학을 국교로 삼은 조선조 이전까지는 유가사상의 입장에서 회화작품이나 이론을 분석할 만한 것은 거의 없다. 간혹 사군자와 관련된 이론 등에는 比德의 입장에서 논할 만한 것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도 매우 제한적이다. 이런 점은 고려시대에 佛畵를 비롯한 최고의 불교 예술이 화려하게 꽃핀 것과 비교가 된다. 조선조 초기는 주로 문인사대부들의 경우 회화를 末技라고 인식하는 사유가 많았고 이런 사유는 상당히 오랜 기간 영향을 주었다. 󰡔朝鮮王朝實錄󰡕을 보면 많은 곳에서 군주가 회화에 대한 관심을 갖는 것조차도 지나치리만큼 민감한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하지만 회화를 국가적 차원에서의 治人과 治道를 보조하는 매개물로 입장에서는 회화를 무조건 부정적으로 보지 않았다. 그것은 군주와 백성 모두에게 적용된 <鑑戒圖> 혹은 <勸戒圖>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그림으로 그려져 나타났고, 또 그것을 통해 국가통치이념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장언원이 말한 “그림은 교화를 이루고 인륜을 도운다”라는 점에서의 회화인식이 강하게 나타난다. 즉 조선조는 회화가 유가가 지향하는 교육적 ․ 정치적 ․ 윤리적 사유와 합치된 내용을 그림에 담아냈느냐의 여부, 혹은 회화를 유가가 말하는 道 혹은 理와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에 따라 그 평가는 다르게 나타났다. 이런 점에는 조선조가 회화를 통하여 무엇을 얻고 말하고자 했는지가 잘 반영되어 있다. 조선조 중기를 넘어서면서 문인사대부들이 회화 창작에 참여하여 회화를 天地의 도를 체득하고 心性을 기르는 도구로 인식하게 됨에 따라 회화에 대한 인식은 점차 변화하기 시작한다. 유교를 국교의 이념으로 삼은 조선조의 경우 초기와 중기 그리고 후기에서의 회화인식은 회화를 어떤 맥락에서 이해하느냐에 따라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는데, 이 같은 조선조 유학자들의 회화인식은 그들이 추구한 삶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회화도 그 큰 틀에서는 벗어날 수 없었다.

영문 초록

Frankly speaking, Chinese literati Painting have reflected the ruling class's aesthetic consciousness and ideology. The Literati painting in Joseon Dynasty as the same. Confucianism places high value on a strong sense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such thought reflected The Literati painting in Joseon Dynasty. Confucian aesthetic understanding of the Literati painting in the Joseon dynasty From the angle of traditional philosophy and aesthetics, the author makes a holistic approach characteristics of Joseon literati painting. The first approach starts with the identity of artists, and puts forward the value of "Wen(cultured)" as a sign representing literati painters against others. Two groups opposes to each others as Lijia(layman) and Hangjia(expert) in identity. The original Hangjia means professional artisans who takes painting as an occupation and lived by it. Instead, Lijia means amateur scholar who had other profession and salaries. Their proper professions cover three aspects : pursuing Tao, governing society and writing articles. When a literati painting grow mature, its difference from artisan's painting accordingly to cultivation, that is, Wen against Ye(uncultured). The flavor Wen is displayed in four aspects. Firstly, subjects come from classic works. Secondly, meanings are connected with philosophic thought. Thirdly, the quality of literary decides that of painting. Last, style prefers to gentles and mo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literati painting's thought have four aspects, especially they pursuing Tao, governing society and writing articles. Because Joseon literati painters have affected not only Neo-Confucian philosophy and Confucian aesthetic thought but also pursued Confucian societ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朝鮮朝 前期 儒學者들의 繪畫認識과 그 變遷
Ⅲ. 조선조 <勸戒圖>에 나타난 유가사상
Ⅳ.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민환(Jo, Min-hwam). (2010).朝鮮朝 繪畵思想의 儒家美學的 理解. 서예학연구, (17), 195-215

MLA

조민환(Jo, Min-hwam). "朝鮮朝 繪畵思想의 儒家美學的 理解." 서예학연구, .17(2010): 195-2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