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兪漢雋의 道文分離的 書藝認識에 관한 연구

이용수 114

영문명
Yu, Han-chun's To-mun-bul-li(道文分離) Calligraphic Philosophy
발행기관
한국서예학회
저자명
전상모(Jeon, Sang-mo)
간행물 정보
『서예학연구』서예학연구 제17호, 5~37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9.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18세기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던 著庵 兪漢雋(1732-1811)의 문학인식과 서예인식의 상동성에 대해서 분석한 논문이다. 유한준은 ‘道文一致’를 부정하였다. 즉 문학이 도학의 인과론적 결과가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문학은 도학과 구별되어 문학으로서 그 가치가 있다는 주장이다. 유한준의 ‘도문분리’의 논리는 ‘인간 개개인의 다양성을 긍정’하는 ‘各道其道’의 논리로 발전한다. 특히 각자 자신의 도를 발전시켜 자신의 도를 완성하는 各道其道의 논리는 ‘道本文末’의 가치 질서를 부정함은 물론, 정주학이 이단시했던 노장과 불교 등 다른 사상의 가치를 재고하게 하고, 완물상지로 폄하되었던 개인의 다양한 취미와 기예들을 높이 평가하는 중요한 논리로 작용한다. 유한준은 서화 감상에 있어서 ‘稽古’의 가치를 적극적으로 부여한다. 유한준에게 ‘稽古’란 피동적 답습이 아니라 잘못된 것을 가려내어 진위를 구별하고 새롭게 다듬는 것이다. 유한준은 저술활동을 함에 있어서도 ‘稽古’를 중시하였으며 문학에 있어서도 상투성과 고루함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수단으로 ‘稽古之學’을 활용한다. 유한준은 서예비평에 있어서도 ‘道文分離’적 관점을 적용한다. 유가에서 문장과 서예는 경전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여겨왔다. 그래서 ‘書如其人’, ‘文如其人’을 말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文品이나 書品이 人品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모순을 유한준은 道와 文을 분리함으로써 해결한다. 유한준의 ‘道文分離’와 ‘各道其道’의 논리는 조선조 지배 이데올로기인 주자학의 엄밀성과 확장성에 비춰볼 때 주자학의 핵심적 가치를 부정하고 이단사상을 긍정하는 위험한 주장이다. 그렇지만 유한준과 같은 문예의식은 우발적으로 생성되거나 돌출적으로 표현된 것이 아니다. 적어도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에 대두한 진보적 문예 담론들이 유한준을 만나 조리 있게 정리되어 반영되었다는 사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analyzing the analogy in Chŏ-am Yu, Han-chun (著庵 兪漢雋, 1732-1811)'s philosophy of literature and calligraphy, who was highly regarded for his writings in the 18th century. Yu, Han-chun denied To-mun-il-chi’ (道文一致 : Tao and Literature is identical). That is, he did not believe that literature is the consequence of one's achievement of Tao. Furthermore, he argued that studies of literature had the value independent from studies of Tao. His To-mun-bul-li (道文分離 : Tao and Literature is independent) theory had developed into Kak-to-gi-do (各道其道 : Each Tao has its Tao), that 'affirms the diversity of human individuality'. This Kak-to-gi-do rationale that says that each human being must complete one's Tao by individually developing one's own Tao not only denied the value system of To-bon-mun-mal (道本文末 : Tao is the foundation while literature is only the end) but enabled the reevaluation of the Taoism and Buddhism philosophy and other diverse individual inclinations and arts that used to be despised as a trivial pursuit. Yu, Han-chun also actively reevaluated the value of Kye-go (稽古 : Studying the ancient with care) in art critiques. For him, Kye-go is not a passive imitation of the past but active reevaluation and renewing of the true value of the past. He valued 'Kye-go' for his writing too. He utilized 'Studies of Kye-go' 稽古之學 as a method to overcome banality and conventionalism. He also applied the To-mun-bul-li sentiment for his calligraphic critiques. In Confucian tradition, the literature and calligraphy were considered to have a canonical value. That is, they believed that 'the calligraphy is like the person' and 'the literature is like the person'. Yet in reality, there were cases that the character of literature and the character of calligraphy did not match the character of the person. Yu, Han-chun solved this contradiction by separating Tao and literature. Yu, Han-chun's To-mun-bul-li and Kak-to-gi-do were subversive in that it denied the core value of the Neo-Confucianism as it affirmed the heterodoxy, given the strictness and comprehensiveness of the Chosun governing ideology of Neo-Confucianism. His sense of literature and art was not totally isolated thoughts coincidentally appeared at the time. One should not overlook that his view was the result of his encounter with the progressive literature and art discourses emerged at least in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or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He was an articulate synthesizer of that trend.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道文分離論과 各道其道的 技藝認識
Ⅲ. 서화감상의 稽古之學的 저술의식
Ⅳ. 道文分離論 書藝批評의 실제
Ⅴ. 나오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전상모(Jeon, Sang-mo). (2010).兪漢雋의 道文分離的 書藝認識에 관한 연구. 서예학연구, (17), 5-37

MLA

전상모(Jeon, Sang-mo). "兪漢雋의 道文分離的 書藝認識에 관한 연구." 서예학연구, .17(2010): 5-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