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루마니아의 유형 자산 ‘트로이차(Troiţa)’에 나타난 종교·문화적 기호와 상징

이용수 149

영문명
The religious signs and symbols in the Romanian cultural heritage ‘Troytsas (Troiţa)’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정환(Kim, Jeong Hwa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연구 제25권, 249~27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0.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 문화 속에 내재된 샤머니즘이나 민간의 입간 습속과 유사한 트로이차는 하늘의 원주와 같이 신격화된 조형물과 세계수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선돌과 지주의 형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트로이차는 크리스트교 사상이 전이된 이후의 유형들로서 십자가 문양이나 성화나 성상이 조각되거나 장식되어 있다. 흔히 민간에서는 ‘길가 교차로 등에 세워진 석조나 목조의 크리스트교 조형물’이나 커다란 십자가 정도로 통용되기도 한다. 트로이차는 ‘삼위일체’에서 기원된 포괄적 명칭으로 인식된다. 하늘의 기둥과 원주가 크리스트교 이전의 성스러운 조형물을 대표한다면, 크리스트교 사상이 전이된 이후의 성스러운 조형물은 크게 ‘십자가형’, ‘성화상형’, ‘처소형’ 트로이차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그 중 ‘십자가형 트로이차’는 루마니아에 가장 많고 또 넓게 분포하는 유형으로 +자 또는 T자 등 다양한 이형들이 존재한다. 일반적으로 트로이차는 급변하는 산업문명의 영향으로부터 고립되어 전통성을 보다 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구릉지에 잘 보존되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트로이차의 공적 양식은 ‘태양의 기호’, 세계축(axis mundi)을 연상시키는 ‘수목(樹木)’ 그리고 ‘의인관’이다. 고대 하늘의 종교에 의해 영속되어 온 조형물들이 인간과 하늘의 신성 사이에 매개적 역할을 하는 우주목 또는 세계수의 상징들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이 조형물은 궁극적으로 세계의 중심 또는 세계축이 되며, 신과의 의사소통이 실현되는 유일한 장소가 된다. 각각의 성소가 고대적 관점에서 스스로 하나의 우주가 되는 것처럼 공동체 거주지의 중심에 식수된 우주목 또는 그와 유사한 이형인 트로이차 역시 스스로 그 자신의 신성화와 동일시된다. 우주목, 하늘의 원주, 트로이차는 스스로 신성을 받아들이며 동시에 나쁜 기운을 거부하는 액막이의 기능을 수행한다. 인간, 수목, 태양(신성)의 세 가지 핵심적인 영역이 결합된 하늘의 원주와 트로이차는 사적 존속을 위한 인간의 이해를 대변하지만, 다른 한편 자연과 우주에 대한 강한 친화력 그리고 신성과 성스러움을 향한 동경을 보여준다. 신화 종교적, 주술적 미의 구조를 간직한 하늘의 원주와 그 이형 그리고 트로이차는 과거로부터 루마니아인의 신앙과 정신세계 그리고 삶을 성숙시켜왔다. 성과 속의 측면에서 루마니아의 트로이차만큼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는 유형 문화유산의 이형이나 변형은 드물다. 수목의 토테미즘과 크리스트교가 접목된 트로이차는 조수(潮水)처럼 루마니아 문화의 또 다른 영역들과 끝없이 영향을 주고받으며, 한 민족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반영하는 원형(原型)이 되고 있다.

영문 초록

‘Troytsa(Troiţa)’ as the tradition of folk belief which reflects the Shamanism accepted in the Korean culture and related to the totem pole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is based on the Menhir and the Pillar showing its figure as the Sky Column and the Tree of World. The almost ‘Troytsa(Troiţa)s’ which we can see today, are the types after the acceptance of Christianity and decorated by the pattern of the Cross, icons or various sacred images. This is widely known as ‘a big Cross’ or 'a Christian wooden or stone monument stood at crossroad' among the people. ‘Troytsa(Troiţa)s’ is considered as a comprehensive name originated from the ‘Trinity’. If the ‘Sky Columns’ is a representative monument of pre-Christian structure, the sacred monuments of Christian structure being classified generally into three ‘Troytsa(Troiţa)s’: the ‘Cruciform Troytsa(Troiţa)’, the ‘Icon-form Troytsa(Troiţa)’ and the ‘Shelter(Church Porch, Pergola, Fountain, Gate, Catacomb etc.) Troytsa(Troiţa)’. Among them, ‘Cruciform Troytsa(Troiţa)’ which is made by wood and stone, is easy to be found, being a widely distributed type of ‘Troytsa(Troiţa)’ in Romania. The ‘Troytsa(Troiţa)’ is well preserved generally in the mountainous and hill areas. The highland where meet the two areas, has the role to reconcile the various and different features of life, to unite into one and it is also a symbolic place which prevents the inherent traditional conventions from the aggressive and industrial civilizations. The essential national structures of ‘Troytsa(Troiţa)’ are the ‘solar sign’, the ‘tree’ as the axis mundi and the ‘anthropomorphic pattern’as the instances of ‘humanoid pattern’ or ‘torso’. It is clear that the ancient sacred monuments which have the role of medium between the human and the divinity of Sky are the symbols of ‘Tree of Cosmos’ or ‘Tree of World’. Being as the axis mundi, these become the unique place which realizes the communication with God. As the every holy place will be a Cosmos by oneself, ‘Tree of Cosmos’ and its descendant figure ‘Troytsa(Troiţa)’ also will be a divine substance by oneself. In the myth-religious viewpoints, ‘Troytsa(Troiţa)’ was deduced from ‘the Sky Columns’ and was originated at the beginning including the divine sense of ‘the Tree of World’ or ‘the Tree of Cosmos’. The Sky Column and ‘Troytsa(Troiţa)’ combined by the three essential substances, the human, the tree and the sun(divinity), represent the humans’interests for the continuing to exist, but on the other side, show to humans the aspiration of deity and sacredness. The Romanians’ relief, mentality and life are matured since long before by the Sky Column and its simulacrum, ‘Troytsa(Troiţa)’, which preserved the esthetic structure of myth, religion and magic. It is very difficult to find a cultural heritage as ‘Troytsas (Troiţa)’ inherent in the sacred and the profane in Romania. ‘Troytsa(Troiţa)’ united in the Totem of Tree and Christianity, has influences on the other cultural spheres each other as a tide and becomes the prototype which reflects and forms the cultural mentality of a n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트로이차 유형의 원시 민족학적 근원
Ⅲ. 트로이차의 공간적 확대
Ⅳ. 트로이차의 건립지와 신성 보존에 있어 교회의 역할
Ⅴ. 트로이차의 양식과 예술적 가치
Ⅵ.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정환(Kim, Jeong Hwan). (2010).루마니아의 유형 자산 ‘트로이차(Troiţa)’에 나타난 종교·문화적 기호와 상징. 동유럽발칸연구, 25 , 249-270

MLA

김정환(Kim, Jeong Hwan). "루마니아의 유형 자산 ‘트로이차(Troiţa)’에 나타난 종교·문화적 기호와 상징." 동유럽발칸연구, 25.(2010): 249-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