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走馬樓 吳簡을 통해 본 六朝時代 ‘村’의 기원에 대한 연구

이용수 167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신성곤(辛圣 坤)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34집, 265~29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10.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六朝시대에 등장한 자연촌락으로서의 村의 기원을 기존 문헌자료만이 아니라 최근 長沙 走馬樓에서 출토된 吳簡에 대한 연구 분야 중 ‘丘’의 성격을 둘러싼 논쟁을 통해 그 성격을 분명히 하고, 村과의 유사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그 결과 丘는 규모가 里와 비슷하거나 약간 컸을 가능성이 있지만 鄕보다는 작은 자연취락이었고, 도시에서 떨어진 田野 특히 丘陵지대에 두어진 농경지를 포함한 民戶의 거주지이기도 하였다. 丘는 村은 이처럼 규모, 田地와 거주지가 포함된 기능, 자연촌락적 성격에서 매우 유사하다. 다만 村의 분포는 거의 전국적이지만 丘는 현재까지는 孫吳 통치시기 長沙郡 臨湘縣 부근에서만 발견된다. 丘는 방어설비를 갖추지 않은 듯이 보이지만 村은 자위적인 방어기능이 포함되기도 한다는 점에서 차이는 있었던 것 같다. 丘는 또한 聚 또는 塢壁과 비슷하지만 군사적인 방어적 성격의 강약이나 규모면에서는 현저한 차이를 보인다. 또한 塢壁도 분포가 지역적 한계가 있었던 반해 村은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西晉 이후 군사적인 수요가 강했던 華北지역에서는 豪强이나 兵士가 주력을 이루는 塢壁이 활발하게 세워졌고, 그렇지 않은 지역에서는 家族이나 鄕里의 인사들이 중심이 된 塢壁이 주로 성립되었다. 이 두 유형의 塢壁은 규모면에서나 군사적 기능의 수요에서 차이가 있었고, 후자 유형의 塢壁은 방어시설이 빈약한 丘나 聚의 형태와 많이 닮았다.결국 後漢 이래 鄕里共同體의 약화와 전란의 피해에 따라 농민들은 都市를 벗어나 田野로 나아가 집단적으로 거주하면서 集落을 형성하였는데, 지역적인 차이 와 군사적 수요에 따라 그 규모나 성격에 차이가 있었지만 다양한 자연 집락이 형태와 지역적 성격에 따라 聚, 邨, 村塢, 村堡, 廬舍 등으로 불렸다. 이들 자연촌락이 국가의 말단 행정조직에 편입되면서 통일적인 용어를 필요로 하게 될 때 대표 호칭으로 사용된 것이 “村”이었다. 丘는 이런 다양한 자연촌락 중의 하나였다.

영문 초록

最近在长沙走马楼出土三国吴简以来, 一些学者对其中关於‘里’与‘丘’的资料进行了多角的探索,取得一定进展, 而且深入了对于‘里’与‘丘’的职能争论. 本文从走马楼吴简概略地检讨了围绕‘里’与‘丘’的争论的关键所在, 继而仔细分析了‘里’与‘丘’、‘乡里’与‘乡丘’之類似点和差别点. 然後进行了比较丘与六朝时期村的形态和职能, 发现了几个值得思考的一些问题.首先需要指出的是丘与里的规模竝无太大区别, 互不统属, 竝从属於乡. 然丘为各种赋税徵收的单位, 里为登录户口(傅籍)的单位, 所以兩者是不同系统的职能单位.竝且里为人为行政区划, 丘为离都市自然聚落, 包括耕作地丘陵上造成的居住聚落.因此丘似乎六朝时期的自然村落-村. 但是村分布了华北和江南, 丘至今只发现了孙吴统治下的长沙郡臨湘县一带. 还有村大体保有了各种自卫的防御设备, 丘不能證明有没有防御设备, 所以丘与村可能一些有差.其次丘似乎聚和坞壁以自然的农民聚落, 可是聚和坞壁的规模和分布范围不一定,竝不具备行政职能. 但为家族、乡里中心的坞壁是比较的小规模, 而且不太建设了防御设备, 由此可见, 这样的坞壁与丘职能、规模上没有什么差别.总之, 从东汉中叶以後因不断的战乱乡里共同体遭受严重破坏, 农民离开都市在田野形成聚落, 集团的居住. 六朝时期的自然村落比如丘、聚、村、村坞、村堡、庐舍出现了, 但自然村落编成最下层行政单位时, 以‘村’为代表称号. 所以丘也可能包括六朝时期村的职能和范围.

목차

Ⅰ. 問題의 所在 - 村.丘.塢壁
Ⅱ. 丘의 성격과 鄕.里와의 관계
Ⅲ. 塢.堡.壁의 기능과 村의 형성
Ⅳ.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성곤(辛圣,坤). (2009).走馬樓 吳簡을 통해 본 六朝時代 ‘村’의 기원에 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 34 , 265-295

MLA

신성곤(辛圣,坤). "走馬樓 吳簡을 통해 본 六朝時代 ‘村’의 기원에 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 34.(2009): 265-2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