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에도시대 두창의 예방과 치료: 인두법의 수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41

영문명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mallpox in the Edo Period: Focusing on the Adoption of Variolation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김영수(Kim, Youngsoo)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제13집, 83~10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4.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에서는 일본에서 두창 유행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식으로 인두법이 도입된 과정과 그 전개를 확 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인두법의 도입과 실천이 당대 사회에 끼친 영향에 대하여도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일본에서 두창이 유행한 역사를 정리하 고, 두창에 대한 예방책이라고 할 수 있는 인두법이 도입 되고 전개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인두법이 도입된 시 기는 18세기 중반이나, 약 반 세기에 걸쳐 인두법을 실천 하는 과정이 진행되었다. 여러 의가들이 인두법에 도전 했지만 일회성에 그치면서 오가타 슌사쿠(緖方春朔)가 인두법을 본격적으로 시행한 것으로 본다. 그는 인두법 에 관한 경험과 지식을 종두필순변(種痘必順辨) 등의 의서에 담았다. 그는 일본에 들어온 중국식 인두법을 그 대로 실시하기보다 일본의 기후환경을 고려하고, 종두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독자적인 인두법을 전개했다. 다만 당시 두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방식은 인두법이 라는 예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진단과 약으로 두 창을 치료하는 것이었다. 오가타 슌사쿠가 인두법을 활 발히 실시하던 시기에 막부는 의학관에 두과를 설치하여 이케다류(池田流)라는 두창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식 을 확산시켰다. 방법은 달랐지만, 이와 같은 두창 예방과 치료를 둘러싼 경합은 19세기 초 일본에서 두창에 관한 의학지식과 경험이 축적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리고 인 두법은 처음에는 중국에서 들어왔으나, 점차 난학과 우 두법에 관한 지식과 결합하며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되었 다. 학문적, 기술적인 변화 속에서 난방의를 중심으로 하 는 다양한 형태의 인두법의 시도는 이후 우두법의 도입 을 촉진하는 요인으로 작동했다고 하겠다. 인두법을 도입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학문의 경계를 넘어선 19세기 초의 일본 의학의 특징을 엿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introduction of smallpox variolation (人痘法) as a means of addressing the smallpox epidemic during the Edo period in Japan. It also investigates the impact of smallpox variolation on Japanese society during the late Edo period. I begin by outlining the history of smallpox epidemics in Japan. Subsequently, I document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developing smallpox variolation, which was considered a valuable preventive measure against smallpox during that period. While smallpox variolation was introduced in the mid-18th century, it took about half a century for the practice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Several physicians attempted variolation during this period, but Ogata Shunsaku (緖方春朔) was renowned as the first to succeed on a large scale, particularly with children. He authored works such as “Shutohissunben (種痘必順辨)” to advocate for the effectiveness of variolation. Additionally, rather than simply adopting the Chinese method of variolation, he developed his own method that took into consideration Japan's unique climate and environment, hoping to enhance the efficacy of variolation. During that time, the prevailing response to the smallpox epidemic focused on diagnosis and treatment using medicine rather than variolation. While Ogata Shunsaku actively practiced variolation, the shogunate established an institution within the medical department tasked with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mallpox. This institution propagated the Ikeda-ryu (池田流) method, which specialized in diagnosing and treating smallpox. Despite disparities in approaches, competition between smallpox prevention and treatment catalyzed the accumulation of relevant medical knowledge and experience in Japan during the early 19th century. Initially, variolation was introduced from China; however, over time, researchers experimented with it in various ways, integrating knowledge from Rangaku (蘭學) and cowpox inoculation (牛痘法). Responding to academ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Ranpoi (蘭方醫) made diverse attempts at variolation that served as precursors to the eventual adoption of cowpox inoculation. Examining the process of variolation’s introduction and implementation elucidat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19th-century Japanese medicine that transcended disciplinary boundarie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영수(Kim, Youngsoo). (2024).에도시대 두창의 예방과 치료: 인두법의 수용을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 83-109

MLA

김영수(Kim, Youngsoo). "에도시대 두창의 예방과 치료: 인두법의 수용을 중심으로."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2024): 83-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