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 시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에 관한 질적연구
이용수 1461
- 영문명
- A Qualitative Study of the Evaluation of Communication Abilities in the Diagnosis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윤미선(Mi Sun Yoo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3호, 447~46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청각장애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능력의 제한에 의해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을 평가하는 것은 청각장애 아동이 겪는 어려움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육과 재활의 방향과 목표 설정에도 중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 시 이러한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청각장애 진단, 치료, 교육에 관여하는 의학, 특수교육학, 언어병리학, 청각학의 관련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면담 내용을 질적연구의 방법론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청각장애 아동의 의사소통능력 평가가 아동을 진단하고 평가하는 데에 있어 중요하다는 점에 일치된 견해를 보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통해 첫째, 청력손실 위주로 되어있는 현 청각장애의 진단과 정도 분류 기준은 의사소통능력을 나타내는 데에 한계가 있으며, 둘째, 인공와우이식과 같은 기술의 발달 및 조기진단과 조기중재의 확산과 같은 내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고, 셋째, 청각장애의 진단과정에 관련 분야 전문가의 팀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를 위하여 음성언어능력에 대한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새로운 기준과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communication abilities in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and to analyze the current evaluation criteria for hearing impairment. Method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nine professionals from four different clinical setting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a qualitative constant-comparative design. Results: Professional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agreed that the evaluation of the communicat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a hearing impairment should be performed during diagnosis and assessment procedures. Three main themes emerg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1) The limitation of current evaluation criteria, (2) A change of environment is needed such as increased technical development of hearing devices and the expansion of early diagnosis and early intervention, and (3) The requirement for a team-based approach.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ew protocol and criteria including verbal communication abilities would be needed for diagnosis and evaluation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공와우이식 후 전극 상태 평가
- 정상인에서 연령과 성별에 따른 삼킴 시 후두닫힘 지속시간 비교
- 성별 및 지역 간 정상 성인의 비성도 연구
- 국외 언어치료사 및 국내 유관 분야의 자격제도에 대한 고찰
- 일측성 성대마비와 성대구증의 성문면적파형과 발성 특성 비교
- 학령기 아동의 읽기이해력 발달
- 주관적 말더듬 선별검사의 국내적용 타당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
- 청각장애 아동의 진단과 평가 시 의사소통능력 평가의 중요성에 관한 질적연구
- 스토리맵 중심 언어중재가 정신지체아동의 이야기 이해와 산출에 미치는 효과
- 한국 언어치료사 국가자격증제도 마련을 위한 제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