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주관적 말더듬 선별검사의 국내적용 타당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

이용수 814

영문명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Korean-Subjective Screening of Stuttering-Revised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김재옥(Jaeock Kim) 신문자(Moon-ja Shin)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3호, 465~48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유창성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주관적 말더듬 평가를 위해 개발된 주관적 말더듬 선별검사(Subjective screening of stuttering severity, locus of control and avoidance: SSS-R)를 국내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지를 살펴보았다. 방법: 유창성장애 치료 경험이 최소 1년 이상인 10명의 언어치료사가 SSS-R 영어 원문을 한국어로 번안한 후 번안의 적절성을 검토하고 수정하였다. 말더듬 성인 24명과 일반 성인 18명이 번안된 SSS-R로 자가평가하게 한 후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객관적 말더듬 중증도에 따라 분류된 그룹 간 SSS-R의 중증도 점수 및 총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SSS-R을 구성하고 있는 문항들의 내적일관성이 높았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도 높았다. SSS-R의 각 세부영역별 점수와 총점수 간의 상관관계 및 SSS-R의 각 문항과 이와 관련된 세부영역(중증도, 자기통제, 회피)별 점수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 SSS-R은 비교적 신뢰할 만한 도구로 나타났다. 문항분석 결과, 모든 문항의 변별력이 높았으며, 말더듬 성인의 SSS-R 총점수가 일반 성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말더듬을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다른 유사한 평가도구들과도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SSS-R의 타당도 역시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말더듬 중증도 점수 및 SSS-R 총점수는 객관적 말더듬 중증도 분류에 따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논의 및 결론: SSS-R은 국내 유창성장애 대상자들의 말더듬에 대한 중증도 및 태도를 주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아 국내사용에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Backgrounds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the recently developed ‘Subjective Screening of Stuttering-Revised (SSS-R)’ and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Methods: The English version of the SSS-R was translated into a Korean-version by 10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ho have experience with stuttering therapy. Twenty-four adults with stuttering and 18 normal adults were self-rated using the Korean-version of SSS-R. The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SS-R was analyzed. Additionally, the subjective stuttering severity score and total score of SSS-R were compared to the objective stuttering severity score determined by a clinician. Results: Those with significantly high indices were as follows: 1)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2) Correlations between each score of 3 subscales and total score of the SSS-R; 3)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objective items and total objective score; 4) Item discrimination coefficients; and 5) Correlation between SSS-R and other subjective rating scales for stutter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stuttering severity or total scores determined by objective stuttering severity analysis. Discussion & Conclus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SS-R is a suitable tool to be used in clinics and research areas in Korea, and can subjectiv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and attitudes for stuttering with a high correlation toward objective severity analysis. Particularly, SSS-R may be able to evaluate not only the severity of feelings and behaviors of stuttering but also the avoidance and locus of control, and thus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stuttering treatment.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옥(Jaeock Kim),신문자(Moon-ja Shin). (2007).주관적 말더듬 선별검사의 국내적용 타당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 (3), 465-486

MLA

김재옥(Jaeock Kim),신문자(Moon-ja Shin). "주관적 말더듬 선별검사의 국내적용 타당성 확보를 위한 기초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3(2007): 465-4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