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성별 및 지역 간 정상 성인의 비성도 연구

이용수 290

영문명
Normative Nasalance Scores and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Gender and Residential Area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황영진(Young Jin Hwang)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언어청각장애연구 제12권 제3호, 508~52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9.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비성도 측정은 공명평가에 유용한 요소로서 잘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성별 및 지역 간 정상 성인의 비성도 차이를 연구하고, 그에 대한 정상 규준치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에 참여한 피검자는 총 482명(남자 237명, 여자 245명)이었다. 사용된 검사어는 ‘엄마 문장’, ‘동물원 문장’, ‘아저씨 문장’, ‘바닷가 문장’이었다. 실험 전, 연구자는 대상자에게 실험 조건과 실험 방법을 설명하였고, 이해를 돕기 위해 모음 /아/를 이용하여 선행 연습을 실시하였다. 검사어는 무작위 순서로 제시하였다. NasalView를 이용하여 평균 비성도(%)를 구하였고 모든 데이터는 녹음하였다. 결과: 성별 및 지역에 따른 평균 비성도는 ‘엄마 문장’, ‘동물원 문장’, ‘아저씨 문장’, ‘바닷가 문장’ 순으로 높았다. 성별에 따른 문장의 평균 비성도는 ‘동물원 문장’, ‘아저씨 문장’, ‘바닷가 문장’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았다. 지역에 따른 문장의 평균 비성도 차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성별에 따른 문장의 평균 비성도는 ‘동물원 문장’, ‘아저씨 문장’, ‘바닷가 문장’에서 여성이 남성에 비해 높았다. 지역에 따른 비성도 차이는 모든 문장에서 유의하였다.

영문 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The measurement of nasalance has often been described as a useful component in resonance evaluation. This study aimed to obtain normative nasalance scores and determine differences as a function of gender and residential area. Methods: Four hundred eighty-two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237 males and 245 females from five different residential areas in Korea. The stimuli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four sentences: ‘Mother passage (nasal consonants ratio[ncr]: 100%),’ ‘Zoo sentence(ncr: 50%),’ ‘Uncle sentence(ncr: 0%),’ and ‘Sea sentence(ncr: 0%)’. The test sentences were presented in a random order. The NasalView was used to measure the recorded signals and to obtain mean nasalance values. Results: In the analysis of normative nasalance data as a function of gender and residential area, the order of the average nasalance scores from lowest to highest was ‘Sea sentence,’ ‘Uncle sentence,’ ‘Zoo sentence,’ and ‘Mother sentence’. The average nasalance score was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in ‘Sea sentence,’ ‘Uncle sentence,’ and ‘Zoo sentence.’ In the analysis of normative nasalance data as a function of residential area, the order of the average nasalance scores from highest to lowest was Chungcheong-do, Jeolla-do, Gyeonggi-do, Gangwon-do, and Gyeongsang-do in all sentences except for ‘Mother sentence.’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provide regional criteria to help evaluate hypernasal and hyponasal speech due to a velopharyngeal inadequacy in a Korean speaker using NasalView. Also, the four reading sentences, which are relatively short in length, could be used effectively for children as well as adults.

목차

I. 서론
II. 연구 방법
III. 연구 결과
I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영진(Young Jin Hwang). (2007).성별 및 지역 간 정상 성인의 비성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 (3), 508-520

MLA

황영진(Young Jin Hwang). "성별 및 지역 간 정상 성인의 비성도 연구."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2.3(2007): 508-5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