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이용수 811

영문명
The Ministry of Education’s New Reading Education Policy : Analysis and Proposal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송승훈(Song, Seung-hun)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4권 제1호, 7~3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육과학기술부는 2009년에 독서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앞으로 정부의독서교육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에 대한 내용은 네 가지다. 초등학교에서는 첫째, 독서에 흥미 붙이기를 목표로 삼고 중등학교는 교과시간에 독서를 하는 일을 목표로 잡았다. 둘째, 교사의 독서교육 역량을 높이려고 연수를 개선하겠다고 한다. 셋째, 교사와 학생과 학부모의 독서동아리를 지원해서 독서교육 주체를 양성하겠다고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을 지역에 개방하겠다고 한다.글쓴이는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독서교육 목표가 적절하다고 본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수업에서 책읽기가 이루어지려면 교사별 평가권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연수체제를 개선하는 안은 그 방향이 옳지만 선언에 그치지 않기 위해 예산이 마련되고 추진 일정이 구체적으로 나와야 한다고지적한다. 독서교육 주체를 만들기 위한 독서동아리 지원에 대해서는 이견이 없이 좋다고 평가한다. 학교도서관을 지역에 개방하는 문제는 운영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리라고 본다.글쓴이는 정부 정책의 네 가지 방향에 대해 전반적으로 동의한다. 그러나 정책이 선언에 그치지 않고 현실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세 가지 제언 을 한다. 첫째. 교사 개인별 평가권의 보장으로 의욕 있는 교사가 마음껏가르칠 수 있게 해서 교단에 활력을 불어넣어야 한다. 둘째. 독서교육 전담 장학사 제도를 마련해서 교육청의 전문성을 높이고, 교사자문단 구성해서 현장지원을 받는 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독서에 대해 전문성이 있는 시민단체가 공동으로 정책을 마련해서 사회적 여론을 만들어가며 정부에 정책을 제안하는 일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2009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nounced plan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and school libraries. The government's reading education plans consisted of the following 4 issues. First, to make elementary students more attracted to reading and to incorporate reading class into the middle / high school timetable. Second, it addressed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to improve teachers' reading education performance. Third, it addressed the need to support book clubs amongst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in order to nurture reading education. Forth, it planned to open school libraries to the public. I think the plans for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re reasonable. However, I think that full authority should be given to each teacher so that the can evaluate all the students whom they teach according to their own principals. The government's plan to offer various in-service programs for teachers is reasonable but concrete schedules should be made first to fulfil these proposals. I positively agree with support for the book clubs without any objection. I see the result of opening the school libraries to the public would differ from school to school according to how it operates. I generally agree with the 4 dimensions of the government's plans. What is more, I would like to give the following three suggestions for better achievements. Firstly, teachers have to be given the right to assess his/her students based on his/her own criteria. This would allow avid reading teachers devoted to his/her own plans of reading class without being confined by other teachers and school regulations. Secondly, we need to train school vice-commissioners to oversee the implementation of reading education and to widen the educational office's expertise in this area. It is also paramount that teachers have access to practical help from an advisory body. Thirdly, civil organizations should collaborate on sharing their ideas on reading education policy, making policy and contributing suggestions to the education ministry.

목차

1. 독서교육 정책 개관
2. 정부 정책에 담긴 내용과 검토
3. 교육 현장의 반응
4. 진단과 평가
5. 성공을 위한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승훈(Song, Seung-hun). (2010).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 (1), 7-37

MLA

송승훈(Song, Seung-hun). "정부 정책을 통해 본 독서 교육의 진단과 방향."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1(2010): 7-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