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가치

이용수 640

영문명
Value of Telling Folktales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엄은진(Um, Eun-jin)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4권 제1호, 65~8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필요성과 가치를 알리고 옛이야기가 유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문학은 ‘아는 것’이 아니라 ‘체험 하는 것’이다. 문학은 내재적 가치를 위하여 심미적 경험을 하는 것이다. 옛이야기를 향유하는 연령을 4세에서 8세로 보는데, 옛이야기를 듣는다면 유아들은 자라나서 건강한 내재적 가치와 삶을 아름답게 바라보는 심미안을 가지게 된다.3세에서 6세까지의 기간이 언어 발달의 결정적 시기이며, 이 시기의정확한 언어 습득은 일생의 모든 언어 능력의 바탕이 된다고 한다. 어린이가 이야기를 들으면서부터 교육은 시작된다. 독서 준비 과정은 이야기들려주기를 통한 인간 형성이라고 할 수 있다. 감정의 희로애락을 직접적으로 전하는 이야기 들려주기는 그 어떤 과학의 발전으로도 대체할 수없는 교육적 방법이다.옛이야기는 오랫동안 입으로 말하고 귀로 듣는 방법으로 전승되어온 구비문학이다. 옛이야기 사건들이 말하고 싶은 것은 현실에서는 힘들지만그랬으면 하고 바라는 것, 그래서 바람의 문학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더큰 의미가 있다. 인생이라는 하나의 이야기를 줄거리로 삼아 이야기하고있다. 집을 떠나 홀로 세상을 떠다니며 세상의 온갖 것과 관계를 맺고 우주 전체와 관련 맺고 본질적인 것과 만나다. 고난과 두려움이 전제되어있지만 이것은 발전의 단계이고 이것을 거치고 나면 인간이 도달할 수있는 최고 영역까지 성장한다고 한다. 옛이야기는 주인공 중심의 이야기이다. 맹인, 의절당한 자, 막내동생, 고아, 길 잃은 자, 외톨이, 가난한 자,그들이 참 주인공이다. 공주나 왕자도 전락을 하고 고립된다. 왜냐하면그들은 고립적인 존재이며, 그렇게 때문에 누구보다도 진정으로 본질적인것과 만날 수 있다. 주인공들은 밖으로 나가서 죽을 고비를 넘기기도 한다. 요즘 아이들은 일상에 갇혀 밖으로 여정을 떠나는 일이 없기 때문에,주인공과 함께 모험을 떠나 간접 체험을 하며 내면의 성장을 할 수 있다.주인공은 왕자나 공주 혹은 그 배우자가 된다. 왕자나 공주는 사회적 지위가 아닌 정신적 상태를 의미한다. 개인이 아닌 상징적 존재이다. 옛이야기에서 그리는 인간상은 자신의 능력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존재, 지고한 것을 내면에 지니는 존재, 지고한 것에 다다르는 존재이다. 이들이 출중하거나 똑똑해서, 착해서가 아니라 올바른 선택을 해서이다. 세상에서가장 바른 것은 ‘생각’이다.아이들은 삶의 고난과 역경, 부당한 어려움으로부터 결코 안전하거나자유롭지 못하다. 부모의 경제적 어려움, 싸움, 이혼, 죽음 그리고 교실에서의 폭력, 친구와 관계, 사회적 억압 등으로부터 벗어나기 힘들다. 삶의가혹한 어려움에 대처해야 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인간 존재의 본질적측면이다. 아이들은 옛이야기를 들으며 주인공과 함께 괴물이나 시련과대항해 싸우다 현실로 돌아와, 자신에게 닥친 현실의 문제를 새롭게 받아들이게 되고, 주인공과 동일시되어 승리하는 밝은 인생의 메시지를 마음에 새기게 된다. 현재의 고통이 미래에 보상된다는 아직은 불확실한 믿음 에 대한 격려이다. 옛이야기는 어린이가 생각하고 경험하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펼쳐간다.이야기 속에서 위로를 받고 자신들의 세계관과 일치하기 때문에 옛이야기를 신뢰한다 어린이에게는 . 자기가 바라는 것보다 더 “진실”한 것은 없 기 때문이다. 사람이 나고 자란 유년 시절의 자연 산천은 그 사람의 무의식을 형성하는 것처럼, 유년 시절 어머니나 교사가 들려주는 이야기를 들은 어린이는 감수성, 상상력을 포함한 감성 체계와 지성 능력이 같이 상승작용을 하는 내재적 자질을 형성할 것이다.

영문 초록

Literature is not ‘knowledge’ but ‘experience’, which makes it possible to have aesthetic experience for internal worthy as well. From the age of four to eight children are able to enjoy folktales and people who heard folktales in their childhood can have healthy immanent value and will be able to see the life more beautifully. Accurate language learning during childhood period is crucial since it becomes a concrete base for one’s linguistic ability. Education starts when children begin to hear stories. Reading preparation process is to make a form of being human through telling stories. Telling a story which directly conveys human emotions such as joy, anger, sorrow and happiness, is critical as in educational way and it can not be substituted with any scientific development. Folktale is a traditional literature that is passed down by telling and hearing. Folktale’s main plot is about the life; to leave home alone and wonder around the world also to be related with everything in the universe, meet the essence, as well. Even though difficulties and fears are premised, it is just one of processes for development. After passing through this harsh period, it can be reached to the top that a human being can climb. Folktale is mostly about main characters. The blind, a betrayed friend, the youngest of the family, an orphan, a lost soul, the poor - they are the real central characters. Even prince and princess could degenerate and be isolated, because they are also being helpless and lonely, therefore, they have much more possibility to meet the true essence than anyone else. The leading characters overcome the crisis, and they become prince and princess, or their spouses. Prince and princess are not their social positions but states of mind and they are considered not as individuals but as symbols. In folktale, human characters are someone who overcome their ability and develop into mature and they have something valuable in their mind and stretch to the highest point in life. It is possible to reach to the top because of right choices, not because they are superior, smart or kind. “Thought” is the most honest thing in the world. Children cannot be free or safe from complications or troubles in life. It has been the fate to deal with the crisis in life for human beings. As children engage in stories, they fight against monsters with heroes. Then after the story, they face life’s hardship and reinterpret the problems, eventually, picture themselves victorious against those problems as heroes did in stories. Through this process, they can see the positive and bright side of life and take it to heart. It is encouragement for uncertain belief that present pain will be compensated in the future. Folktales develop stories as the way that children think and experience. They are consoled in the story and have confident in folktales since they have quite similar philosophy. For children nothing is more ‘truthful’ than their own view on subjects. Children, whose mother or teachers read the story when they are little, can form internal talent such as sensibility system including sensitivity and imagination, and have synergy effects, like the nature makes that subconscious people spent their youth.

목차

1. 이야기 들려주기
2. 옛이야기의 가치
3.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방법과 유의점
4. 옛이야기와 어린이의 삶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엄은진(Um, Eun-jin). (2010).옛이야기 들려주기의 가치.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 (1), 65-89

MLA

엄은진(Um, Eun-jin). "옛이야기 들려주기의 가치."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1(2010): 65-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