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이용수 1490

영문명
Analysis on Content validity of Reading Assessment : focused on Highschool Reading performance Assessment
발행기관
우리말교육현장학회
저자명
김은애(Kim, Eun-ae) 주세형(Ju, Se-hyeong)
간행물 정보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4권 제1호, 177~249쪽, 전체 7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0
11,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독서 평가에 있어 내용 타당도가 매우 중요하며 내용 타당도높은 국어과의 독서평가가 다른 내용교과의 문식력(Literacy)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전제하였다. 이 전제 아래 현행 독서 평가문항의 내용타당도가 매우 낮다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 문제점을 성취기준, 평가기준(루브릭)측면에서 비판한 뒤 제시된 성취기준, 평가기준을 바탕으 로 문항을 분석하였다.분석 결과, 평가 대상으로 삼은 「국어」, 「도덕」, 「법과 사회」 세 과목모두 ‘성취기준’이 제시되지 않았다. 또한 명확한 ‘평가기준’ 또한 제시되지 않았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국어」과의 평가기준은 성취기준에가까웠으며 「도덕」과의 경우 평가기준이 아닌 평가주제와 배점만을 제시했다. 「법과 사회」과의 경우도 배점만을 제시하였다. 문항의 경우 세부지식의 이해 및 추론에 치우친 문제가 주류를 이루었다.그러므로 세 과목의 독서 평가는 과목과 교과 지식이 다를 뿐 독서 평가의 유형은 크게 다른 점이 없다고 볼 수 있다. 또한 3과목의 독서 평가모두 ‘독서 평가 본질’을 구현했다고 보기 어렵다.이러한 문제는 근본 원인은 교사들 스스로 독서 평가에 대한 치밀한계획과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설정하지 못한 데에서 연유한다. 또한 내용타당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적절한 도구를 심도 있게 연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독서평가와 내용 문식성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인식하지 못했기 때문이다.그러므로 타당성 있는 독서평가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문식성의 근간이되는 ‘언어’의 기능을 다루는 국어과에서 먼저 ‘독서 평가의 기준’을 명확하게 세워야 할 것을 주장한다. 기존의 체계 없는 평가 과정을 과감하게반성하고 우선, 독서평가의 성취기준을 기능과 전략 중심으로 명확하게세워야 한다. 지식과 태도도 중요하지만 기능과 전략 중심의 체계적 성취기준은 문식력 향상에 필수요소이며 교과독서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기때문이다.둘째, 평가도구(루브릭)을 정교하게 세워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질 수있도록 해야 한다. 평가도구의 정교화는 평가의 내용타당도 신장과 더불 어 교육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셋째, 선다형에 머물고 있는 독서 평가 도구가 내용타당도를 드러내기 에 적절할 수 있는 도구로 대치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결과적으로 이러한 절차를 거쳐 교사가 내용 타당도 높은 국어과 독서평가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면 다른 내용교과의 독서 평가에도 모범적기준이 될 수 있을 것이며 학습자의 탁월한 내용 문식력 향상을 기대할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ssumes that content validity matters much in reading assessment and, therefor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has high content valid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iteracy in the curricula of other content subjects. With the assumption, the paper raises an issue that the content validity in the current reading assessment items is low, and criticizes the problem from two aspects: achievement standard and assessment standard(rubric). Lastly, the assessment items are deeply analyzed based on those standards. In consequence, the curricula of these three evaluated subjects, 'Korean language,' 'Ethics,' 'Law and Society' all lack the clear statements of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curricula. In addition,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not properly included, either.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specifically, the assessment standards are quite close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there is no assessment standard found in 'Ethics' curriculum; it only gives assessment topics and the related scores. 'Law and Society' curriculum also has the same problem. Moreover, the assessment items are biased to the questions regarding detailed knowledges and inference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say that the reading assessments of the curricula evaluated are not much different from one another, except for knowledge content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the reading assessments of the three have not achieved 'the essential of the reading assessment.' The basic cause of this problem comes from lack of careful plans and detailed setups of the achievement/assessment standards by teachers themselves. Secondly, the teachers are reluctant to search for the proper tools to accomplish the content validity. Lastly, they are not awar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assessment and literacy. With the findings, I insist that a firm 'reading assessment standard' be set up, primarily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 which literacy is rooted in and manages the functions of language. It is necessary that the current unstructured assessment system be re-examin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in reading assessment, focused on functions and strategies, be set up first. The structured standard is essential to improving literacy and affects reading skills in all of the curricula; although knowledge and attitude are also important elements. Secondly, the assessment tool(rubric) must be designed carefully, so that assessment can be performed well. The elaboration of the tool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content validity in the assessment process and the overall education as well. Thirdly, the assessment tool, which persists with multiple-choice tests must be gradually replaced with to another appropriate form of assessment tool that can clearly reveal the content validity. Provided that teachers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can give a valid reading assessment with higher content validity through accomplishing the suggested steps, it would be a fine example for the curricula of other subjects and, in turn, we can expect the improvement in literacy of the learners as well.

목차

1. 문제제기
2. 현행 독서평가의 내용 타당도 분석
3. 독서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의 실제
4.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애(Kim, Eun-ae),주세형(Ju, Se-hyeong). (2010).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 (1), 177-249

MLA

김은애(Kim, Eun-ae),주세형(Ju, Se-hyeong). "독서 평가 문항의 내용 타당도 분석." 우리말교육현장연구, 4.1(2010): 177-2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