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루마니아 기록문학 형성에 미친 구비문학의 교섭양상

이용수 99

영문명
The Inter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Romanian Written Literature and the Oral Literature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김 정 환(Kim, Jeong Hwa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9권 제1호, 87~11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비문학의 가치에 대해 가장 큰 관심을 보인 이들은 1848년 혁명세대로서 구비문학과 기록문학 사이의 표면적 관계와 내면적 관계의 본격화가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1848년을 전후한 시대는 구비문학의 수집과 발간으로, 다른 한편으론 구비문학에 대한 민속학적 연구와 해석으로 그 관심이 고조되었던 시기이다. 루마니아 작가들은 민중의 정신과 사상에 대한 동질성회복을 위한 노력을 단 한번도 멈춘 적이 없다. 1848년 세대에서는 알렉산드리(V.Alecsandri)가, 19세기 후반에는 에미네스쿠(M. Eminescu)와 크레안거(Ion Creangă)가, 양차대전의 기간 동안에는 사도베아누(M.Sadoveanu), 아르게지(T. Arghezi), 블라가(L. Blaga), 바르부(Ion Barbu)가 그리고 로비네스쿠(Horia Lovinescu), 엘리아데(M. Eliade) 등과 같은 오늘날 동시대의 많은 작가들이 구비문학에 내재된 사상과 영혼으로부터 루마니아 기록문학의 전개 발전을 위한 중요한 기여와 역할을 하였다. 대중과 공동체의 세속적 경험에 대한 표현뿐만 아니라 새로운 역사적 사건들의 보존방식이 되기도 했던 구비문학과 그 토속적 언어는 민요, 발라드, 콜린더, 전설, 동화, 민담 등과 같은 예술문학의 장르를 창조하고 변화시켰으며, 후세대로 이를 전승시켜 보다 다양하고 가치 있는 기록문학으로 발전시키는 기능을 하였다. 민속학적 소재들이 구비문학의 주제와 테마로 승화되었고, 이는 다시 기록문학의 내재적 심화와 풍부한 질적 상승을 이루게 하는 모태가 되었다. 성애의 신화적 동기가 <즈부러토룰>로, <늙음 없는 젊음, 죽음 없는 삶>에 나타난 시간과 공간의 초월이 엘리아데의 <집시촌>에서 ‘영원의 회귀’로, 발라드 <어린 양>에 나타난 목가적 요소들과 죽음의 내세관이 근·현대 시인들의 운문작품뿐만 아니라 사도베아누의 <도끼>를 비롯한 산문에도, 그리고 발라드 <명인 마놀레>에 나타난 예술 창조와 희생의 문제가 블라가의 희곡 작품에 전이된 것은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의 교섭에 대한 진면목을 보여주는데 있어 매우 한정된 사례에 불과하다. 구비문학이 보여준 신화와 민속학의 문학화와 내면화, 숙명론적 희생에 대한 암시 그리고 자연의 목가적 구성요소들은 기록문학으로 하여금 ‘반복과 영원한 회귀’, 단절과 회복, 연속성과 불연속성 그리고 ‘내재적 양식의 비약’ 속에서 풍부한 단면들을 제공해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generation of 1848 was concerned about the value of the oral literature. Consequently, the surface and internal relations between the oral and written literatures began to be regularized. The front and rear epoch of 1848 was a period risen to the climax by the recording in a book and publishing of the folk-works on one hand, and the folk-researching and analyzing of the oral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Modern Romanian authors tried continually without a break to get back to the entropy for the national spirit and thought. V. Alecsandri, as the representative author of the generation of 1848, M. Eminescu and Ion Creangă in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 Sadoveanu, T. Arghezi, L. Blaga, Ion Barbu in the interwar period and many contemporary authors of the present time as Horia Lovinescu, M. Eliade, had significant roles and contributed at the development and prosperity of Romanian written literature under the effect of the folk-thoughts and themes of the oral literature. The oral literature and its traditional mode of the language, which did not become the popular expression of secular experiences alone, as well a method of preservation for the new historical events, were manifested by various literary genres as folk songs, ballads, Colindă(Christmas carol), legends, fairy tales and folk-tales and had the major function to develop the written literature in the categories of the various values, transmitting them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y not only sublimated the folk-materials in the themes and subjects of the oral literature, but also they became the matrix that promoted the internal deepening and qualitative rising of the written literature. The connection and influences between both literatures as the mythic motive of love in the Zburătorul (The Fairy Flyer), the transcendence of the space and time from the Tinereţe fără bătrâneţe şi viaţa fără de moarte (The youth everlasting and life without end) in the La ţingănci (At the gypsies), the pastoral elements and the national spirit of the death from the ballad Mioriţa (The Ewe Lamb) in the various verses and Sadoveanu's novel Baltagul (The Ax), and the problems of artist creation and its sacrifice from the ballad Meşterul Manole (The Master Builder Manole) in the Blaga's literary works, these are only some limited cases and examples. The oral literature shows us the literary tendency and internalization of the myth and folklore, the suggestion for the fatal sacrifice and the pastoral elements of the nature. It also underlines the formation and the evolution of the various aspects of the written literature in the progress of interruption and restoration, 'the repetition and eternal recurrence', the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and 'the internal stylistic ela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루마니아 문학의 전통과 수구 그리고 진화
Ⅲ. 민속학과 구비문학 그리고 기록문학과의 상관관계
Ⅳ. 구비문학과 기록문학: 표면적 관계와 내면적 관계
Ⅴ. 기록문학 형성에 미친 구비문학의 교섭양상 유형과 사례
Ⅵ. 맺는 말: 구비문학과 기록문학의 영향관계 그리고 남겨진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 정 환(Kim, Jeong Hwan). (2007).루마니아 기록문학 형성에 미친 구비문학의 교섭양상. 동유럽발칸학, 9 (1), 87-116

MLA

김 정 환(Kim, Jeong Hwan). "루마니아 기록문학 형성에 미친 구비문학의 교섭양상." 동유럽발칸학, 9.1(2007): 87-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