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비설화의 갈래분류와 세르비아 구비민담의 형식적 구조단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54

영문명
Genre Classification of Oral Folktales and Formal Structural Units of Serbian Oral Fairytales
발행기관
한국중동부유럽학회
저자명
김 상 헌(Kim, Sang Hun)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학』동유럽발칸학 제9권 제1호, 61~8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구 유고지역 가운데 세르비아에서 전승되고 있는 구비민담을 대상으로 삼아 이를 ‘형식적 구조’라는 관점에서 분석하고, 여타 민족의 구비민담 갈래가 지니고 있는 일반적 특성들과의 비교를 통해 세르비아의 구비민담이 지니고 있는 형식적 특징을 ‘보편화’ 혹은 ‘개별화’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고찰했다. 이는 지금까지 주로 구비시가를 대상으로 하여 이루어져왔던 구비문학작품의 ‘정형성’과 ‘변이성’에 대한 논의의 범주를 구비설화의 영역으로확대하고자하는 시도의 일환이라 할 수 있다.‘변이성’이란 구비문학이 지니고 있는 역동적 성격을 나타내는데, 작품 속에서 사용되는 공식구(formula)의 변화(혹은 대치)의 가능성과 그로 인해 발생하는 동일한 작품생산의 불가능성을 의미한다. 반면 ‘정형성’은 구비문학이 가지고 있는 고정적이며 일정한 양식을 유지하려는 성격을 의미하는데, 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연의 조건 하에서 구비문학의 각 갈래들이 형식과 내용의 측면에서 유사한 표현양식을 보인다는 것이다. 구비문학에서는 이들 두 가지의 상반된 성격이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긴밀하게 연관되어 유기적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이 두 가지 특징이 구비문학을 기록문학과 구별하게 만들어주는 변별적 자질이라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세르비아 구비시가의 작시원리에 관한 연구’를 통해 얻은 기존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구비설화의 각 하위갈래들에 대해서도 개별적인 형식적 특성을 부여하는 어떠한 단위체가 있을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했으며, 그러한 가설의 근간을 이루는 것이 바로 구비시가의 ‘공식구’에 상응하는 ‘에피소드(episode)’라는 결론을 이끌어냈다. 즉 형식적인 측면에 있어서 ‘공식구’가 구비시가를 구성하는 기본적 작시단위라고 한다면, 구비민담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형식적 단위체는 ‘에피소드’라는 것이다. 그리고 구비설화의 하위갈래들인 신화, 전설, 민담의 발생목적과 기능을 병렬비교의 방법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본고에서 본격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구비민담 갈래가 지니고 있는 본질적 의미에 대해 되짚어 보았다. 더불어 현재 국내에서 구비설화의 각 갈래들을 지칭하는 용어들이 그 개념을 명확히 하지 못한 채 혼란스럽게 사용되고 있는 상황을 지적하고, 개인작 혹은 공동작으로써의 민담을 구분할것과 포괄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구비설화와 한정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구비민담을 구분하여 사용할 것을 제안했으며, 이들 용어들에 대한 올바른 사용은 단순히 구비문학계에만 국한된 문제가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널리 계도하여 사용하게 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looks into how to “generalize” or “individualize”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Serbia’s oral folktales by analyzing the oral folktales in Serbia of the former Yugoslavian Federation in terms of “formal structure”and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other peoples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can be said to be part of the attempt at extending the scope of discussion on the “typicality” and “variability” of oral literary works, which has hitherto mainly targeted oral poetry, into the realm of oral folktales. ‘Variability’, which represents the dynamic character of oral literature, mean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or contra posing) formulas used in works and the ensuing impossibility of producing the same works. On the contrary,‘typicality’ means a character of trying to maintain the fixed and definite patterns of oral literature, as each genre of oral tradition shows similar types of expression in form and content under similar or identical conditions of oral narration. These two characteristics seem to be differential features making oral tradition different from documentary one in that they work organically,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existing achievements gained through “a study of the principles of composing Serbian oral poetry”, this study first presents a hypothesis that there may be any unit giving each subgenre of oral tales individual formal characteristics, and comes to a conclusion that it is “episode” corresponding to the ‘formula’ of oral poetry that lays groundwork for such hypothesis. In other words, ‘formula’ is a basic unit composing oral poetry in form, whereas ‘episode’ is a basic formal unit composing oral folktales. Second, the study reviews the essential meanings of oral fairytales’genres by looking into the generation purposes and functions of myths, legends and folktales, subgenres of oral tales through parallel comparison. Third, the study points out the terms indicating genres of oral tales are confusingly used without their clear definitions, and proposes to distinguish between individually and jointly created fairytales as well as oral folktales, used as a comprehensive concept, and oral fairytales, used as a restrictive concept. Lastly, the study emphasizes the right use of the terms is not merely required in the world of oral tradition, but also among people in genera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구비설화’의 개념과 갈래별 특징
1. 개념정의와 용어사용
2. 구비설화 하위갈래의 발생목적과 기능
Ⅲ. 세르비아 구비민담의 형식적 구조
1. 구비민담의 형식적 구조단위 - ‘에피소드(Episode)’
2. 발단․결말의 구조와 구비민담의 형식적 구조단위
Ⅳ.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 상 헌(Kim, Sang Hun). (2007).구비설화의 갈래분류와 세르비아 구비민담의 형식적 구조단위에 관한 연구. 동유럽발칸학, 9 (1), 61-86

MLA

김 상 헌(Kim, Sang Hun). "구비설화의 갈래분류와 세르비아 구비민담의 형식적 구조단위에 관한 연구." 동유럽발칸학, 9.1(2007): 61-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